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9.30 (화)

  • 맑음동두천 25.8℃
  • 구름조금강릉 27.3℃
  • 맑음서울 26.6℃
  • 구름많음대전 25.0℃
  • 흐림대구 22.6℃
  • 흐림울산 23.8℃
  • 구름많음광주 24.8℃
  • 흐림부산 27.2℃
  • 구름조금고창 25.2℃
  • 제주 24.5℃
  • 맑음강화 25.7℃
  • 구름많음보은 24.4℃
  • 구름많음금산 25.9℃
  • 구름많음강진군 26.3℃
  • 흐림경주시 22.1℃
  • 구름많음거제 25.3℃
기상청 제공

우주·항공

‘8월의 우주쇼’ 페르세우스 유성우 100개 쏟아진다…“12일 밤 11시30분 극대기”

 

[뉴스스페이스=윤슬 기자] 8월의 우주쇼, 연중 가장 화려한 우주쇼로 불리는 ‘페르세우스 유성우’가 12일 밤 하늘에서 쏟아진다.

 

국제유성기구(IMO)와 한국천문연구원에 따르면, 올해 페르세우스 유성우 극대시간은 한국 시간으로 12일 오후 11시 30분이다. 시간당 관측 가능한 유성수는 약 100개다. 페르세우스 유성우는 1월 사분의자리 유성우, 12월 쌍둥이자리 유성우와 함께 '3대 유성우'로 꼽힌다.

 

한국천문연구원은 “달이 오후 11시에 지기 때문에 관측 조건이 매우 좋아 관측하기 최적의 조건이다”며 “관측 최적기는 12일 밤부터 13일 새벽까지”라고 밝혔다.

 

유성우는 혜성이나 소행성이 지구 궤도에 남긴 잔해물을 지구가 통과하면서 평소보다 다량의 유성(별똥별)이 마치 비처럼 떨어지는 현상을 말한다. 페르세우스 유성우는 133년마다 지구를 찾아오는 핼리형 혜성 스위프트-터틀 혜성에 의해 우주 공간에 흩뿌려진 먼지 부스러기들이 지구 대기와 충돌하면서 발생한다.

 

페르세우스자리 방향에서 나오는 것처럼 보여서 페르세우스 유성우라는 이름이 붙었고, 매년 7월 중순부터 8월 말 사이에 관측할 수 있다. 밝고 빠른 유성들이 특징이며, 종종 긴 꼬리를 남긴다.

 

 

기상청에 따르면 12일 자정부터 13일 새벽 우리나라 날씨는 대체로 맑지만, 수도권 일부에서는 부분 부분 구름낀 날씨를 보일 것으로 예측됐다.

 

유성우를 좀 더 잘 관측하려면 도시 불빛으로부터 벗어나 깜깜하고 맑은 밤하늘이 있는 곳으로 가야 한다. 주위에 높은 건물이나 산이 없는 사방이 트여 있는 곳이 좋다. 또 유성우를 보려면 복사점에서 30도 가량 떨어진 곳이 좋다. 일반적으로 하늘의 중앙, 머리 꼭대기인 천정을 넓은 시야로 바라보면 된다. 고개를 들고 오래 있기 어렵기 때문에 돗자리나 뒤로 많이 젖혀지는 의자를 활용하는 게 좋다.

 

 

집 밖으로 나가기 어렵다면 유튜브 생중계를 보는 것도 하나의 방법이다.

 

국립과천과학관은 이날 밤 10시부터 13일 오전 4시까지 유튜브를 통해 페르세우스 유성우를 생중계할 예정이다.

생중계는 전북 무주 현지와 세계 최고의 별 관측지 중 하나인 하와이 마우나케아 정상 관측소에서 이뤄진다.

배너
배너
배너

관련기사

38건의 관련기사 더보기


[우주AtoZ] 서울대, 2035년 AI 우주정거장 발사 목표…K-우주 견인하는 '우주융합기술관' 건립한다

[뉴스스페이스=이종화 기자] 서울대학교가 2035년 무인 AI 기반 우주정거장 발사라는 혁신적 목표를 내걸고 대한민국 우주산업 생태계 활성화에 박차를 가한다. 2026년부터 시작되는 '우주융합기술관' 건립 사업에는 총 6년간 481억원이 투입될 예정이며, 이 기술관은 1979년 준공된 풍동실험동1(40동)을 증개축해 연면적 8280㎡ 규모로 새롭게 탈바꿈한다. 우주융합기술관에는 서울대 ‘우주연구단’(가칭), AI 우주기술연구센터, 국방공학센터 등이 입주해 첨단공학·AI·기초과학·의학·법·정책 등 융복합 연구와 고급 우주 인재 양성에 집중한다. 특히 한화에어로스페이스와 LIG넥스원 등 국내 방위산업 대표기업, 미국 스페이스플로리다, 독일 항공우주센터(DLR) 등과 국제 협력연구 공간도 마련, 본격적인 글로벌 공동연구 플랫폼 구축에 나섰다. 서울대가 목표로 하는 2035년 무인 AI 우주정거장은 바이오·반도체·의학·농업 등 첨단 우주 실증연구를 위한 핵심 플랫폼으로서, 우주 환경에서 생성되는 쓰레기를 회수하는 무인 우주 수송선도 운영될 예정이다. 이는 각국이 우주정거장 주권 경쟁을 벌이는 현실에서 한국이 도약을 위한 포석으로 평가된다. 우주강국 인도도 2035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