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8.31 (일)

  • 구름많음동두천 29.3℃
  • 맑음강릉 33.1℃
  • 구름많음서울 29.7℃
  • 구름조금대전 30.6℃
  • 구름조금대구 30.8℃
  • 맑음울산 31.3℃
  • 구름조금광주 30.5℃
  • 맑음부산 31.2℃
  • 맑음고창 31.0℃
  • 맑음제주 31.5℃
  • 구름많음강화 28.8℃
  • 구름조금보은 27.9℃
  • 맑음금산 29.4℃
  • 구름조금강진군 30.8℃
  • 맑음경주시 31.7℃
  • 구름조금거제 30.6℃
기상청 제공

빅테크

[랭킹연구소] 하버드·스탠퍼드·프린스턴·칼테크·예일, 테크 연봉 프리미엄 ‘TOP5’…美 테크 전공 졸업생, 연봉 40% 더 많다

 

[뉴스스페이스=윤슬 기자] 미국 명문 사립대학 출신 테크 졸업생들이 일반 대학 졸업생에 비해 연간 수천만원의 임금(급여) 프리미엄을 받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Burning Glass Institute, Wall Street Journal, FinanceBuzz, Voronoi 등의 매체들이 최근 10년간(2013년~2024년)의 데이터를 분석한 결과, 하버드, 스탠퍼드, 프린스턴, 칼테크, 예일 등 상위권 대학 졸업생들은 졸업 후 10년간 연평균 3.9만~4.5만 달러(한화 약 5600만~6600만원) 이상의 임금 프리미엄을 기록했다.

 

하버드, 연간 4만5000달러 프리미엄…평균 연봉 16만7000달러

 

2024년 기준, 하버드대학 테크 전공 졸업생의 평균 연봉은 16만7111달러(약 2억4600만원)로, 미국 사립대학 테크 졸업생 평균 대비 4만5019달러(약 6600만원) 높았다. 프린스턴(16만5497달러), 스탠퍼드(16만4729달러) 역시 각각 4만3405달러, 4만2637달러의 연봉 프리미엄을 기록하며 상위권을 차지했다.

 

연평균 임금 프리미엄(달러)이 높은 대학순위에서 1위~3위는 하버드대, 프린스턴대, 스탠퍼드대가 차지했다.

 

4위~10위는 칼텍(Caltech), 예일, 브라운, 올린공대, 펜실베이니아, 듀크, 카네기멜론이 차지했다.

 

UC버클리 등 명문 공립대도 강세…버클리, 연 3만2000달러 프리미엄


공립대 중에서는 UC버클리(3만2781달러), UCLA(2만2640달러), 워싱턴대(2만511달러) 등이 높은 임금 프리미엄을 기록했다. UC버클리 테크 졸업생의 평균 연봉은 15만4873달러로, MIT나 카네기멜론 졸업생보다 높았다.

 

미국 대학 테크 전공 졸업생, 평균 연봉 7만5900~8만2500달러

 

미국 내 테크(컴퓨터공학, 소프트웨어공학 등) 전공 졸업생의 2025년 평균 초봉은 7만5900~8만2500달러로 추정된다. 이는 전체 대학 졸업생 평균(5만5260달러)보다 40% 이상 높은 수치다. 특히 상위권 대학 졸업생은 이보다 2배 이상 높은 연봉을 받는 셈이다.

 

테크 인재 시장, ‘AI 붐’과 함께 경쟁 치열…신입 채용 비중 7%로 감소


최근 AI 붐과 함께 테크 인재 시장의 경쟁은 더욱 치열해졌다. 2024년 신입 테크 졸업생의 채용 비중은 전체의 7%로, 팬데믹 이전 대비 50% 감소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명문대 졸업생의 임금 프리미엄은 여전히 견고하게 유지되고 있다.

배너
배너
배너

관련기사

55건의 관련기사 더보기


삼성전자·SK하이닉스, 중국 공장에 첨단장비 반입 '허가제'…美 "中공장 사실상 봉쇄·글로벌 공급망 충격"

[뉴스스페이스=조일섭 기자] 미국 정부가 2025년 8월 29일(현지시간) 연방관보 게재를 통해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의 중국 내 반도체 공장에 미국산 장비를 반입할 경우, 개별 허가제를 적용하기로 공식화했다. 이번 조치로 삼성전자 시안·쑤저우, SK하이닉스 우시·충칭·다롄 공장 등에는 미국 첨단 반도체 장비의 안정적 공급이 크게 제한될 것으로 전망된다. 현상유지 허용, 생산능력 확대·업그레이드 불허 미국 상무부는 120일의 유예기간 후 기존의 ‘검증된 최종사용자’(VEU, Validated End User) 지정에서 삼성전자, SK하이닉스, 인텔 등을 공식 제외한다. 이들 한국 기업이 향후 중국 공장에서 장비 교체·업그레이드를 시도할 때마다 건별로 미국 정부의 승인을 받아야 하며, 이는 시간 지연과 불확실성, 그리고 생산 차질로 직결될 수 있다. 특히 “기존 공장에 한해서만 제품 생산에 필요한 수준으로 장비 공급을 일부 허가하겠지만, 생산력 확대나 기술 업그레이드는 원천 차단한다”는 방침을 미국 상무부가 명확히 밝혔다. 미국 장비 업체·글로벌 공급망 충격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에 장비를 공급해 온 미국 어플라이드 머티어리얼즈(AMAT), 램리서치, KL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