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7.31 (목)

  • 구름많음동두천 31.2℃
  • 구름많음강릉 30.1℃
  • 구름많음서울 33.4℃
  • 구름조금대전 33.1℃
  • 구름조금대구 31.8℃
  • 구름조금울산 31.3℃
  • 구름조금광주 31.5℃
  • 맑음부산 31.8℃
  • 맑음고창 33.2℃
  • 구름많음제주 30.4℃
  • 구름많음강화 30.5℃
  • 맑음보은 30.3℃
  • 맑음금산 31.1℃
  • 맑음강진군 31.7℃
  • 구름조금경주시 32.5℃
  • 맑음거제 29.8℃
기상청 제공

빅테크

[빅테크칼럼] “1400조원 AI 저작권 집단소송"…앤트로픽 ‘존폐 위기’ 몰렸다

 

[뉴스스페이스=윤슬 기자] 미국 캘리포니아 연방 법원이 인공지능 기업 앤트로픽(Anthropic)을 상대로 한 저작권 집단 소송을 공식 인증하며, 미국 저작권 사에 ‘사상 최대 규모’의 판돈이 걸린 법정 공방이 시작됐다.

 

LA Times, Publishers Weekly, TechContracts, Bloomberg Law 등의 주요매체들은 이 판결로 AI 산업 전반이 심각한 저작권 리스크에 직면했으며, 업계의 ‘관행’을 근본부터 뒤흔든다는 평가라고 보도했다.

 

700만권, 최대 1조500억 달러…“AI 기업 한방에 무너진다”


미국 캘리포니아 북부지방법원 윌리엄 앨섭(W. Alsup) 판사는 2025년 7월 17일, 작가 안드레아 바츠, 찰스 그레이버, 커크 월리스 존슨 등 3인이 제기한 저작권 침해 소송을 미국 내 모든 피해 작가를 대표하는 집단 소송(class action)으로 인정했다.

 

앤트로픽이 2021~2022년 해적 도서관 LibGen, PiLiMi에서 약 700만권의 책을 불법 다운로드해 AI 모델 ‘끌로드 Claude’ 훈련 데이터로 활용했다는 점이 쟁점이다.

 

집단 소송 인증으로 잠재적 손해배상 규모가 ‘하늘 높은 줄 모르고’ 치솟았다. 연방법상 고의적 저작권 침해 시 작품당 최대 15만달러의 법정 손해배상금이 책정된다. 만약 침해 도서 700만권이 모두 인정될 경우, 앤트로픽이 감당해야 할 잠재 책임은 무려 1조500억달러(약 1400조원). 이는 앤트로픽의 연 매출 30억달러, 시가총액 1000억달러에 비해 압도적으로 높은 ‘사업종말 수준’의 금액이다.

 

로스앤젤레스타임스는 “AI 혁명을 멈출 수 있는 숫자 $1.05조… Anthropic의 존폐를 건 법적 싸움”이라고 논평했다.


AI 학습 공정 사용 인정, 그러나 ‘해적 자료’ 저장은 위법


이번 판결의 핵심은 ‘AI가 저작권 도서로 학습하는 행위’와 ‘불법 복제본 보관’의 ‘명확한 구분’에 있다. 앨섭 판사는 AI가 저작권 도서를 학습하는 행위는 “지극히 변형적인(fairly transformative) 특성”으로 공정 이용(fair use)에 해당한다고 보았다. 그러나 대량의 해적본을 ‘중앙 디지털 라이브러리’에 저장(영구 소유)하는 것은 “명백한 저작권 침해”로 결론냈다.

 

판결은 기존 AI 업계의 ‘통 큰 데이터 수집’ 관행에 경종을 울렸다. 앤트로픽의 라이브러리 구축이 음악업계의 ‘나프스터 사태(Napster-style downloading)’와 유사하며, 만약 집단 소송이 없으면 현실적으로 보상이나 제재가 불가능하다고 지적했다.

 

재판 향후 절차와 확산되는 AI 저작권 소송


앨섭 판사는 앤트로픽에 8월 1일까지 문제의 도서 메타데이터(제목·저자·출판사·ISBN) 목록을 원고 측에 제공하고, 저자 측은 9월 1일까지 실제 피해 도서 전체 명단을 제출하도록 명령했다. 본안 재판은 12월 열릴 예정이다.

 

이 사건은 오픈AI, 마이크로소프트(Microsoft), 메타(Meta) 등 글로벌 AI 기업들을 상대로 제기된 비슷한 전 세계적 집단 소송 물결의 일부다. 실제로 MS와 오픈AI 역시 뉴욕타임스 및 저명 저자들로부터 별도의 저작권 침해 소송에 휘말려 있다.

 

업계, 존폐 위기에 “라이선스 체결 없인 AI 사업 불가” 현실화


AI 학습 데이터 라이선스 체결이 글로벌 스탠더드가 될 전망이다. 음악저작권협회(Authors Guild) CEO 메리 라센버거는 “판결은 놀랍지 않다”며 강한 환영의 뜻을 밝혔고, 앤트로픽은 즉각 상급심에 항소 방침을 밝혔다.

 

AI가 모든 지식과 문화를 ‘공짜로’ 가져다 쓸 수 있는 시대는 이제 끝나가고 있다. 업계는 창작자 저작권을 존중하는 ‘새로운 질서’ 수립을 요구받고 있으며, 이번 판결은 글로벌 AI 산업의 게임체인저가 될 전망이다.

배너
배너
배너

관련기사

45건의 관련기사 더보기


[빅테크칼럼] MIT "양자역학에 관한 아인슈타인 예측 틀렸다" 확인…아인슈타인-보어 ‘빛의 이중성’ 논란, 100년 만에 마침표

[뉴스스페이스=이종화 기자] 미국 MIT(Massachusetts Institute of Technology) 물리학자들은 알베르트 아인슈타인과 닐스 보어 사이에서 거의 한 세기 동안 이어져 온 빛의 근본적 성질에 관한 논쟁을 해결했으며, 양자역학에 관한 아인슈타인의 예측이 잘못되었음을 확인했다. 2025년 7월, MIT 물리학자들이 발표한 역사적인 연구가 100년 가까이 이어진 ‘빛의 양자 이중성’ 논란에 종지부를 찍었다. 이 연구는 Physical Review Letters에 게재됐다. 또 빛의 파동성과 입자성에 관한 아인슈타인과 보어의 논쟁에 결정적인 해답을 제시했다. 1927년 아인슈타인은 “광자가 슬릿을 통과하며 나뭇가지를 스치는 새처럼 미세한 흔적을 남길 수 있다면, 우리는 빛의 입자성과 파동성을 동시에 측정할 수 있을 것”이라고 주장했다. 그러나 닐스 보어는 하이젠베르크 불확정성 원리에 근거해 “광자의 경로를 측정하려는 모든 시도는 파동 간섭 무늬 자체를 파괴한다”고 반박했다. MIT 연구진의 실험은 보어의 주장이 옳았음을 현대 양자역학의 가장 정밀한 방식으로 증명했다. MIT는 1만개 이상의 초저온 원자를(섭씨 -273.15도 바로 위인 마이크

[빅테크칼럼] 美 CEO "정리해고를 AI 성공의 증거·AI가 해고 합리화 명분"…도덕적 부담에서 전략적 이점으로

[뉴스스페이스=이종화 기자] AI가 촉발한 대규모 정리해고가 ‘위기 신호’에서 ‘경영 성과’로 탈바꿈하며 2025년 미국 기업 고용문화에 새로운 바람이 불고 있다. CEO들이 인력 감축을 더 이상 조직의 위기 신호로 숨기지 않고, 오히려 AI 성공과 효율화의 지표로 짜임새 있게 포장해 주주와 투자자들에게 공개적으로 과시하는 새로운 트렌드가 자리 잡고 있다. 월스트리트저널과 CNBC 등 복수의 외신에 따르면, 미국 대기업 경영진들은 정기 실적 발표에서 “AI 투자에 따른 생산성 혁신”과 “고효율 경영 체계”를 강조하며, 전례 없는 속도의 인력 감축 데이터를 동반해 이를 ‘전략적 성취’로 내세우고 있다. 웰스파고·뱅크오브아메리카·버라이즌…“효율 우선, headcount는 줄일수록 좋다” 웰스파고(CEO 찰리 샤프)는 최근 5년 만에 직원 수를 23% 줄였고, 20분기 연속 감축 행진을 이어갔다. 2024년 6월 기준 직원은 22만2544명으로, 2023년 대비 약 3300명, 2019년 이후로는 약 6만7000명 감축됐다. 웰스파고 샤프 CEO는 “자연 감원을 ‘우리의 친구로’ 삼아, AI 기반 솔루션 도입으로 인건비를 대폭 절감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뱅크 오

[핫픽] 이재용과 머스크의 궁합 조사해보니 '92%'…테슬라發 23조원 잭팟의 숨은 의미

[뉴스스페이스=이종화 기자] 7월 28일 삼성전자와 테슬라 간에 성사된 165억 달러(약 22조8000억원) 규모의 파운드리(반도체 위탁생산) 수주 계약이 글로벌 산업계를 뒤흔들고 있다. 일론 머스크 테슬라 CEO가 “이 금액은 최소치에 불과하며, 실 생산량은 몇 배 더 늘어날 것”이라고 X(구 트위터)를 통해 밝힌 이후, 이번 계약이 갖는 산업적 파급력과 전략적 의미에 대해 국내외 매체와 업계의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이처럼 뜨거운 반향 속에, 현장에는 이번 협업을 위트 있게 풍자한 한 장의 이미지가 온라인상에서 화제를 모았다. 해당 이미지는 삼성전자와 머스크(테슬라)를 ‘이름 궁합 테스트’ 형식으로 92%의 높은 궁합률을 기록하며, ‘머스크 님께 일촌을 신청합니다’라는 메시지와 귀여운 그래픽으로 디자인됐다. 이러한 이미지는 실생활의 연애, 우정처럼 기업간 협력도 궁합이 중요하다는 시대적 감각을 익살스럽게 보여주고 있다. 화제의 이미지는 본래 연인·친구 궁합 테스트로 활용되는 ‘이름 궁합’ 방식을 변형했지만, 실제 산업 협업에서 '궁합 지수'가 현실적 전략요소로 부각된 사례는 적잖다. 포브스, CNBC 등의 주요 외신들도 2024년 6월 “테슬라와 삼성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