2025.07.30 (수)

  • 맑음동두천 32.0℃
  • 맑음강릉 33.9℃
  • 맑음서울 32.7℃
  • 맑음대전 32.8℃
  • 맑음대구 31.6℃
  • 맑음울산 31.0℃
  • 맑음광주 32.3℃
  • 구름조금부산 31.5℃
  • 맑음고창 33.1℃
  • 구름조금제주 29.9℃
  • 맑음강화 30.8℃
  • 맑음보은 30.5℃
  • 맑음금산 30.8℃
  • 맑음강진군 33.3℃
  • 맑음경주시 31.9℃
  • 구름조금거제 29.1℃
기상청 제공

공간·건축

[지구칼럼] 늑대의 귀환, 80년만에 옐로스톤 생태계 ‘부활’…들소의 반전, 옐로스톤 새국면 '돌입'

숲, 늑대, 들소…옐로스톤의 ‘다층 생태계 전쟁’ 30년의 진실

 

[뉴스스페이스=이종화 기자] 옐로스톤 국립공원 북부, 사시나무(아스펜) 군락에 80년 만의 새로운 세대가 싹트고 있다.

 

최근 학술지 Forest Ecology and Management와 BBC, Live Science 등 다양한 매체 및 연구자료를 종합하면, 1995년 공원에 늑대가 재도입된 뒤 약 30년간 생태계 회복이 전개됐으며, 이는 “생태학적 이정표”로 기록된다.

 

늑대 사라진 뒤 ‘초식동물 천국’…사시나무는 절멸 위기 직면


1920~30년대 대대적 박멸 정책으로 옐로스톤에서 회색늑대가 완전히 사라졌다. 이후 사냥 압박이 없어진 엘크(북미산 사슴) 개체수는 1만7000~1만8000마리까지 치솟았다. 이들 엘크는 어린 사시나무와 버드나무 등 키 작은 활엽수를 집중적으로 뜯어먹었고, 1990년대 조사 땐 “큰 나무만 있고, 그 아래엔 아무것도 없는” 세대단절 현상이 수십 년간 이어졌다.

 

‘영양계 연쇄반응’…사시나무 밀도 152배 폭증, 80년 만에 새 세대


1995~96년 늑대 재도입 이후 최상위 포식자 복원이 시작됐다. 늑대와 곰, 쿠거 등 대형육식동물 개체수가 늘자 엘크는 2000~8000마리 수준으로 줄어들었다. 이로 인해 “영양계 연쇄반응(trophic cascade)”이 촉발되면서, 1998~2021년 사이 사시나무 어린묘 밀도가 152배나 급증했다.

 

최신 연구(2025년 7월 기준)에 따르면, 북부 옐로스톤의 87개 아스펜 군락 중 약 33%는 “키 크고 건강한 어린나무로 가득 차 있고, 또 다른 33%는 키가 큰 묘목이 새로운 상층수로 성장하는 패턴”을 보였다. 일부 묘목은 가슴 높이에서 줄기 직경이 2인치(약 5cm) 이상, 이는 1940년대 이후 처음이다.

 

 

회복 ‘과장론’과…새 위협으로 떠오른 들소


한편, “늑대 재도입=사시나무 대규모 부활”이라는 단순한 복원 서사엔 최근 회의적 시선도 따른다. 과거 대표적 장기연구들이 “군락 내 가장 키 큰 어린 묘목 5그루”만 측정해 실제보다 성장률을 과대평가했다는 점이 지적됐다. 실제로는 회복이 군락별로 불균형적으로 발생하며, 여전히 초식 압력에 억눌린 구역이 상당수다.

 

특히, 엘크가 줄어든 자리에서 들소(bison) 개체수는 20년간 4배 이상 폭증했다. 최근 실시된 표본조사에 따르면 일부 지역에선 어린 사시나무 줄기의 18%가 들소에 의해 부러지거나 껍질이 벗겨져 고사했다. 들소가 많이 서식하는 지역에서는 사시나무의 새 세대 성장이 억제·역전되는 사례도 확인됐다. 엘크와 달리 들소는 포식자 압력에 거의 노출되지 않기 때문이다.

 

복원 공식은 없다…“생태계는 다층적이고 변화무쌍”


다수 연구진은 “늑대의 재도입이 결정적 기폭제임은 분명하지만 기후, 다른 포식자, 인간 사냥, 들소 변수 등 복합적 요인이 생태계 회복을 좌우한다”며 “옐로스톤은 전세계에서 가장 장기적이고 다각도로 연구된 포식자-피식자 생태계다. 단선적인 승리담으론 다 설명하지 못한다”고 강조했다.


오리건 주립대학교(OSU, Oregon State University) 생태학자 루크 페인터 교는 “이제 회복과 억제, 새로운 위협이 뒤섞인 다층의 생태계가 되고 있다"면서 "보존정책의 성패도 하나의 지표로만 재단할 수 없는 시대로 들어섰다"고 강조했다.

 

즉 옐로스톤의 ‘늑대 재도입-사시나무 부활’은 현대 생태복원 연구의 대표적 상징이다. 그러나 실제 생태계의 작동은 더 복잡하고 예측불가능하다. 한 종의 역할과 복원정책만으론 미래의 숲을 장담할 수 없다는 사실을 보여준다.

배너
배너
배너

관련기사

64건의 관련기사 더보기


[핫픽] 새(new) 아파트가 새(bird) 아파트?…"집값 비싸 무허가 입주한 비둘기 가족"

[뉴스스페이스=이종화 기자] 신축 아파트에서 비둘기가 들어와 둥지를 틀고, 심지어 새끼까지 낳는 ‘도시 생태계 이상 신호’가 현실이 됐다. 최근 온라인 커뮤니티에는 “진짜 새 아파트”란 제목의 게시글과 사진이 화제다. 사진에는 욕실 천장에 들어온 비둘기와, 스프링클러 배관 틈에 둥지 서식지로 삼은 어린 새끼 비둘기가 포착됐다. 댓글 창엔 “샷시 달기 전 들어와서 둥지 틀고 새끼 낳은 듯 하다”, “새들도 집값 비싸서 무허가 입주했나 보다” 등 도시민의 씁쓸한 농담과 함께, “아파트 건립 과정의 틈새가 새들의 새로운 서식지로 변모한다”는 지적이 이어지고 있다. 도심 속 비둘기, 어디까지 적응했나? 비둘기는 대표적인 도시 적응종으로 꼽힌다. 2025년 기준 서울과 같은 대도시에서 비둘기 밀도는 1제곱킬로미터 당 최대 500마리에 달하는 것으로 한국조류학회 조사에서 파악됐다. 유럽, 북미 주요 도시 역시 비둘기가 에어컨 실외기, 빌딩 틈새, 아파트 베란다 등 다양한 틈을 활용해 둥지를 트는 사례가 해마다 늘고 있다. 비둘기의 번식 습성은 도심 적응에 최적화되어 있다. 한 쌍이 1년에 평균 6~8회의 번식을 한다는 해외 학계 발표도 있다. 알에서 깨어난 새끼는 처음

[지구칼럼] 도심 열섬의 역습, 서울 25개 구 열대야 일수…'종로구·중구’ 9일 vs '은평구·노원구' 2일

[뉴스스페이스=이종화 기자] 7월 29일 현재 서울 종로구와 중구는 9일 연속 열대야가 이어지고 있지만, 산지 비중이 높은 노원·은평구는 단 2일에 그쳤다. 도봉·강북구 역시 3~4일 수준으로, 같은 서울 안에서도 지역별 ‘밤더위 체감’이 극명하게 갈리고 있다. 이 현상의 핵심 배경은 바로 ‘도시 열섬 효과’(Urban Heat Island)다. 열대야는 밤사이(오후 6시~익일 오전 9시) 최저기온이 25℃ 이상을 기록하는 밤을 의미하며, 보통 아스팔트·빌딩 밀집 등 인공 열발산이 많은 도심일수록 기록이 두드러진다. 28일 밤, 서울 도심에서는 최저기온이 28.8℃에 달해 9일째 열대야가 관측됐다. 이는 2018년 7월(29.2℃) 당시와 거의 맞먹는 극한 수치다. 반면, 은평구(24.3℃)·관악구(24.6℃) 등 외곽 산지구역은 밤기온이 뚝 떨어지며 열대야 일수가 크게 줄었다. 실제로 도시 중심 영등포구의 밤 최저기온이 외곽보다 최대 4.3도 높은 것으로 집계됐다. 기후 전문가들은 “서울 도심은 낮 동안 건물이 흡수한 열이 밤에 방출돼 기온 하락이 더뎌지고, 외곽 산지구는 녹지대 효과와 환기 영향으로 상대적으로 기온이 빠르게 내려간다”고 분석한다. 행정구별

[랭킹연구소] “글로벌 미식권력의 이동", 2025년 세계 최고 레스토랑 TOP50…페루 '마이도' 1위, 한국 ‘밍글스’ 29위

[뉴스스페이스=김혜주 기자] “세계 최고 미식의 현장, 그 지각 변동은 결국 식탁 위에서 시작된다.” 2025년 6월 19일(현지시간) 이탈리아 토리노에서 개최된 ‘월드 베스트 레스토랑 50’(W50B) 발표식에서, 페루 리마의 ‘마이도(Maido)’가 세계 최고의 레스토랑으로 선정됐다. 이 순위는 28개 글로벌 지역, 각 40명(셰프·저널리스트·외식산업가 등)으로 구성된 전 세계 1120명의 셰프, 음식저널리스트, 미식 비즈니스 전문가 등으로 구성된 아카데미의 익명 다중 투표로 결정되며, 결과는 딜로이트(Deloitte)에서 외부감사까지 진행한다. 그래서 글로벌 미식 트렌드의 바로미터로 평가받는다. “마이도(Maido): 니케이의 정점, 글로벌 미식 트렌드를 말하다” 1위 영예를 안은 ‘마이도’의 오너셰프 미쓰하루 쓰무라는 일본계 페루 이민 4대손으로, 일본 조리 기술과 페루 현지 재료를 결합해 ‘니케이(Nikkei) 요리’라는 독창적 미식 세계를 구축했다. 쓰무라는 “인류와 환경의 지속가능성, 로컬과 글로벌의 조화가 새로운 미식 패러다임”이라고 강조했다. 2025 주요 트렌드 및 특징 올해 1위 ‘마이도’를 포함해 페루 리마가 단숨에 미식의 새로운 메카로

[공간사회학] 37년간 수도요금 안 낸 아파트가 있다고?…공짜물 먹던 주민, 수도세 내게 된 이유

[뉴스스페이스=김혜주 기자] 경기도 수원시의 한 아파트 단지가 37년 동안 수도요금 없이 지하수로 생활용수를 해결해온 사실이 드러나 화제를 모으고 있다. 바로 영통구 망포동 청와아파트 이야기다. 최근 단수 사태 이후 마침내 2025년 7월부터 상수도 전환이 이뤄지면서 논란과 관심이 더욱 커지고 있다. “공짜 물”의 끝, 수도꼭지마저 잠겼다 1988년 준공된 청와아파트는 당시 행정구역이 화성군(현 화성시) 태안읍에 속해 있었으나, 1995년 수원시로 편입됐다. 입주시점부터 별도의 전용 지하수 관정을 사용, 250가구 전체가 상수도 없이 지하수만으로 생활했다. 수도권 한복판에서 드문 형태였기에 수원시의 상수도 공급률 역시 오랜 기간 100%에 미치지 못했다. 실제로 2006년 기준 수도급수율은 99.6%, 2009년에는 99.9%였지만, 단 한 곳, 청와아파트만이 제외된 셈이다. 수도요금이 전혀 청구되지 않았던 것도 사실이다. 지하수 사용에 따른 별도의 요금 체계가 없었고, 관리비 일부로 전기와 유지비만 분담해온 것. 주민 상당수는 “지하수가 계속 잘 나왔으니 굳이 돈 들여 상수도를 쓸 이유가 없었다”는 반응을 보여왔다. 단수 사태, 변화의 신호탄 하지만 변화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