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뉴스스페이스=조일섭 기자] LG가 독자 개발한 하이브리드 AI 모델 ‘엑사원(EXAONE) 4.0’이 공식 공개된 가운데, 국내 최초로 의사 국가시험 등 6개 국가공인 전문가 자격증 필기 시험을 통과할 정도의 기본기와 전문성을 모두 겸비한 점이 가장 큰 화제가 됐다.
또 글로벌 오픈소스 AI 플랫폼 ‘허깅페이스(Hugging Face)’에 오픈 웨이트로 공개되어 학술·연구·교육 등 폭넓은 용도로 활용될 전망이다.
국내 첫 ‘의사 국시’ 통과…전문 AI로서 의미
엑사원 4.0은 국가의사시험, 변호사시험, 회계사, 노무사 등 6종의 국가공인 시험을 통과한 성적을 직접 공개하며 전문 AI로서의 기술력을 입증했다. 실제로 주요 국가자격증 시험에서 합격점 이상(국시 60%, 변호사시험 40% 등)을 받는 성취를 기록하여, "한국형 전문 AI의 시대"를 연 상징적인 사건으로 평가된다.
미국, 일본 등 해외 빅테크사의 주요 AI와 비교해도 높은 일상 언어 이해력(한국어·영어 등 멀티링구얼)과, 특정 직업군을 위한 문제해결 성능이 동시에 주목받았다.
글로벌 오픈소스 플랫폼 ‘허깅페이스’ 공개…개방과 협력의 AI 전략
LG는 엑사원 4.0의 오픈 웨이트 모델을 허깅페이스에 공식 등록하여, 누구나 연구·학술·교육 목적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했다.
오픈소스로 공개된 대형 한국계 AI는 국내 최초 사례로, 네이버 ‘하이퍼클로바’ 등 기존 사내 모델과 달리 국제적 연구생태계에서 본격적으로 평가를 받게 된 셈이다.
GPT-4, Llama 3 등 글로벌 대형 AI 모델과 비교해도 한국 내 현장 실무형 AI로서 직접적 전문자격시험 통과 성적 공개는 매우 드문 사례다.

엑사원 4.0 모델은 국가의사시험 필기시험의 합격선을 상회하는 응시 결과를 비롯해, 실제 자격증 취득 난이도에 준하는 성능을 확인받았다. 허깅페이스에 공개된 AI 웨이트 기반 모델은 2025년 7월 기준 세계적으로 약 6000여 종에 달하지만, 한국어·한국 전문가 시험 기준으로 롤아웃된 사례는 최초임이 확인됐다.
AI분석전문가도 NYT와의 인터뷰에서 “LG 엑사원의 의의는 대용량 학습과 하이브리드 아키텍처를 통해 한국어와 특정 직무 분야를 모두 정조준한, ‘국가전문 AI’의 사례가 현실화됐다는 점에 있다"고 의견을 피력했다.
IT전문매체 테크크런치 역시 “전문가 자격증 시험이라는 구체적 척도를 공개, AI의 실제 활용성과 검증가능성을 제시한 점이 파격적이다"고 평가했다.
향후 전망 및 과제
기업, 기관 등에서 전문적 영역에 특화된 AI 도입이 본격화될 것이며, 실제 현장 적용 사례(진료보조, 법률 자문, 서류 자동화 등) 확산에 대한 기대가 높다. 또 경쟁 글로벌 AI 대비 파라미터 수 등 기술적 기반은 작지만, 목적지향 AI의 성공 모델로 글로벌 시장의 주목을 받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