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7.01 (화)

  • 구름많음동두천 27.7℃
  • 흐림강릉 29.4℃
  • 구름조금서울 29.1℃
  • 구름조금대전 30.2℃
  • 맑음대구 32.3℃
  • 연무울산 29.4℃
  • 맑음광주 31.6℃
  • 구름조금부산 26.6℃
  • 구름조금고창 32.1℃
  • 맑음제주 29.6℃
  • 흐림강화 26.9℃
  • 구름많음보은 28.2℃
  • 구름조금금산 30.3℃
  • 구름많음강진군 30.8℃
  • 구름조금경주시 32.9℃
  • 구름조금거제 28.1℃
기상청 제공

Culture·Life

[지구칼럼] 기준에 따라 '가장 높은 산'이 달라진다고??…"에베레스트·침보라소·마우나케아·데날리, 진짜 1위는 나야 나!"

해발고도 기준 → 에베레스트(8848m)가 1위
지구 중심 거리 기준 → 칠림보라소(6263m)가 가장 멀리 있음
해저에서 측정한 높이 기준 → 마우나 케아(10210m)가 가장 높음
주변 지형과 비교한 높이 기준 → 데날리(6190m)가 상대적으로 독립적

 

[뉴스스페이스=이종화 기자] 지구에 무수히 많은 산들의 높이는 보통 해발고도로 높이를 측정한다. 왜 많은 기준 중에 굳이 해발고도로 측정하는 지 알아봤다. 또 다른 기준은 뭐가 있는지도 조사했다. 각각의 기준에 따라 最高의 산은 어디일까.

 

산의 높이는 보통 해발고도(해수면 기준 높이, AMSL: Above Mean Sea Level) 로 측정한다.

 

그 이유는 공통 기준이 필요하기 때문이다. 바다는 전 세계적으로 연결되어 있고, 평균 해수면(MSL: Mean Sea Level)은 비교적 일정한 기준을 제공한다. 육지의 기준점(예: 도시, 평야 등)은 지역마다 다르기 때문에 일관된 측정이 어렵다.


두 번째 이유는 지도 제작과 항공에서 유용하기 때문이다. 해발고도는 지형도를 제작할 때 필수적인 기준이다. 항공기나 드론 운행에서도 해발고도를 기준으로 고도를 설정한다.


세 번째는 일반인에게 가장 직관적이다. "해수면에서 얼마나 높은가?"라는 기준이 일반적으로 이해하기 쉽다. 등산이나 여행 시에도 고도를 쉽게 비교할 수 있다.

 

해발고도 기준 세계에서 가장 높은 산 1위는 에베레스트(Everest)로  8848.86m이다. 

 

 

그렇다면 다른 기준으로 산을 측정할 수도 있을까? 해발고도 외에도 산의 높이를 측정하는 다양한 방법은 뭐가 있을까.

 

지구 중심으로부터의 거리(즉, 지구 반지름을 기준으로 한 높이)로 측정하면 에베레스트가 가장 높은 산이 아니다.

 

왜냐하면 지구는 완벽한 구(球)가 아니라 적도 부근이 더 부풀어 있는 '타원체(Oblate Spheroid)' 형태이기 때문이다. 이 때문에 적도 부근의 산은 해발고도가 낮아도 지구 중심에서의 거리는 더 멀어질 수 있다.

 

지구 중심 기준 최고봉은 침보라소산(침보라소 화산, 치보로소, Chimborazo)이다. 에콰도르(적도 부근)에 위치하며 해발고도는 6263m로, 에베레스트(8848.86m)보다 훨씬 낮다. 

 

하지만 적도 부근에 위치해 있어 지구 중심으로부터의 거리는 6384.4km로, 에베레스트(6382.3km)보다 약 2.1km 더 멀다. 

 

즉, 해발고도로는 에베레스트가 1위지만, 지구 중심에서 가장 먼 산은 침보라소산이다.

 

 

또 다른 기준은 해저에서 측정한 기준이다. 이 기준으로 할 경우 마우나 케아(1만210m)가 세계에서 가장 높은 산이 된다. 즉 해저에서부터 산의 밑부분까지 계산하면 마우나 케아는 에베레스트보다 높다.


네 번째 기준은 상대 높이(표고차, prominence)이다. 산을 주변 지형과 비교해서 얼마나 독립적으로 솟아 있는지를 기준으로 측정하는 방법이다. 예를 들어, 데날리(맥킨리산, 6190m)의 경우 주변 평지에서 갑자기 솟아오르기 때문에 시각적으로는 매우 웅장해 보인다. 실질적인 높이는 에베레스트보다 낮지만 주변 지형이 낮다보니 데날리가 더욱 높게 보인다.

 

정리하자면 가장 보편적인 기준인 해발고도로는 에베레스트(8848m)가 가장 높다. 

 

지구 중심 거리 기준으로는 칠림보라소(6263m)가 가장 멀리 있다. 

 

해저에서 측정한 높이 기준으로는 마우나 케아(10,210m)가 가장 깊다(?).

 

또 주변 지형과 비교한 높이 기준으로는 데날리(6190m)가 상대적으로 독립적이라 가장 높은 산이라 정의 할 수도 있다.

배너
배너
배너

관련기사

45건의 관련기사 더보기


"폭염·장마엔 뽀송한 호캉스가 제격"…여의도 메리어트, ‘레이니 서머 칠’ 패키지로 드라이하게

[뉴스스페이스=이종화 기자] 여의도 메리어트 이그제큐티브 아파트먼트(이하 ‘여의도 메리어트 호텔’)가 무더위와 습기로 외출이 꺼려지는 장마철, 뽀송한 쉼을 선사하는 ‘레이니 서머 칠 (Rainy Summer Chill)’ 객실 패키지를 새롭게 선보인다. 이 패키지는 비오는 날 호텔 내에서 다양한 액티비티와 진정한 휴식을 동시에 누릴 수 있도록 기획됐다. 투숙객에게는 호텔 내 컨템포러리 파인 다이닝 레스토랑 ‘파크카페’와 한식 레스토랑 ‘수 라운지’에서 식음료 크레딧이 제공되며 장마철 필수품인 UV 차단 골프 우산도 특별 증정한다. 또한 약 2000평 규모의 피트니스 센터, 실내 수영장, 실내 골프 연습장, 스쿼시룸, 사우나, GX 프로그램 등 다양한 부대시설을 무제한으로 이용할 수 있어, 비로 인한 야외 활동 제약에도 지루할 틈 없이 건강하고 활기찬 시간을 보낼 수 있다. 여의도 메리어트 호텔 관계자는 “장마철 야외 활동이 어려운 시기에도 쾌적하고 활기찬 도심 속 호캉스를 즐길 수 있도록 다양한 혜택을 마련했다”며 “실내 액티비티와 미식, 휴식을 모두 경험할 수 있는 ‘레이니 서머 칠’ 패키지로 장마철을 더욱 특별하게 보내시길 바란다”고 전했다.

“이제는 경험비” 희소성 추구하는 식음료 新패러다임…음식과 공간, 브랜드까지 '어벤져스 마케팅' 뜬다

[뉴스스페이스=이종화 기자] 최근 인증샷을 염두에 둔 비주얼 중심의 보여주기식 외식 문화보다, 실패 없는 맛을 보장하는 셰프와 메뉴에 주목하는 사람들이 늘어나고 있다. 최소한의 시간을 투자해 최대한의 만족과 경험을 추구하는 이른바 ‘경험비’가 새로운 트렌드로 급부상하고 있다. 인증 스티커가 붙은 입구 사진이나 전문가 추천 맛집 등 비주얼보다도 음식에 대한 심도 있는 설명을 다룬 콘텐츠들이 증가하는 것도 이러한 흐름을 보여준다. 식음료업계가 최근 변화에 맞춰 소비자들의 시간과 노력을 최소화하면서도 만족도 높은 경험을 제공하는데 주력하고 있다. 인증된 맛집들과 함께하는 특별한 미식 주간, 코카-콜라 레드리본 위크 2025 코카-콜라는 최근 선풍적인 인기를 얻고 있는 8곳의 레스토랑과 협업해 ‘레드리본 위크’를 운영 중이다. 매주 목요일 캐치테이블 앱을 통해 사전 예약이 진행되는데, 몇몇 레스토랑은 예약이 페이지 오픈 10분 내 마감되는 등 많은 관심을 받았다. 26일에는 조준모 대표의 짚불구이 전문점 ‘몽탄’ 예약이 예정돼 있다. 레드리본 위크는 검증된 맛집에서 제공되는 한정 메뉴라는 희소성이 소비자들의 경험 욕구를 자극하며, 차별화된 외식 경험을 제공한다는 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