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11.07 (금)

  • 맑음동두천 12.7℃
  • 흐림강릉 14.6℃
  • 맑음서울 14.1℃
  • 맑음대전 13.3℃
  • 맑음대구 12.5℃
  • 맑음울산 14.5℃
  • 맑음광주 14.6℃
  • 맑음부산 15.8℃
  • 맑음고창 10.2℃
  • 맑음제주 17.4℃
  • 구름조금강화 13.0℃
  • 맑음보은 9.3℃
  • 맑음금산 9.5℃
  • 맑음강진군 11.2℃
  • 맑음경주시 9.1℃
  • 구름조금거제 16.3℃
기상청 제공

빅테크

[빅테크칼럼] 구글, 공격 중 스스로 재작성하는 AI 악성코드 발견…"사이버戰 패러다임 혁신"

 

[뉴스스페이스=윤슬 기자] 2025년 11월 6일, 구글의 위협 인텔리전스 그룹(GTIG, Google Threat Intelligence Group)은 공격 중 실시간으로 자신을 재작성하는 인공지능(AI) 기반 악성코드를 최초로 확인했다고 공식 발표했다.

 

pcmag, securityaffairs, thehackernews에 따르면, 이번에 발견된 여러 악성코드 패밀리 중 PROMPTFLUX와 PROMPTSTEAL이 대표적 사례로, 이들은 AI를 활용해 코드 난독화 및 보안 탐지를 회피하며 적응적으로 공격을 수행한다는 점에서 기존의 사이버 위협과 근본적으로 차별화된다.

 

PROMPTFLUX는 2025년 6월에 발견된 실험 단계의 VBScript 드로퍼 악성코드로, 구글의 차세대 AI 모델인 제미니(Gemini) API를 호출해 매시간 자신의 소스코드를 난독화된 새로운 버전으로 자동 재작성한다. 이 과정은 ‘씽킹 로봇(Thinking Robot)’ 모듈이 담당하며, 안티바이러스 탐지를 회피하기 위한 특화된 코드를 AI에 요청해 실시간 '즉시 수정(just-in-time)' 형태로 실행된다. 다만, 아직 네트워크 침해 단계에는 이르지 않은 프로토타입 수준이다.​

 

반면, PROMPTSTEAL은 더 심각한 위협으로 평가되는데, 러시아 정부 지원 해킹 그룹 ‘APT28(Fancy Bear)’이 우크라이나 방위 분야를 겨냥해 실전 배포 중인 데이터 탈취용 악성코드다. 이 악성코드는 이미지 생성 도구를 가장하고 Hugging Face API를 통해 Qwen2.5-Coder-32B-Instruct 모델에 윈도우 명령어 실행 코드를 실시간 생성 요청해 시스템 정보와 중요 문서들을 탈취하며, 즉석 생성된 명령을 곧바로 수행한다. 우크라이나 당국은 2025년 7월 이 존재를 처음 확인했다.​

 

구글 조사에 따르면 중국, 이란, 북한 등 다양한 국가 지원 해킹 그룹들도 AI 도구를 다양하게 남용하며 공격 준비부터 실행, 은폐, 탈취 등 사이버 공격 전 단계에 AI를 통합하고 있다.

 

예를 들어, 중국 해커들은 '캡처 더 플래그' 사이버 보안 대회 참가자로 위장해 구글 AI 제미니의 안전장치를 우회해 취약점 공격 코드를 받아내고, 이란 해커들은 대학 연구자로 속여 AI의 제한적 접근을 무력화하는 사례가 포착됐다. 또한, 지하 사이버 범죄 시장에서는 AI 기반 피싱 템플릿, 딥페이크, 자동화된 악성코드 생성 도구가 활발히 거래되어, 사이버 범죄의 기술적 장벽이 크게 낮아지고 있다.​

 

구글은 이러한 공격에 대응해 관련 악성코드와 연계된 계정 및 자산을 신속히 비활성화하고 AI 모델의 악용 방지 기능을 강화하고 있으나, AI 통합 악성코드의 빠른 확산과 고도화 추세에 대한 경계를 늦추지 않고 있다. 구글은 "이제 AI를 예외적으로 사용하는 단계를 넘어 일상적으로 활용하는 공격이 대세가 됐다"며 관련 기업과 기관의 경계 심화를 촉구했다.​

 

이번 구글의 보고서는 2025년 사이버 보안 판도를 바꿀 새로운 AI 활용 위협의 시작을 알리는 경고등으로, 전통적 탐지 방식을 무력화하는 AI 기반 ‘자율 악성코드’가 본격적으로 등장한 실례다. 국내외 보안 업계는 이에 대응해 AI 악성코드 탐지 기술 개발과 인공지능 오용에 대한 국제 공조 강화를 서둘러야 한다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배너
배너
배너

관련기사

93건의 관련기사 더보기


[The Numbers] 돈나무 언니 캐시 우드, 비트코인 2030년 목표가 120만 달러로 하향 조정…"스테이블코인 급성장 영향"

[뉴스스페이스=이은주 기자] 기술주와 가상화폐 투자 분야에서 ‘돈나무 언니’로 불리는 캐시 우드 아크인베스트먼트 최고경영자(CEO)가 2025년 11월 6일(현지시간) 미국 경제방송 CNBC와의 인터뷰에서 비트코인의 장기 강세 전망을 기존 150만 달러에서 120만 달러로 20%가량 낮춘다고 밝혔다. 이는 비트코인이 맡을 것으로 기대했던 일부 역할을 스테이블코인이 대체하고 있기 때문이라는 점을 근거로 들었다.​ 우드 CEO는 스테이블코인이 특히 신흥 시장에서 결제 및 송금 수단으로 빠르게 확산되고 있으며, 이로 인해 비트코인의 성장 전망에서 약 30만 달러가 차감될 수 있다고 구체적으로 언급했다. 미국 금융기관들 역시 스테이블코인을 중심으로 한 새로운 결제 인프라 구축에 주목하고 있으며, 이러한 빠른 시장 변화가 비트코인 시장 전망 조정의 핵심 배경으로 분석된다.​ 한편, 우드 CEO는 비트코인이 ‘디지털 금(digital gold)’ 역할을 계속할 것이라는 낙관론은 유지했다. 비트코인은 완전한 디지털화된 글로벌 통화 시스템이자 새로운 자산군의 선두 주자로, 기술적 혁신도 계속될 것이며 기관들의 참여가 이제 막 시작되어 시장의 성장 가능성은 여전히 크다고 평

[The Numbers] "머스크 1400조원 보상안 통과”…테슬라, 압도적 찬성으로 ‘세계 최강 스톡옵션' 승인

[뉴스스페이스=김정영 기자] 미국 전기차 기업 테슬라가 일론 머스크 최고경영자(CEO)에 대한 사상 최대 규모의 보상안을 공식적으로 승인했다. 2025년 11월 6일(현지시간) 미국 텍사스주 오스틴 본사에서 열린 연례 주주총회에서, 시가총액 8조5000억 달러 등 초고난도 경영목표 달성 시 머스크에게 1조 달러, 한화로 약 1400조원 상당의 스톡옵션을 지급하는 안이 주주 과반의 압도적 찬성으로 가결됐다.​ 75% 압도적 찬성…노르웨이국부펀드 등 반대 의견 묵살 테슬라 이사회가 상정한 이번 보상안은 주주 약 75%의 찬성을 얻었다. 머스크 본인도 약 13~15%의 보유 지분을 바탕으로 투표에 참여했다. 노르웨이 국부펀드와 일부 글로벌 연기금, 대형 자문사 등이 ‘과도한 특혜’라며 반대 의견을 제시했지만, 개인 투자자와 대다수 전략적 주주들의 지지가 결과를 뒤집었다.​ 12단계 목표 고리…“세계 기업 역사상 최강의 인센티브” 보상안은 머스크가 테슬라 경영 목표를 단계별로 차례차례 달성할 때마다, 2035년까지 12단계에 걸쳐 총 4억2300만주(보통주 12% 상당) 스톡옵션을 순차 지급받는 구조다. 경영목표에는 ①시가총액 2조~8조5000억 달러 돌파, ②매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