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9.18 (목)

  • 맑음동두천 25.8℃
  • 구름조금강릉 27.3℃
  • 맑음서울 26.6℃
  • 구름많음대전 25.0℃
  • 흐림대구 22.6℃
  • 흐림울산 23.8℃
  • 구름많음광주 24.8℃
  • 흐림부산 27.2℃
  • 구름조금고창 25.2℃
  • 제주 24.5℃
  • 맑음강화 25.7℃
  • 구름많음보은 24.4℃
  • 구름많음금산 25.9℃
  • 구름많음강진군 26.3℃
  • 흐림경주시 22.1℃
  • 구름많음거제 25.3℃
기상청 제공

공간·건축

'1937년生' 최고령 충정아파트 역사속으로…28층 주상복합 들어선다

넷플릭스 드라마 '스위트홈' 배경된 아파트
서울시, 3D 스캔해 역사 보존 추진

우리나라에서 가장 오래된 아파트인 '충정아파트'가 역사속으로 사라진다. 이 일대에 28층 주상복합아파트가 들어서게 된다. [인터넷 블로그 캡처]

 

[뉴스스페이스=이은주 기자] 우리나라에서 가장 오래된 아파트인 '충정아파트'가 역사속으로 사라진다. 이 일대에 28층 주상복합아파트가 들어서게 된다.

 

서울 서대문구 충정로3가에 위치한 충정아파트는 서울시 건축물대장 기준으로 1937년 준공, 벌써 86년된 아파트다.

 

서울시는 최근 제9차 도시계획위원회를 열고 서울 서대문구 충정로3가 250-70번지 일대에 대한 재개발 및 정비 계획 결정안을 가결했다고 22일 밝혔다. 이에 따라 충정아파트 일대 4만2000여㎡(1만2700여 평) 부지에 지하 5층, 지상 28층 규모 주상복합이 들어설 전망이다.

 

지하 1층부터 지상 2층까지는 근린생활시설이, 지상 2~3층에는 건축물 기부채납을 통한 사회복지시설이, 지상 4층에는 주민공동시설이, 지상 5층~28층에는 공동주택 192세대가 들어설 예정이다.

 

최근 넷플릭스 드라마 '스위트홈'의 배경으로 알려지면서 젊은이들 대상으로 유명해졌다.

 

이 아파트는 1932년 지어졌다는 기록도 있어 국내 최초의 아파트라는 설도 있지만, 중구 회현동 미쿠니(三國) 아파트가 최초라는 견해도 있다. 당시 이름은 아파트를 지은 일본인 건축가 도요타 다네오(豊田種雄)의 이름을 따 ‘도요타 아파트’였다. 처음엔 지상 4층 규모였는데, 1개 층이 증축돼 60가구로 늘었다. 1979년에는 충정로가 확장되면서 아파트의 3분의 1 정도가 잘려나갔다.

 

서울시 관계자는 "당시의 주거문화를 엿볼수 있어 충정아파트의 보존 의미가 매우 크다"면서 "철거 후 해당 용지에 3D 스캐너 등을 활용해 아파트 모형을 만들어 기억공간으로 남길 것을 검토중"이라고 전했다.

 

배너
배너
배너

관련기사

93건의 관련기사 더보기


[공간사회학] 샤워공간의 사회학·심리학적 의미 "은밀·사색·창의적 공간"…외로울수록 더 자주, 더 오래, 더 뜨거운 물로 샤워한다

[뉴스스페이스=이종화 기자] 샤워공간은 개인의 프라이버시가 가장 잘 보장되는 은밀한 공간일 뿐 아니라, 사색과 감정적 공감을 위한 심리적 공간으로 인식되고 있다. 다양한 사회학적·심리학적 연구와 매체 보도, 커뮤니티 논의를 근거로 관련 분석 내용을 정리했다. 샤워공간은 현대인에게 단순한 위생 행위를 넘어 신체적·심리적 안정을 추구하는 장소로 자리잡고 있다. 미국 UCLA 연구진의 심리학 연구에 따르면, 사회적 고립감이나 외로움을 느끼는 사람들이 따뜻한 물로 샤워나 목욕하는 빈도와 시간, 더 높은 수온 선호 경향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예일대 심리학자 John Bargh 등의 연구(The Substitutability of Physical and Social Warmth in Daily Life, 2011년)에서도 "만성적 외로움이 높은 사람들이 더 자주, 더 오래, 그리고 더 뜨거운 물로 샤워하거나 목욕하는 경향이 있음"을 실증적으로 밝혔다. 이 연구에서 외로움 정도와 샤워 빈도, 지속 시간, 선호 수온 간의 상관관계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나타났으며, 외로움이 클수록 따뜻한 물에서 더 오랜 시간을 보내며 물리적 온기를 통해 사회적 차가움을 보상하려는 심

[공간사회학] 칠레 학교의 스마트폰 신호 차단 “디지털 디톡스, 교실을 바꾸다"…집중력 상승과 ‘실생활’ 회복

[뉴스스페이스=이종화 기자] 칠레 산티아고에 위치한 한 학교가 수업 시간 동안 스마트폰 신호를 차단하는 선구적인 프로그램을 도입했다. 이는 학교 내 휴대폰 사용을 제한하려는 전 세계적 움직임의 일환으로, 칠레 최초의 시도다. 산티아고의 로 바르네체아 비센테나리오(Bicentenario) 학교의 이 프로그램 덕분에 학생들은 소셜 미디어를 스크롤하는 대신 스포츠를 하거나 친구들과 교류하고 전통적인 활동에 더 많은 시간을 보내고 있다. 즉 스마트폰 사용을 못하자 자연스럽게 학생들이 실생활 교류와 전통적 활동에 눈을 돌리는 현상이 뚜렷이 관찰되고 있는 것. BBC News, 인디아투데이, Houston Chronicle에 따르면, 이 프로그램은 2025년 8월부터 시행됐으며, 13~14세 중학교 2학년 학생들이 신호차단 자석 케이스에 스마트폰을 보관해 직접 소지하지만 전화, 문자, 인터넷 등 모든 기능은 사용할 수 없다. 케이스는 교직원만 수업 끝에 열어준다. 학교 측은 "쉬는 시간이 매우 활기차다"고 평가하며, 학생들은 배구·농구·탁구·도서관·카페 공간에서 교류하는 모습이 늘었다고 밝혔다. 도서관 보드게임, 운동장 전통놀이, 스포츠 토너먼트 등 다양한 프로그램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