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8.12 (화)

  • 흐림동두천 29.3℃
  • 흐림강릉 30.6℃
  • 흐림서울 32.3℃
  • 구름많음대전 30.7℃
  • 구름조금대구 32.7℃
  • 구름많음울산 30.7℃
  • 구름조금광주 31.8℃
  • 맑음부산 32.0℃
  • 구름조금고창 32.7℃
  • 구름조금제주 31.6℃
  • 흐림강화 30.0℃
  • 흐림보은 29.2℃
  • 구름많음금산 31.4℃
  • 구름조금강진군 31.5℃
  • 맑음경주시 32.0℃
  • 맑음거제 31.0℃
기상청 제공

우주·항공

'우주 쓰레기' 추락 5년 새 10배 증가…지난해 2461개 지구로 낙하

지구 상공 떠도는 우주 쓰레기 1만8997개
지상 추락한 인공 우주물체 지난해 2461개
올해 1월 NASA 위성도 한반도 상공 지나쳐
김영주 의원 "우주쓰레기 추락 재난 포함하는 법안 발의"

지구 궤도를 떠돌아 다니는 우주 쓰레기 [NASA]

 

[뉴스스페이스=윤슬 기자] 전 세계에서 우주쓰레기 추락사고가 최근 5년간 10배 가까이 급증한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 한해에만 2000개가 넘는 우주쓰레기가 지구로 떨어진 것으로 알려지면서 세계 각국은 물론 한반도를 위협할 수 우주파편들에 대한 논의가 본격적으로 필요하다는 주장이다.

 

또 우주쓰레기의 위협이 커지면서 인공우주물체의 추락으로 인한 피해를 법률상 재난으로 인정해야 한다는 주장도 나왔다.

 

국회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 김영주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한국천문연구원으로부터 받은 자료에 따르면 전세계적으로  인공 우주물체 잔해물(우주 쓰레기)은 지난해 2461개로, 전년(534개)보다 360.8% 증가했다. 최근 5년 간 884% 이상 증가했다. 우주쓰레기는 고장, 임무종료 등으로 인해 발생한 인공위성 파편과 같은 물체를 지칭한다.

 

현재 지구 상공에는 고장이나 임무 종료된 2991대의 인공위성을 포함해 총 1만8997개의 우주 쓰레기가 떠돌고 있다.

 

최근 5년간 지상으로 추락한 우주 쓰레기는 2018년 250개, 2019년 330개, 2020년 422개, 2021년 534개, 2022년 2461개로 매년 증가했다. 5년 새 지상으로 떨어진 잔해물이 10배 가까이 늘어난 셈이다.

 

민간까지 우주산업에 뛰어든 만큼 인공위성은 앞으로 더 많이 발사되고, 우주 쓰레기도 늘어날 것으로 전망된다.

 

전 세계에서 발사된 인공 우주물체는 2018년 551대, 2019년 532대, 2020년 1355대, 2021년 1876대, 2022년 2468대로 최근 5년간 346.8% 증가했다. 최근 초소형 위성과 군집 위성의 활용도가 높아지면서 인공위성 수는 더 많아질 것으로 보인다.

 

한반도 인근에도 올해 1월 미 항공우주국(NASA·나사)의 인공위성 잔해물이 추락할 수 있다는 가능성이 제시돼 경계경보를 발령하고 우주위험대책본부를 소집해 대비했다.

 

인공우주물체 추락으로 사고가 발생할 경우 방사능 오염과 건물 파손 등의 피해가 발생할 수 있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NASA 인공위성 추락을 계기로 우주물체 재난 매뉴얼을 새로 마련하기도 했다.

 

실제로 미국에서는 2003년 우주왕복선 컬럼비아호가 폭발하면서 텍사스주 동부에 8만개 이상의 파편이 추락해 수천억원의 재산 피해가 발생했다. 코트디부아르에서는 2020년 중국의 ‘롱 마치 5B’ 로켓 잔해물로 마을 일부가 파손됐다.

 

한반도에 위협이 될 수 있었던 인공 우주물체 추락 사례는 총 8건이다. 독일 위성 ‘뢴트겐’이 2011년 처음 한반도 주변으로 떨어졌고, 이후 러시아 ‘포보스-그룬트’, 유럽우주청(ESA) ‘고체’, 러시아 ‘프로그레스 M-27M’, 중국 ‘톈궁 1·2호’, 미국 지구관측 위성이 한반도를 지나거나 주변으로 추락했다.

 

김영주 의원은 인공 우주물체 추락·충돌로 인한 피해를 사회재난에 포함하는 내용의 ‘재난 및 안전관리 기본법 일부개정 법률안’을 대표 발의했다. 주무 부처인 행정안전부도 법안 취지와 내용에 수용의견을 밝힌 상태다.

 

현행법상 인공위성 추락은 재난에 포함되지 않는다. 소행성·유성체 등 자연 우주물체로 발생하는 피해는 자연재난으로 규정돼 있지만, 인공위성·우주선과 같은 인공 우주물체 관련 규정은 마련돼 있지 않다.

 

김영주 의원은 "한국은 인구밀집도가 높아 우주 쓰레기 추락 시 큰 피해가 예상된다"면서 "우주 쓰레기 추락 피해를 사회재난에 포함해 특별재난지역 지정, 재난 안전관리 특별교부세 지원의 법적 근거를 마련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배너
배너
배너

관련기사

93건의 관련기사 더보기


스페이스X, 캘리포니아 밴덴버그 우주기지 발사횟수 2배 확대 추진...주 정부와 치열한 갈등

[뉴스스페이스=김시민 기자] 스페이스X가 캘리포니아 밴덴버그 우주군 기지에서의 로켓 발사를 현재 연간 50회에서 거의 두 배 수준인 95회까지 확대하려는 계획을 추진하고 있다. 이는 2024년 초 캘리포니아 해안위원회와 합의한 연간 6회 발사 제한을 크게 초과하는 수치로, 주 정부의 환경 감독과 허가 문제를 둘러싼 심각한 갈등을 촉발하고 있다. 캘리포니아 해안위원회 직원은 2025년 8월 초 발표한 보고서에서 미국 우주군의 신청을 거부할 것을 위원회에 권고했다. 그 근거는 신규 발사의 상당수가 군사적 탑재물을 운반하지 않아 주 정부의 허가 면제를 받을 자격이 없으며, 이에 따라 주의 환경 보호 규정에 예외를 둬서는 안 된다는 점이다. 위원회는 특히 연안 야생동물 피해, 소음과 파괴적인 음속 폭음으로 인한 지역사회 피해, 환경 영향에 대한 불충분한 모니터링 문제를 지적했다. 그러나 미 우주군과 스페이스X는 발사 확대가 국가 안보 임무 수행과 상업 우주산업의 성장에 필수적이라는 입장이다. 밴덴버그 우주 발사 델타 30 사령관 마크 슈메이커 대령은 “로켓 발사 비용이 감소하고 상업 기업들이 접근하기 쉬워지면서 연간 발사 횟수가 30%씩 증가하고 있다”며 발사 확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