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8.26 (화)

  • 구름많음동두천 29.3℃
  • 맑음강릉 33.1℃
  • 구름많음서울 29.7℃
  • 구름조금대전 30.6℃
  • 구름조금대구 30.8℃
  • 맑음울산 31.3℃
  • 구름조금광주 30.5℃
  • 맑음부산 31.2℃
  • 맑음고창 31.0℃
  • 맑음제주 31.5℃
  • 구름많음강화 28.8℃
  • 구름조금보은 27.9℃
  • 맑음금산 29.4℃
  • 구름조금강진군 30.8℃
  • 맑음경주시 31.7℃
  • 구름조금거제 30.6℃
기상청 제공

Culture·Life

[지구칼럼] 오이의 의미·흥미·재미…오이 데이·오이 혐오증·과일vs채소 논란과 판례·3000년 역사·95% 물·농산물데이

1. 오이데이 유래…5월 2일 vs 6월 14일
2. 오이의 역사…3000년이나 된 세계인의 채소
3. 오이 혐오증…TAS2R38 유전자
4. 오이는 과일인가? 채소인가?…법원 판례까지 있다
5. 오이의 특성과 건강…95%가 물, 항산화 성분 풍부
6. 오이데이처럼 다른 농산물 데이는 언제?

 

[뉴스스페이스=이종화 기자] 매년 5월 2일은 숫자로 '52'로 표현되며, '오이'라는 발음과 유사해 '오이데이'로 지정됐다.

 

오이는 단순한 채소를 넘어, 역사·문화·과학·건강·생활 전반에 걸쳐 다양한 의미와 재미있는 사실을 지닌 식품이다. 오이의 다채로운 활용과 흥미로운 기록, 문화적 상징성까지, 오이는 그야말로 “알면 알수록 재미있는” 식재료다.

 

오이와 관련된 재미있는 사실, 흥미로운 사건, 의미있는 정보를 알아봤다.

 

1. 오이데이 유래

 

오이데이는 2002년 농촌진흥청에서 오이 농가의 소득을 늘리기 위해 지정했다. 5월 2일을 숫자로 표현하면 '52'가 되며, 이는 '오이'라는 발음과 유사하여 이 날을 '오이데이'로 정한 것. 이날에는 오이의 소비를 촉진하고, 오이 재배 농가의 판매와 유통의 어려움을 덜어주기 위한 고민을 한번씩 하는 날이다.

 

우리나라에서는 5월 2일이 '오이데이'이지만 ‘세계 오이의 날(World Cucumber Day)’은 6월 14일이다. 세계인들은 이날 다양한 축제와 이벤트를 연다. 세계에서 가장 큰 오이는 162cm(67인치) 길이, 70kg(154파운드) 무게로 기록돼 있다.

 

 

2. 오이의 역사

 

오이의 원산지는 인도이다. 세부적으로는 인도 서북부의 히말리아 산록이 원산지로, 3000년의 재배 역사가 있을 정도로 가장 오래된 채소 중 하나다. 인도 등 일부 힌두교 문화에서는 오이가 순수함과 정화, 새로운 시작을 상징하며, 크리슈나 신의 탄생 축제(잔마슈타미)에서 오이를 바치는 의식이 있다.

 

고대 이집트에서는 오이로 약한 술을 만들었고, 로마의 티베리우스 황제는 매일 식탁에 오이를 올렸다고 전해진다. 고대 로마에서는 오이즙이 여성의 생리를 촉진한다고 믿었고, 오이가 생식에 좋다는 인식이 있었다.

 

6세기경 실크로드를 통해 중국으로 전래되었고, 15세기 말 콜럼버스가 오이를 신대륙(아이티)에 전파하면서 전 세계로 확산됐다. 영국 북부에서는 피클 오이를 ‘월리스(wallies)’라고 부른다.

 

한국에서는 약 1500년 전 통일신라~고려시대에 오이가 도입된 것으로 추정되며, 《고려사》, 《해동역사》 등에 오이 재배에 대한 기록이 남아 있다. 신라말~고려초의 고승 도선국사의 탄생설화에 따르면, 도선의 어머니가 냇가에서 떠내려온 오이를 먹고 태기가 들어 도선을 낳았다는 이야기가 전해온다.

 

동서양 모두 오이를 생식력과 다산, 정력을 상징하는 식물에서 나아가 생명과 새로운 시작을 상징하는 식물로 인식했음을 보여준다. 높은 수분과 시원한 성질의 오이는 ‘힘을 돋우는 채소’로 여겨졌으며, 건강과 활력의 상징이었다. 오이는 전 세계적으로 널리 재배되는 채소로, 중국이 세계 최대 생산국이며, 다양한 문화권에서 식재료·피클·약재 등으로 활용된다.

 

 

3. 오이 혐오증

 

오이를 아예 못 먹거나 강한 거부감을 보이는 사람의 인구 비율은 정확한 공식 통계는 없으나, 여러 자료와 전문가 의견, 커뮤니티 경험을 종합하면 2~3% 내외로 추정된다.

 

오이를 좋아하는 사람들도 많지만, 오이의 쓴맛이나 향에 대한 유전적 민감성(TAS2R38 유전자 변이) 때문에 오이 혐오를 호소하는 사람이 적지 않으며, 오이 혐오 커뮤니티(오싫모)도 존재할 정도다.

 

TAS2R38 유전자는 인간의 미각 중 "쓴맛"을 감지하는 핵심 유전자 중 하나로, 2번 맛 수용체 38호(Taste receptor type 2 member 38)를 결정하는 단백질 생성 유전자다. 이 유전자는 주로 입과 소화기관에서 쓴맛을 인식하고 구분하는 역할을 담당한다.

 

TAS2R38 유전자가 만든 수용체는 페닐티오카바마이드(PTC), 프로필티오유라실(PROP), 고이트린, 메티마졸, 시니그린 등 쓴맛을 내는 다양한 화학물질을 감별할 수 있다. 오이와 호박 등에 들어있는 쿠쿠비타신 성분의 쓴맛도 감지할 수 있어, TAS2R38 변이형을 가진 사람은 이런 식물류의 맛이나 향에 강한 거부감을 느낀다.

 

즉 TAS2R38 유전자 변이에 따라 같은 음식을 전혀 다르게 느끼며, 이는 개인의 식습관, 음식 선호, 심지어 음주·흡연 습관까지 영향을 미칠 수 있다. 그래서 '오이 혐오(cucumber hate)' 현상도 나타나는 것. 

 

이들은 오이의 쓴맛과 특유의 향(노나디에놀, 노나디엔알 등)을 남들보다 100~1000배 강하게 느껴, 역겨움, 거부감, 심지어 구역질이나 구토감까지 유발할 수 있다. 이런 경우 단순히 “맛이 없다” 수준이 아니라, 오이 냄새만 맡아도 불쾌해하거나, 음식에서 오이를 골라내야만 먹을 수 있다.

 

이처럼 쓴맛에 민감한 사람은 채소, 다크초콜릿, 커피, 맥주 등 쓴맛을 내는 음식에 거부감을 보일 확률이 높다. 

 

반면 TAS2R38 수용체는 호흡기 상피세포 등에도 존재하며, 박테리아 신호분자를 감지하고 질소산화물 생성 등 선천면역 반응을 조절하는 역할도 한다. TAS2R38 변이형은 비만, 대사, 항산화 상태, 대장암 위험, 흡연 및 음주 습관, 호흡기 감염, 신경퇴행성 질환 등 다양한 건강지표와도 연관성이 보고되고 있다. 

 

 

4. 오이는 과일인가? 채소인가?…법원 판례까지 있다

 

오이는 식물학적으로는 과일(씨앗이 꽃에서 자라기 때문)이지만, 관습적 기준으로는 주로 채소로 취급된다.

 

과일과 채소의 정의는 식물학적(과학적) vs. 요리적(관습적) 분류 기준에 따라 다르다.

 

우선 과일(Fruit)의 정의는 식물학적(과학적) 기준으로는 씨앗이 있고, 꽃의 자방(ovary)에서 자라나는 식물의 열매를 말한다. 요리적(관습적) 기준으로는 단맛이 나고 디저트나 생과일로 먹는 식재료를 말한다. 

 

반면 채소(Vegetable) 정의는 식물학적으로는 식물의 열매를 제외한 나머지 부분(뿌리, 줄기, 잎, 꽃 등)을 말한다. 요리(관습)적 정의로는 주로 짠맛·담백함이 나며 반찬·메인요리 등에서 활용되는 식재료를 말한다.

 

이 기준에 따라 식물학적으로 오이는 씨앗이 꽃의 자방에서 자라기 때문에 명백한 과일이다. 오이, 호박, 수박, 멜론 등은 모두 박과(Cucurbitaceae) 식물로, 과일에 해당한다. 하지만 요리적(관습적) 기준에 따르면 오이는 주로 샐러드, 김치, 피클 등 짠맛·담백한 요리에 사용되므로 채소로 취급된다.

 

 

논란이 되는 식물로 토마토(Tomato)도 마찬가지다. 식물학적으로 토마토 역시 씨앗이 꽃에서 자라나는 열매이므로 과일이다. 하지만 토마토는 주로 샐러드, 소스, 스튜 등 짠맛·담백한 요리에 쓰여 채소로 간주된다.

 

관련해 법적 판례도 존재한다. 1893년 미국 대법원(Nix v. Hedden) 판결에서, 관세 부과와 관련해 토마토를 “요리적 기준상 채소”로 공식 판결한 바 있다. 이는 오이, 호박 등도 마찬가지다.

 

식물학적으로는 오이, 토마토, 가지, 호박, 고추, 피망, 콩류, 옥수수, 완두콩 등도 모두 과일이지만, 채소로 여겨지는 식재료들이다.

 

반대 사례인 "채소인데 과일로 여겨지는” 경우도 있다. 대황(루바브)은 줄기를 주로 먹지만 디저트에 쓰여 “과일처럼” 여겨진다.

 

영국의 음악가이자 칼럼니스트 마일스 킹턴(Miles Kington)은 “지식은 토마토가 과일임을 아는 것이고, 지혜는 토마토를 과일 샐러드에 넣지 않는 것이다”라는 유명한 말을 남겼다. 이 촌철살인의 명언은 단순한 사실(지식)과 그것을 현명하게 적용하는 능력(지혜)의 차이를 재치 있게 설명한 예로, 여러 철학 서적과 자기계발서에서 자주 인용되고 있다.

 

 

5. 오이의 특성과 건강

 

오이는 95~96%가 물로 이루어져 있을 정도로 놀라운 수분함량을 자랑한다. 이에 갈증 해소와 수분 보충에 탁월한 식품이다. 또 오이의 속 온도는 겉보다 최대 20도까지 낮을 수 있어 “cool as a cucumber(오이처럼 시원하다)”라는 영어 표현도 여기서 유래했다.

 

오이는 높은 수분 함량과 독특한 화학적 특성으로 전기 생성, 삼투압 실험 등 다양한 과학 실험에 활용될 수 있다. 게다가 오이는 12주 만에 수확이 가능하며, 수확을 자주 할수록 더 많은 열매를 맺는 특성을 갖고있다.

 

오이에는 비타민 B군, C, 칼슘, 마그네슘, 칼륨 등 다양한 미네랄과 항산화 성분이 풍부하다. 특히 오이 추출물은 항산화, 항염증 효과가 있어 미용과 건강에 널리 활용된다. 게다가 오이는 수분이 풍부하고 칼로리가 낮아 체중 감소에 도움이 된다. 오이의 베타카로틴, 리그난 등은 항산화·항암 효과가 있다고 알려져 연구되고 있다.

 

이외에도 오이는 당뇨병 예방, 혈당 조절, 뼈 건강, 심장 건강 증진에도 도움을 줄 수 있다.

 

오이 슬라이스를 눈에 얹으면 부기 완화에 도움을 주며, 피부에 바르면 일시적으로 셀룰라이트와 주름을 줄여주는 효과가 있다. 오이 조각을 거울에 문지르면 습기가 차지 않고, 신발에 문지르면 광택이 나며 방수기능도 있다. 

 

오이의 화학성분은 알루미늄과 반응해 해충을 쫓는 효과가 있어 정원에 활용되기도 한다. 오이 조각을 입천장에 30초간 대면 구취를 줄일 수 있다. 삐걱거리는 문 경첩에 오이를 윤활제 대용으로 활용할 수도 있다.

 

 

6. 오이데이처럼 다른 농산물 데이는 언제?


오이데이(5월 2일)처럼, 우리나라에는 농축수산물의 소비 촉진을 위해 날짜와 발음, 숫자, 의미를 연계한 다양한 데이 마케팅이 존재한다.


인삼데이 2월 23일, 삼겹살데이 3월 3일, 오리데이 5월 2일, 유기농데이 6월 2일, 육우데이 6월 9일, 쌀데이(한자 米(八+十+八)에서 유래) 8월 18일, 구구데이(닭고기) 9월 9일, 사과데이(2(둘)이 4(사)과한다는 의미) 10월 24일, 한우데이(한자 牛에서 일(一)자가 3번 겹침) 11월 1일, 가래떡데이 11월 11일, 벌꿀(허니)데이 12월 12일 등이 있다.


데이마케팅은 실제로 해당 품목의 매출 증가와 소비자 인지도 제고에 효과가 있다. 삼겹살데이에는 돼지고기가, 오이데이와 오리데이에는 오이와 오리가 판매량이 급격히 늘어난 사례가 있다.

배너
배너
배너

관련기사

63건의 관련기사 더보기


[핫픽] 이것은 돌인가? 지갑인가?…히로토시의 ‘돌지갑’이 던지는 트롱프뢰유

[뉴스스페이스=이종화 기자] 이 이미지는 일본 조각가 히로토시(Hirotoshi)의 대표적인 작품으로, 돌의 외형에 지퍼를 달아 실제 동전지갑처럼 보이게 만든 '착시 조각'이다. 돌과 지갑의 경계가 모호해, 보는 이에게 일상적 사물의 본질을 유머러스하게 뒤집는 메시지를 준다. 일본 조각가 히로토시는 일상에서 흔히 접하는 사물에 독특한 상상력을 불어넣는다. 그의 작품 ‘돌지갑’은 겉보기엔 무거운 바위처럼 보이지만, 지퍼를 열면 동전이 나오는 위트 있는 장면을 연출한다. 이는 일상적 인식의 틀을 깨는 '트롱프뢰유'(Trompe-l'œil, 눈속임 미술) 기법의 정수다. 이 작품은 '돌이냐, 지갑이냐'라는 이중적 질문을 던진다. 단단함과 유연함, 현실과 환상의 경계를 허문다. 돈이 들어있는 주머니와 바위의 결합은 현대 소비사회와 물질적 풍요의 상징을 동시에 풍자한다는 해석도 가능하다. 히로토시는 "일상에서 만나는 재료와 현실을 뒤집는 상상으로 관람자와 소통하고 싶었다"며 창작 의도를 밝혔다. 그의 바위작품은 무거움을 유쾌함으로, 진지함을 위트로 바꾼다. 보는 순간 헛웃음이 나오는 이유다. 마치 “세상 모든 무거운 문제도 이렇게 가볍게 열 수 있다”고 말하는 듯하다

[핫픽] 학교에서 필수적으로 가르쳐야 할 12가지…교과서 밖에서 살아남기

[뉴스스페이스=이종화 기자] 진짜 필수과목, 학교에선 왜 안 가르칠까?" ‘세금, 코딩, 요리, 보험, 주택 관리, 자기 방어, 생존 기술, 재테크, 말하기, 자동차 관리, 스트레스 관리.’ 이쯤 되면 단순히 교과과정을 넘어 인생을 살아가는 생존 매뉴얼과 같다. 최근 SNS와 온라인 커뮤니티에서 화제가 된 이 일러스트는 “학교에서 반드시 배워야 할 과목들”이라는 테마로 누리꾼들의 공감대를 폭발시켰다. 일상에서 꼭 필요한 지식과 기술은 국영수보다 오히려 인생 전반에 걸쳐 더 자주 쓰인다. 세무, 보험, 재테크, 기초 요리, 자기 방어, 자동차 관리, 그리고 소통·스트레스 관리까지… 정작 이런 ‘실전형 스킬’은 공개된 교과목 리스트엔 없다는 현실을 꼬집는다. 사회적 예절과 말하기 기술까지 캡처된 이 이미지는, 누구나 겪는 현대인의 고민을 유쾌하게 시각적 언어로 풀어냈다는 점에서 뜨거운 반응을 얻고 있다. 이런 과목들이 실제 교과서에 들어간다면 어떻게 될까? 학생들은 시험 문제로 ‘소득공제 작성법’, ‘자동차 엔진 오일 교환 방법’, ‘실전 스트레스 해소법’을 풀어보고, 외워야 할 공식 대신 보험 약관을 분석할지도 모른다. 현실적이지만 늘 뒷전이었던 인생 교양이

"품격·정성담은 호텔 추석선물"…반얀트리 서울, 한우·와인·베이커리 등 6만원부터 60만원대까지 '풍성'

[뉴스스페이스=이종화 기자] 에이블현대호텔앤리조트 반얀트리 클럽 앤 스파 서울(이하 반얀트리 서울)이 민족 대명절 추석을 맞아 정성과 품격을 담은 ‘2025 추석 선물 세트’를 오는 9월 3일부터 선보인다. 올해 추석 선물 세트는 한우, 과일, 한과, 전통 장, 와인 등 명절 대표 먹거리를 중심으로 구성한 ‘반얀트리 선물 세트’와 반얀트리 서울의 프리미엄 디저트 브랜드 ‘몽상클레르’의 햄퍼, 세계적인 스파 브랜드 ‘반얀트리 스파’의 제품과 바우처까지 다양하게 구성되어 감사의 마음과 함께 호텔에서의 경험을 전할 수 있도록 기획됐다. 먼저, ‘반얀트리 선물 세트’는 총 10종으로 ▲1++등급 한우의 채끝·안심·살치 등 구이용 최고 부위만 담은 ‘프리미엄 한우 세트’ ▲차례상에 올리기 좋은 최상품 사과·배를 비롯해 샤인머스캣·애플망고·태추단감 등 고급 제철 과일로 구성한 ‘혼합 과일 세트’가 포함된다. 건강을 생각한 선물 세트도 준비했다. ▲천혜의 자연 환경의 뉴질랜드에서 채취한 ‘마누카 꿀 세트’ ▲진한 홍삼의 향과 부드러운 식감을 더한 ‘홍삼 절편 세트’ ▲미쉐린 레스토랑에서 사용하는 ‘전통 장·기름 세트’ ▲신선한 기름에 바삭하게 튀겨낸 ‘김 부각 세트’등도

반얀트리 서울, 가을빛 물든 오아시스에서 K-술 페스티벌 ‘어텀 마켓’…"칵테일과 라이브 공연까지"

[뉴스스페이스=이종화 기자] 에이블현대호텔앤리조트 반얀트리 클럽 앤 스파 서울(이하 반얀트리 서울)이 9월 13일 오아시스 야외 수영장에서 ‘어텀 마켓(Autumn Market)’을 진행한다. 어텀 마켓은 청명한 가을 하늘과 단풍으로 물들어가는 남산을 배경으로 평소 회원과 투숙객에게만 제한적으로 개방되는 오아시스를 일반 고객에게도 개방해, K-술 시음과 라이브 공연을 함께 즐길 수 있는 도심 속 가을 축제로 선보인다. 방문객들은 피크닉을 즐기듯 여유로운 분위기 속에서 가을 정취와 함께 감성을 만끽할 수 있다. 어텀 마켓은 전국 각지의 양조장과 전통주 스타트업이 참여해 탁주·청주·증류주 등 약 30여 종의 K-술을 소개한다. 무제한 시음이 가능하고, K-술로 제조한 칵테일도 맛볼 수 있으며, 마음에 드는 제품은 현장 구매가 가능하다. 또한 디저트, 스낵, 음료, 커피 등 식음료 부스도 함께 운영되어 풍성한 볼거리와 체험을 선사한다. 반얀트리 서울은 어텀 마켓을 통해 지역 양조 산업과의 연결을 강화하고, 전통주에 담긴 문화적 가치를 현대적인 감각으로 재해석하고자 했다. 특히 호텔을 찾는 외국인 관광객을 비롯한 글로벌 고객에게도 K-술을 매개로 한국 고유의 문화를

[핫픽] 지하철 타고, 오토바이 타고, 산도 타고…반려견, 주인과 함께 어디든 간다

[뉴스스페이스=이종화 기자] 도심 한복판, 지하철, 그리고 험준한 산길까지. '반려견과의 동행'이란 말이 이보다 더 실감나는 순간이 있을까. 최근 SNS와 커뮤니티에서 화제가 된 세 장의 사진이 우리의 상상을 초월하는 반려견 라이프의 현장을 보여준다. 첫 번째 사진은 '반려견 밀착 케어'의 진수다. 지하철 한복판, 얌전히 앉아 있는 승객들 사이에서 아기 띠를 두른 주인 품에 쏙 안긴 강아지! 사람들을 관찰하며, 누가 자신에게 말을 걸까 기대하는 듯한 그 눈빛. 아이 대신 강아지를 안고 출퇴근하는 일상이 이색적으로 다가온다. 지하철에서 만난 '특급 VIP 승객' 출현에, 주변 승객들도 소리 없는 미소를 선물한다. 두 번째 장면은 강남 도로 위를 경쾌하게 달리는 오토바이. 그러나 눈에 띄는 것은 운전자보다 더 여유로운 표정의 왕견 세 마리다. 노란 바구니에 올라탄 강아지들은 마치 "이게 바로 시티 투어지!"라고 외치는 듯, 꼿꼿하게 도시의 풍경을 감상하고 있다. 옆 오토바이 운전자도 놀란 듯 쳐다보고 있지만, 개들은 도로의 주인임을 의연히 증명한다. 세 번째 장면은 대한민국에서 가장 열정적인 '등산러' 중 한 명일지도 모르는 웰시코기. 등산객들과 함께 바위길을

[핫픽] 휴대용 에어컨 현실로? 백팩처럼 메는 스마트에어컨 나올까…"창피는 잠깐, 시원함은 영원"

[뉴스스페이스=이종화 기자] 한여름 바닷가에 등장한 한 남성의 독특한 아이템이 눈길을 끈다. 복잡하고 거대한 기기들이 수상하게 등 뒤에 메어져 있는데, 다름 아닌 '휴대용 에어컨'이다. 현장에 있던 사람들 속삭인다. "저거, 기발한데" 이제는 더위도 참지 말고, 과학의 힘으로 언제 어디서든 쾌적한 생활을 누릴 시간. 이 남성은 집안에만 있던 에어컨을 과감히 온몸으로 끌어냈다. 마치 '꼬마 아인슈타인'의 아이디어 실험처럼, 무거운 실외기와 선풍기, 그리고 순백의 냉방 호스를 조합해 진정한 개인용 쾌적 존을 구현했다. 해변가에서는 눈길은 물론, 바람까지 독점 가능한 '인기 폭발 피서템'임이 분명하다. 웃음이 나오지만, 실은 이 콘셉트가 약간 더 발전한다면 미래의 생활 속 대세가 될 수도. 한때 휴대폰도 크고 무거워서 조롱의 대상이었지만, 이제는 없어선 안 될 필수템이 된 것처럼 말이다. 어쩌면 10년 뒤, 백팩처럼 어깨에 메는 스마트 에어컨이 일상이 되지도 모른다. 등 뒤로 시원한 바람을 즐기며 산책하는 모습, 상상만 해도 유쾌함과 기대감이 교차한다. 올 여름, 백팩 에어컨을 메고 바닷가를 거니는 로망. 엉뚱한 상상과 도전정신이 결국 우리 일상을 바꿀 지도 모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