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3.28 (금)

  • 맑음동두천 12.6℃
  • 구름많음강릉 6.3℃
  • 맑음서울 11.4℃
  • 구름조금대전 12.6℃
  • 흐림대구 11.6℃
  • 구름많음울산 12.7℃
  • 구름많음광주 10.3℃
  • 흐림부산 13.7℃
  • 구름많음고창 6.5℃
  • 흐림제주 9.9℃
  • 맑음강화 9.9℃
  • 구름많음보은 10.1℃
  • 구름많음금산 11.8℃
  • 구름많음강진군 10.9℃
  • 구름많음경주시 12.1℃
  • 구름많음거제 13.9℃
기상청 제공

산업·유통

삼성전자, 3분기 세계 D램 점유율 41.1% 1위 지켰다…SK하이닉스·마이크론 順

2~3위, SK하이닉스는 34.4%, 마이크론은 22.2% 기록
전체 D램 시장 36조4253억원...전분기보다 13.6%↑

 

[뉴스스페이스=조일섭 기자] 삼성전자가 3분기 D램 시장 점유율 41.1%를 기록하며 선두를 지켰다. 2위는 34.4%를 기록한 SK하이닉스가 차지했다.

 

26일 대만 시장조사업체 트렌드포스에 따르면 올 3분기 삼성전자는 D램 분야에서 매출 107억 달러(14조9700억원)를 기록했다. 이는 전 분기 대비 9% 증가한 수치다. SK하이닉스는 같은 기간 89억500만 달러(12조4500억원)의 매출을 올리며 전 분기보다 13.1% 증가했다.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는 3분기 글로벌 D램 시장에서 각각 41.1%(1위), 34.4%(2위)의 점유율을 차지했다. 트렌드포스는 서버 및 PC D램의 계약 가격 인상이 이들 업체의 D램 매출을 끌어올린 것으로 분석하고 있다.  트렌드포스는 "삼성전자는 3분기 LPDDR4와 DDR4와 같은 구형 D램 재고 소진에 집중한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SK하이닉스의 경우 고대역폭메모리(HBM) 5세대 제품 ‘HBM3E’ 출하량 증가가 매출 상승에 영향을 준 것으로 보인다.

 

3위는 미국 마이크론 22.2%, 4위는 대만 난야 1%로 집계됐다. 미국의 마이크론도 서버 D램 및 HBM3E 출하량 성장에 힘입어 매출이 전 분기 대비 28.3% 상승한 57억8000만 달러(8조800억원)를 기록했다. 대만 D램 업체 난야는 홀로 매출과 이익이 모두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DDR4 시장에서 중국 업체와 경쟁이 심화한데다 정전 사고 여파로 손실이 발생한 탓이다.

 

한편 3분기 글로벌 D램 산업 매출은 260억2000만 달러(36조3900억원)로 전 분기 대비 13.6% 증가했다.

 

트렌드포스는 "중국 스마트폰 브랜드의 재고 감소, 중국 D램 공급업체의 용량 확장으로 LPDDR4와 DDR4의 출하량이 감소했지만 데이터센터용 DDR5와 고대역폭메모리(HBM) 수요가 증가해 전체 시장이 성장했다"고 설명했다.

 

3분기 D램의 평균거래가격(ASP)도 전분기보다 상승했고, 계약 가격은 8~13%가량 올랐다. HBM이 기존 D램 생산량을 대체해 가격을 뒷받침했다는 분석이다.

 

트렌드포스는 "4분기 D램의 생산 출하량이 전분기보다 증가할 것"이라고 예상하면서도 "중국 업체들의 저렴한 D램 생산량이 늘면서 ASP는 하락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배너
배너
배너

관련기사

93건의 관련기사 더보기


"트렌드보단 취향"… ‘옴니보어’ 소비자 타깃으로 ‘옵션 마케팅‘ 제품 출시 '붐'

[뉴스스페이스=김희선 기자] 개성과 취향을 중시하는 소비 경향이 뚜렷해지면서 맞춤형 선택을 선호하는 소비자층이 증가하고 있다. 이에 따라 유통업계는 소비자의 다양한 니즈를 충족시키기 위해 제품 및 서비스의 선택 폭을 넓히는 ‘옵션 마케팅’ 전략을 적극적으로 도입하고 있다. 최근 소비 트렌드에서도 이러한 변화가 두드러진다. 취향에 따라 원하는 토핑을 직접 선택할 수 있는 요거트 아이스크림이 인기를 끌고 있으며, 여러 종류의 술을 조합해 자신만의 음료를 만드는 ‘믹솔로지’ 트렌드도 확산하고 있다. 서울대학교 소비트렌드분석센터가 발표한 <트렌드 코리아 2025>에서도 올해의 주요 트렌드 키워드로 ‘옴니보어(Omnivore)’를 선정하며 이러한 흐름을 반영했다. ‘옴니보어’는 원래 ‘잡식성 동물’을 의미하지만, 최근에는 특정 트렌드에 얽매이지 않고 개인의 취향과 가치관을 우선시하는 소비자를 뜻하는 개념으로 확장됐다. 유행을 따르기보다 자신만의 소비 스타일을 즐기려는 경향이 강해지고 있다. 이러한 변화에 발맞춰 유통업계는 소비자의 선택권을 강화하는 마케팅 전략을 펼치고 있다. 제품 용량을 다변화하거나 인기 제품의 라인업을 확장하는 한편, 색다른 협업을 통해

구광모 LG 대표는 왜 구본무 선대회장의 신년사를 꺼냈을까?…LG그룹 사장단 회의 '화두'

[뉴스스페이스=조일섭 기자] 구광모 ㈜LG 대표가 27일 경기도 이천에 있는 LG인화원에서 올해 첫 계열사 사장단 회의를 열고, 최고경영진들과 엄혹한 경영환경 속 위기를 극복하기 위한 전략을 논의했다. LG의 78주년 창립기념일에 열린 이번 사장단 회의에는 LG전자, LG디스플레이, LG화학, LG에너지솔루션 등 주요 계열사 최고경영진 30여 명이 참석했으며, 위기 상황을 극복하기 위한 심도있는 논의가 중점적으로 이뤄지며 진지한 분위기가 이어졌다. LG 최고경영진은 불확실한 대내외 경영환경에 더해 LG가 구조적 위기에 직면해 있다는 것에 대한 인식을 같이하고, 이를 극복하기 위한 전략적 과제를 심도 있게 논의했다. 특히 최고경영진은 위기 극복을 위해서는 경영진이 주도적으로 대안을 구체화하고, 단순히 ‘할 수 있는 것’에서 그치지 않고 ‘해야 하는 것’을 중심으로 실체적인 변화를 이끌어야 한다는데 공감대가 이뤄졌다. 구광모 대표는 구본무 선대회장의 2017년 신년사(창립 70주년)를 공유했다. 그는 “당시에도 올해와 같이 트럼프 정부 출범으로 경제질서의 재편이 본격화되는 시기였으며, 경쟁 우위 지속성, 성과 창출이 가능한 곳에 선택과 집중을 통해 포트폴리오를

"KTX 개통 21주년" 코레일유통, 전국 철도역 '스토리웨이'에서 고객감사 행사…"국민 덕분, 혜택 돌려드려요"

[뉴스스페이스=김희선 기자] 국민과 함께한 KTX 21년, 코레일유통(대표 박정현)이 특별한 혜택으로 보답한다. KTX 개통 21주년을 기념해 4월 1일부터 한 달간 전국 주요 역사 및 코레일유통이 운영하는 브랜드에서 다채로운 이벤트가 펼쳐진다. 4월 1일 KTX 개통 21주년 기념일에는 용산역, 영등포역, 동대구역, 부산역에 위치한 ‘코레일라운지’에서 열차 모양 라떼아트 서비스를 제공해 고객들에게 특별한 경험을 제공한다. 전국 ‘스토리웨이’ 편의점에서는 4월 11일부터 기차 모형 블록 8종을 구매하는 고객에게 ‘무더지 가그린(100ml)’을 총 500개 한정 증정한다. 또한 대전, 부산 등 6개 스토리웨이 편의점에서는 떡볶이, 추어탕 등 백년가게 밀키트 상품 6종을 4월 한 달 동안 2+1 행사로 제공하며, 행사 상품 구매 고객에게 온누리상품권을 추가 증정한다. 코레일유통이 운영하는 커피 전문점 ‘카페스토리웨이’와 ‘트리핀’에서는 봄 시즌 한정 메뉴 ‘모과를품은생강차’를 기존 4500원에서 2100원에 할인하여 4월 30일까지 제공한다. 이와 함께 제조 음료 2개를 구매하면 쿠키를 무료로 증정하는 ‘둘이서 하나 더’ 이벤트도 진행한다. 철도를 이용하는 고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