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11.17 (월)

  • 구름조금동두천 5.3℃
  • 맑음강릉 11.2℃
  • 구름많음서울 4.6℃
  • 구름조금대전 8.4℃
  • 구름많음대구 10.2℃
  • 구름많음울산 11.3℃
  • 구름많음광주 9.3℃
  • 구름많음부산 15.1℃
  • 구름많음고창 9.5℃
  • 흐림제주 12.1℃
  • 구름조금강화 4.5℃
  • 맑음보은 7.0℃
  • 맑음금산 8.8℃
  • 흐림강진군 10.0℃
  • 구름많음경주시 10.4℃
  • 구름많음거제 13.9℃
기상청 제공

경제·부동산

[랭킹연구소] 1분기 합계출산율 0.76명 '역대최저'…출생 6만·사망 9만 "53개월째 감소세"

통계청, 2024년 3월 및 1분기 인구동향 발표
3월 출생아 수 1만9669명…두 달 연속 2만명↓
출생아 수, 전년 동월 대비 7.3% 감소
2019년 11월 이후 53개월 연속 인구 자연감소

 

[뉴스스페이스=이은주 기자] 지난 3월 태어난 아이의 숫자가 2만명을 넘지 못했다. 3월 출생아 수가 2만명을 넘지 못한 것은 통계 작성 이후 처음이다. 출생아 수도 2개월 연속 2만명을 밑돌면서 저출산이 심화되고 있다.  

 

출생아 수에서 사망자 수를 뺀 인구 자연 증가는 -1만1491명을 기록했다. 한 달 만에 인구가 1만명 이상 감소했다는 뜻이다. 1분기(1~3월) 합계출산율은 0.76명으로 집계됐다. 이도 1분기 기준 역대 최저치다. 합계출산율은 가임 여성 1명이 평생 낳을 것으로 예상되는 자녀의 수로 인구 정책을 설계할 때 가장 중요한 지표다.

 

통계청이 4월 29일 발표한 '3월 및 1분기 인구동향’에 따르면 3월 출생아 수는 1만9669명으로 전년 동월 대비 1549명(7.3%) 감소했다. 같은 달 사망자 수는 3만1160명으로 전년 동월 대비 2205명(7.6%) 증가했다.

 

신종코로나바이러스(코로나19) 감염증 확산 영향으로 2022년 3월 4만4616명이 사망하며 통계 수치가 튀었던 것을 제외하고 사망자는 계속 증가하고, 출생아는 계속 감소하는 흐름을 이어가고 있다. 이에 따라 자연감소 규모도 커지고 있다. 

 

1분기 출생아 수는 6만474명으로 1년 전 같은 기간보다 3994명(6.2%) 감소했다. 1분기 기준 역대 가장 적은 수치다. 1분기 사망자 수는 9만3626명으로 나타났다. 올해 1분기 합계출산율도 분기 기준으로 역대 최저수준을 기록했다. 반면 사망자 수는 증가세를 유지하면서 인구의 자연 감소는 53개월째 이어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인구 1000명당 출생아 수를 의미하는 조출생률은 1년 만에 4.9명에서 4.5명으로 감소했다. 반면 조사망률은 6.7명에서 7.2명으로 0.5명 증가했다.

 

우리나라 합계출산율은 지난 2019년 1분기(1.02명) 이후 1명을 밑돌고 있다. 연간으로 따져도 2018년 0.98명, 2019년 0.92명, 2020년 0.84명, 2021년 0.81명, 2022년 0.78명 그리고 지난해 0.72명으로 6년째 1명의 벽에 가로막혀 있다.

 

합계출산율은 통상 연초에 가장 많고 연말로 갈수록 줄어든다. 지난해 합계출산율은 1분기 0.82명에서 출발해 2분기 0.71명→3분기 0.71명을 유지하다 4분기 0.65명으로 급락했다. 올해 1분기 합계출산율이 0.76명으로 시작한 것을 고려하면 연간 합계출산율이 0.6명대로 추락할 수 있다는 경고일 수도 있다.

 

1분기에 출산한 여성을 연령별로 나누면 24세 이하 여성의 출산율(해당 연령 여자 인구 1000명당 출생아 수)은 2.4명으로 전년 동기 대비 0.1명 증가했다. 24세 이하 여성 출산율이 증가한 것은 지난해 3분기(2.3명) 이후 3분기 만이다. 24세 이하 여성을 제외한 모든 연령대에서는 출산율이 감소했다.

 

두 자녀 이상 '다둥이'를 낳는 경향도 감소세다. 1분기 출생아 수 구성비에서 첫째아는 61.5% 비중을 차지했다. 전년 동기보다 2.4%포인트(p) 증가했다. 반면 둘째아는 31.7%, 셋째아 이상은 6.8%를 차지했는데 전년 동비 대비 각각 1.6%포인트, 0.8%포인트 줄어든 수치다.

 

1분기 혼인 건수는 5만4155건으로 전년 동기 대비 197건(0.4%) 소폭 증가했다. 3월 혼인 건수는 1만7198건으로 전년 동월 대비 992건(5.5%) 감소했다. 혼인 건수는 지난 1월 2만8명에서 2월 1만6949명으로 추락한 뒤 2개월 연속 2만명을 넘지 못하고 있다.

 

1분기 이혼 건수는 2만2744건으로 전년 동기 대비 14건(0.1%) 늘었다. 혼인 지속 기간별 이혼 건수는 20년 이상 '황혼 이혼'에서 5.0% 가장 크게 증가했다. 이어 15~19년과 10~14년에서 각각 3.8%, 2.4% 늘었다. 3월 이혼 건수는 7450건으로 전년 동월 대비 805건(9.8%) 감소했다.

 

1분기 사망자 수는 9만3626명으로 젼년 동기 대비 4650명(5.2%) 증가했다. 사망자 수는 지난해 4분기(9만3543명) 이후로 2개월 연속 9만명대를 유지하고 있다. 인구 1000명당 사망률인 조사사망률은 7.4명으로 전년 동기 대비 0.3명 늘었다. 성별로는 여성과 남성이 각각 0.3명, 0.2명 증가했다.


사망자의 연령별 구성비를 보면 남성의 경우 65~84세가 51.9%를 차지했다. 이어 85세 이상(23.6%), 45~64세(20.0%), 0~44세(4.5%) 순이다. 여성은 85세 이상이 51.3%의 가장 최다를 차지했다. 이어 65~84세(37.0%), 45~64세(9.0%), 0~44세(2.8%) 순이다.

 

3월 사망자 수는 3만1160명으로 전년 동월 대비 2205명(7.6%) 늘었다. 저출산 현상은 심화하는데 사망자 수는 늘어나면서 지난 3월 인구는 1만1491명 자연감소했다. 지난 2019년 11월 이후 53개월째 감소세가 이어지고 있다.

배너
배너
배너

관련기사

75건의 관련기사 더보기


[이슈&논란] DL이앤씨 부산항 진해신항 공사 현장서 노동자 사망, 중대재해 우려 커져

[뉴스스페이스=최동현 기자] DL이앤씨가 시공 중인 부산항 진해신항 남측방파호안 공사 현장에서 11월 17일 오전 8시 39분경, 하청업체 소속 노동자 1명이 바다로 추락해 현장 작업 중 사망하는 사고가 발생했다. 사고이후 해경과 119 구조대가 신속히 출동하여 구조했으나, 노동자는 병원 이송 뒤 결국 숨졌다. 창원해경은 현재 정확한 사고 경위를 조사 중이며, 창원고용노동지청 감독관 역시 현장 투입 후 작업은 전면 중단됐다. 해당 노동자는 초석건설 소속 하청업체 직원이다. 대한민국 산업재해 통계를 보면, 2025년 2분기 기준 재해조사 대상 사고사망자는 287명으로 전년 동기 대비 9명 감소했으나, 건설업 부문에서는 오히려 사망자 수가 증가하는 추세다. 산업안전보건법 및 중대재해처벌법 시행 이후에도 산재 사망사고는 매년 수백명 안팎으로 발생하는 심각한 사회 문제이며, 건설 업계에서의 사고가 주요 원인이다. 중대재해에 대한 법적 처벌은 아직도 적은 편(기소율 12.4%)으로, 실효성 문제도 거론되고 있다. 이번 사고에 대해 노동부와 해경, 고용노동지청이 정확한 사고 경위를 조사 중이며, DL이앤씨 현장에 대한 전면적인 안전점검과 중대재해처벌법 관련 법적 대응이

"비가오나 눈이오나" 지하 바로 연결되는 ‘직통 역세권’ 프리미엄 '쑥'…반포 래미안 '트리니원’ 등 분양지역 '솔깃'

[뉴스스페이스=최동현 기자] 단지 출입문을 나서면 곧바로 지하철로 연결되는 ‘직통 역세권’ 아파트가 부동산 시장의 프리미엄 기준으로 떠오르고 있다. 이동 편의성이 주거 선택의 최우선 가치로 자리 잡으면서, 단지와 역을 잇는 ‘문 밖이 곧 역’ 구조가 입지 경쟁력의 핵심으로 부상하고 있는 것이다. 예전에는 ‘도보 10분 이내’면 역세권이라 불렸지만, 최근 수요자들은 비나 눈이 오는 날에도 우산 없이 이동 가능한 ‘직통 연결’ 단지를 선호하는 추세다. 지하통로나 브리지를 통해 역으로 바로 진입할 수 있는 단지는 출퇴근 효율은 물론, 보행 안전성과 쾌적성까지 갖춰 주거 만족도가 높다. 실제로 이러한 단지는 이동 시간뿐 아니라 생활 동선의 질까지 향상시키며, 자산 가치 측면에서도 꾸준히 프리미엄을 형성하고 있다. 직통 역세권 단지의 장점은 단순한 교통 접근성에 그치지 않는다. 단지와 역이 맞닿은 구조상 유동 인구가 많아 상업시설이 활성화되고, 대형마트·병원·문화센터 등 생활 인프라가 함께 들어서는 경우가 많다. 입주민 입장에서는 외부 이동 없이 쇼핑·여가·의료 등 일상 기능을 한 공간에서 해결할 수 있어 교통과 생활의 가치를 동시에 누릴 수 있다. 서울 서초구 반포

유진홈센터, ‘에이스하드웨어 PL 브랜드' 자체 개발 권한 공식 획득…세계 70개국 에이스하드웨어 파트너 중 최초 획득

[뉴스스페이스=김희선 기자] 유진그룹(회장 유경선) 계열 유진홈센터(대표이사 유순태)가 미국 에이스하드웨어(Ace Hardware) 본사로부터 PL(Private Label, 자체상표) 브랜드 자체 개발 권한을 공식 획득했다고 17일 밝혔다. 전 세계 70여 개국의 에이스하드웨어 파트너 가운데 PL 브랜드 자체 개발 권한을 부여받은 것은 유진홈센터가 최초다. 이번 협력을 통해 유진홈센터는 에이스하드웨어 브랜드 제품을 기획, 생산, 유통하는 글로벌 파트너십 모델을 구축하게 됐다. 양사는 에이스하드웨어 PL 상품을 공동으로 개발해 에이스하드웨어 매장뿐 아니라 국내 도매 채널까지 공급 범위를 확대할 계획이다. 데일 페넬(Dale Fennel) 에이스 인터내셔널(ACE International) 사장은 유진홈센터의 뛰어난 브랜드 개발 역량과 포트폴리오 전략 수립 능력을 긍정적으로 평가했다. 유진홈센터의 공구부터 라이프스타일에 이르는 전 제품군의 높은 기획 수준을 언급하며, 향후 ACE와 유진홈센터 간의 협력 관계 발전에 대한 기대를 내비쳤다. 특히 유진홈센터의 자체 브랜드 ‘SEE’에 대해선 “누구나 구매하고 싶을 정도로 상품력이 뛰어나다”는 의견을 전달하며 높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