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11.28 (금)

  • 맑음동두천 0.1℃
  • 맑음강릉 5.6℃
  • 맑음서울 2.4℃
  • 맑음대전 2.5℃
  • 맑음대구 5.0℃
  • 맑음울산 4.6℃
  • 맑음광주 5.2℃
  • 맑음부산 8.0℃
  • 맑음고창 2.2℃
  • 맑음제주 8.3℃
  • 맑음강화 -0.1℃
  • 맑음보은 -0.3℃
  • 맑음금산 0.1℃
  • 맑음강진군 5.3℃
  • 맑음경주시 1.7℃
  • 맑음거제 5.1℃
기상청 제공

경제·부동산

[랭킹연구소] 탄소배출 급증기업 순위, TOP8...엘앤에프·한화에어로스페이스·에코프로비엠·롯데지주·일진글로벌·제이셋스태츠칩팩코리아·HD현대케미칼

대기업 온실가스 5년새 –14.7%…2030년 감축 목표 한참 못 미쳐
201개사 2019~2024년 추이 비교분석…여전히 국가 전체 배출량 60% 이상 차지
총 4억9153만톤→4억1951만톤…106곳 감소, 95곳 증가
기업별 증감 뚜렷…발전사·포스코·SKC 감축 두드러져, 엘앤에프·한화에어로 급증
업황 따라 배출량 갈려…공기업 크게 줄고 보험·제약은 증가

 

[뉴스스페이스=최동현 기자] 국내 주요 대기업들의 온실가스 배출량이 최근 5년간 꾸준히 감소하고 있다. 2019년 이후 매년 배출량이 줄어 2024년 기준 4억1951만톤으로 집계돼 5년 만에 14.7% 줄어든 것. 하지만 2018년(국가 전체 7억8390만톤) 대비 2030년까지 40% 감축을 내세운 정부 목표를 고려하면 갈 길이 한참 멀다.

 

현재까지 감축률은 약 11.8%로, 지금 속도대로라면 2030년에도 20% 안팎에 머물러 목표치의 절반 수준에 불과할 전망이다. 국가 전체 배출량의 60% 이상이 여전히 대기업에서 발생하고 있다는 점에서 산업구조 개선을 통한 실질적 감축에 한층 속도를 내야 할 것으로 보인다.

 

10월 14일 기업분석연구소 리더스인덱스(대표 박주근)가 매출 상위 500대 기업 중 2019년부터 2024년까지 온실가스 배출량을 매년 공시해 6개년 추이 비교가 가능한 201개사를 조사한 결과, 2024년 이들 기업의 총 배출량은 4억1951만톤이었다. 이는 2019년(4억9153만톤) 대비 14.7% 줄어든 수치다. 같은 기간 국가 전체 온실가스 배출량은 7억5940만톤에서 6억9158만톤으로 감소했으며, 이에 따라 201개 기업이 차지하는 비중은 64.7%에서 60.6%로 4.1%포인트 낮아졌다.

 

대기업들의 배출량을 시기별로 나눠보면 문재인 정부 시절(2019~2021년) 3년간 2727만톤 줄어 5.6% 감소했다. 윤석열 정부 3년(2022~2024년)에도 감소세가 이어져 2349만톤(5.3%) 줄었으나, 감소폭은 다소 축소됐다. (*2019~2022년은 확정 배출량, 2023·2024년은 잠정치 반영)

 

전통적으로 배출 비중이 큰 ‘굴뚝산업’에서 감축이 두드러진 반면, 사업 확장 기업과 에너지 사용이 늘어난 신산업에서는 오히려 배출량이 늘었다. 이재명 정부가 2035년까지 국가 온실가스 감축목표(NDC)를 40% 중후반에서 67%까지 염두에 두고 네 가지 안을 검토 중인 가운데, 이번 조사 결과는 대기업들의 성과와 과제를 동시에 확인시키고 있다.

 

연도별로는 ▲2019년 4억9153만톤 ▲2020년 4억5227만톤 ▲2021년 4억6426만톤 ▲2022년 4억4300만톤 ▲2023년 4억2667만톤 ▲2024년 4억1951만톤으로 나타났다. 2024년 한 해만 놓고 보면 전년보다 1.7%(712만톤) 감소했다.

 

 

2019년과 비교해 2024년에 배출량이 줄어든 기업은 106곳, 늘어난 기업은 95곳이었다. 증감폭은 대체로 업황에 따라 크게 갈렸다.

 

가장 감소율이 큰 기업은 SKC였다. 2019년 17만3964톤에서 지난해 1437톤으로 줄어 –99.2%라는 극적인 감축률을 보였다. 온실가스 배출량의 대부분을 차지했던 온산공장을 2022년 매각한 영향이다.

 

이어 DL이앤씨 –77.6%(24만톤→5만톤), 한화 –64.0%(18만톤→6만톤), LG전자 –62.4%(68만톤→26만톤), 아모레퍼시픽 –61.3%(5만톤→2만톤), SK케미칼 –54.8%(49만톤→22만톤), 현대위아 –51.2%(20만톤→10만톤) 순으로 감소율이 높았다.

 

감소량으로 보면 발전 5사(남동·동서·남부·서부·중부발전)를 비롯해 포스코, LG디스플레이, 현대제철, OCI, 롯데케미칼 등이 크게 줄었다.

 

민간기업 중에선 포스코가 8050만톤에서 7110만톤으로 940만톤(-11.7%)을 감축해 절대 감소량이 가장 컸다. 뒤이어 LG디스플레이 –221만톤(589만톤→367만톤, -37.6%), 현대제철 –133만톤(3015만톤→2882만톤, -4.4%), OCI –95만톤(214만톤→119만톤, -44.4%), 롯데케미칼 –90만톤(680만→590만톤, -13.2%) 순이었다.

 

반면 배출이 급증한 기업들도 있다. 일례로 엘앤에프는 3만톤에서 14만톤으로 늘어 419% 급증했다. 한화에어로스페이스도 방산 합병 영향으로 3만톤에서 11만톤으로 300% 넘게 뛰었다. 또 에코프로비엠 221%(2만톤→7만톤), 롯데지주 215%(296톤→930톤), 일진글로벌 196%(4만톤→12만톤), 제이셋스태츠칩팩코리아 190.0% (3만톤→10만톤), HD현대케미칼 188.3%(94만톤→272만톤) 등도 세자릿수의 높은 증가율을 나타냈다.

 

 

업종별로는 공기업 부문에서 감소폭이 두드러졌다. 공기업 전체 배출량이 2019년 2억1161만톤에서 2024년 1억5302만톤으로 27.7% 줄었다.

 

특히 앞서 언급한 한국남동발전(5340만톤→3071만톤, –42.5%), 한국남부발전(3666만톤→2435만톤, –33.6%), 한국동서발전(3902만톤→2598만톤, –33.4%), 한국서부발전(3467만톤→2696만톤, –22.2%) 등 발전사의 감축 효과가 컸다. 이와 달리 공기업 중 한국토지주택공사(20만톤→25만톤, 24.9%), 한국수력원자력(311만톤→368만톤, 18.3%) 등은 오히려 늘었다.

 

가장 높은 증가율을 보인 업종은 보험이었다. 2019년 4만톤에서 2024년 7만톤으로 82.2% 늘었다. 삼성생명(1만8740톤→3만7609톤, 100.7%)이 대표적이다.

 

이밖에 ▲제약 73.7%(23만톤→41만톤) ▲증권 55.6%(6800톤→1만톤) ▲서비스 43.5%(35만톤→50만톤) ▲조선·기계·설비 22.7%(223만톤→273만톤) ▲통신 15.0%(324만톤→373만톤) ▲운송 9.6%(379만톤→415만톤) ▲2차전지 3.5%(313만톤→324만톤) ▲에너지 2.2%(1375만톤→1405만톤) ▲식음료 1.6%(264만톤→268만톤) 등도 증가세를 보였다.

 

반대로 ▲생활용품 14.6%(140만톤→120만톤) ▲철강 10.1%(1173만톤→1054만톤) ▲은행 8.8%(49만톤→45만톤) ▲지주 7.3%(824만톤→763만톤) ▲건설·건자재 7.1%(1755만톤→1631만톤) ▲자동차·부품 5.5%(461만톤→436만톤) ▲석유화학 1.6%(7036만톤→6921만톤) ▲IT전기전자 0.8%(2882만톤→2858만톤)로 각각 감소했다.

 

이번 조사는 환경부 온실가스 배출 명세서와 각 기업의 공시보고서·지속가능경영보고서를 종합해 반영했으며, 직접배출(Scope 1)과 간접배출(Scope 2)을 합산한 수치를 기준으로 했다.

배너
배너
배너

관련기사

67건의 관련기사 더보기


[공간혁신] "음악으로 더욱 특별해지는 공간"…GS건설, AI 기반 공간 맞춤형 음악 ‘자이 사운드스케이프’ 도입

[뉴스스페이스=최동현 기자] 최근 리브랜딩 1주년을 맞이한 GS건설 프리미엄 브랜드 자이(Xi)가 건설업계 최초로 브랜드 아이덴티티를 청각 영역으로 확장하여 공간별 특성에 맞춘 자이만의 음악 ‘자이 사운드스케이프(Xi Soundscape)’를 선보인다. 이번 프로젝트는 자이가 추구하는 브랜드 방향성인 “일상에 감각적 깊이를 더하는 주거 경험”을 음악으로 구현한 것으로, 자이만의 고유한 사운드 아이덴티티를 구축한 점이 특징이다. ‘자이 사운드스케이프(Xi Soundscape)’는 단지 내 주요 동선과 생활 패턴을 기준으로 공간별 음악을 체계적으로 설계했다. ▲동출입구 ▲조경 산책로 ▲커뮤니티 로비 ▲라운지 등 이용 목적과 분위기가 다른 공간마다 최적화된 플레이리스트를 적용해, 입주민이 머무는 순간마다 감각적인 청각 경험을 제공한다. 또한 AI 기반 공간음악 전문기업 어플레이즈(APLAYZ)와 협업해, 시간대 · 날씨· 공간 환경 데이터를 반영한 AI 자동 선곡 엔진을 도입했다. 이를 통해 단지 내 상황에 따라 음악이 자연스럽게 변화하는 맞춤형 청각 환경을 구현한다. GS건설은 아파트 단지 도입에 앞서 지난 8월 한 달간 본사 직원 휴식공간인 ‘자이로움’에서 ‘

[이슈&논란] 두나무 잔칫날 '날벼락'…업비트, 공교롭게 6년 전 500억원대 대규모 해킹 '재발생'

[뉴스스페이스=김문균 기자] 국내 최대 가상자산 거래소 업비트가 2025년 11월 27일, 정확히 6년 만에 대규모 해킹 사고를 또 다시 겪으며 업계의 충격을 자아내고 있다. 이번 해킹은 2019년 11월 27일 무렵 580억원 규모 이더리움 유출 사건 이후, 6년 만에 같은 날짜에 발생한 것으로, 피해 규모는 540억원에 달하는 솔라나(SOL) 계열 디지털 자산이 내부에서 지정하지 않은 외부 지갑으로 유출된 정황이 확인됐다.​ 해킹 규모와 잠재적 추가 피해 이번 사고는 11월 27일 새벽 4시 42분경 솔라나 네트워크를 기반으로 한 디지털 자산 일부가 내부에서 지정하지 않은 지갑으로 전송된 정황이 포착되면서 시작됐다. 업비트 운영사인 두나무는 즉각 입출금 서비스를 중단하고 보안 점검에 돌입했으며, 해킹 규모와 피해액은 역대 최대 수준으로 평가되고 있다. 업비트는 이번 해킹으로 인해 최소 540억원 이상의 자산이 유출된 것으로 공지했으나, 일부 업계 관계자들은 실제 피해 규모가 더 커질 수 있다고 우려한다. 탈취된 자산에는 솔라나, 레이디움, USDC, 봉크, 렌더, 주피터 등 총 20여종의 토큰이 포함된 것으로 파악되고 있으며, 추가 피해 발생 가능성에 대

[이슈&논란] "규제에도 27만명 몰렸다” 연내 서울 3600가구 분양…역삼센트럴자이·오티에르 반포·더샵 르프리베·아크로 드 서초·아크로 리버스카이 '눈길'

[뉴스스페이스=최동현 기자] 잇따른 부동산 규제에도 서울 분양시장은 여전히 뜨거운 청약 열기를 이어가고 있다. 올해 서울에서 진행된 1순위 청약에는 총 22만여명이 몰리며 견조한 분위기를 재확인했다. 분양·입주권 거래량도 크게 늘어나면서 연내 공급될 신규 단지들에 대한 관심이 한층 높아지는 모습이다. 20일 기준 부동산R114 자료를 보면 올해 서울에서 분양한 아파트는 15곳으로 1순위 청약에 총 27만5,766명이 몰렸다. 이는 동기간 전국 1순위 청약자(62만856명)의 약 44.42%에 달하는 수치다. 특히 이번 정부의 첫 부동산 대책인 6.27대책이 발표된 6월 이후에도 청약자가 20만명 가까이 몰리는 등 청약 열기가 식지 않고 있다. 개별 단지의 경쟁률도 치열하다. 서초구 반포동 일원에 들어서는 ‘반포 래미안 트리니원’은 11월 진행된 1순위 청약에 무려 5만4,631명이 몰리면서 237.53대 1의 경쟁률을 기록했다. 지난 9월 분양한 송파구 신천동 ‘잠실 르엘’은 1순위 청약자 6만9,467명, 평균 경쟁률 631.6대 1을 기록했다. 청약 시장 활기로 분양·입주권 거래도 증가세다. 국토교통부 실거래가공개시스템 자료에 따르면 올해(1월~10월)

삼표시멘트, 업계 최초 3년 연속 ESG 전 부문 ‘A등급’ 달성…지속가능경영 최고 수준 입증

[뉴스스페이스=최동현 기자] 삼표시멘트가 국내 최고 권위의 ESG 평가기관인 한국ESG기준원(KCGS)이 발표한 2025년 ESG(환경•사회•지배구조) 평가에서 시멘트 업계 최초로 3년 연속 전 부문 A등급 이상을 달성하며 ‘통합 A등급’을 획득했다. 건설기초소재 전문기업 삼표그룹(회장 정도원)의 핵심 계열사인 삼표시멘트(대표이사 배동환•이원진)는 한국ESG기준원(KCGS)이 주관한 2025년 ESG 평가에서 ‘통합 A등급’을 받았다고 24일 밝혔다. 이번 평가는 ▲안전 최우선 현장 운영 체계 확립 ▲친환경 특수 시멘트 ‘블루멘트’ 확대 등 생산 공정 환경영향 최소화 ▲투명한 의사결정과 준법•윤리 경영 정착 ▲지역사회 맞춤형 사회공헌 활동 확대 등 ESG 전 영역에서 실질적이고 체계적인 경영 활동을 지속해 온 결과다. KCGS는 국내 대표 ESG 평가기관으로 매년 국내 상장기업의 지속가능경영 수준을 평가한다. 평가 등급인 통합 A는 환경(E)•사회(S)•지배구조(G) 전 부문에서 높은 수준의 ESG 경영을 펼치고 있는 기업에게 부여된다. 삼표시멘트는 시멘트 업계 최초로 3년 연속 전 부문 A등급 이상을 기록했다. 특히 사회(S) 부문에서는 지난해에 이어 최고

한미글로벌, 테크 포럼 개최..."스마트 건설기술, 인프라 건설에도 적용을"

[뉴스스페이스=최동현 기자] 국내 1위 건설사업관리(PM) 전문기업 한미글로벌(회장 김종훈)이 '스마트 인프라 건설'을 주제로 올해 하반기 'HG 테크 포럼'을 오는 12월 2일 오후 1시 서울 강남구 코엑스 컨퍼런스룸 317호에서 개최한다고 24일 밝혔다. 이번 포럼의 주제는 '스마트 인프라 건설'이다. 특히 국내 양수발전소 프로젝트에서 스마트 건설기술 적용 과제와 전략을 다룰 예정이다. 최근 건설 기술의 디지털화와 자동화가 가속화되며 해외 인프라 공사에서는 성공적인 적용 사례가 늘고 있지만, 국내 토목 인프라 분야에서는 디지털 기술 적용이 더딘 상황이다. 한미글로벌은 이번 포럼을 통해 미래 스마트 인프라 시장의 변화를 분석하고, 국내 현장에 최적화된 스마트 건설 솔루션 도입을 위한 실질적인 방안을 발주자 및 건설 관련 기업들과 공유할 예정이다. 기조강연은 한국도로공사 스마트건설사업 단장을 역임한 조성민 연구처장이 ‘인프라 건설의 미래와 스마트 기술의 역할’을 주제로 발표한다. 이어 첫 번째 주제 발표 세션에서는 인프라 사업에 참여했던 건설기업들의 스마트 건설 기술을 적용하여 생산성 향상과 성과를 창출한 사례를 다룬다. DL E&C에서 ‘드론을 활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