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9.13 (토)

  • 맑음동두천 25.8℃
  • 구름조금강릉 27.3℃
  • 맑음서울 26.6℃
  • 구름많음대전 25.0℃
  • 흐림대구 22.6℃
  • 흐림울산 23.8℃
  • 구름많음광주 24.8℃
  • 흐림부산 27.2℃
  • 구름조금고창 25.2℃
  • 제주 24.5℃
  • 맑음강화 25.7℃
  • 구름많음보은 24.4℃
  • 구름많음금산 25.9℃
  • 구름많음강진군 26.3℃
  • 흐림경주시 22.1℃
  • 구름많음거제 25.3℃
기상청 제공

빅테크

[빅테크칼럼] “1400조원 AI 저작권 집단소송"…앤트로픽 ‘존폐 위기’ 몰렸다

 

[뉴스스페이스=윤슬 기자] 미국 캘리포니아 연방 법원이 인공지능 기업 앤트로픽(Anthropic)을 상대로 한 저작권 집단 소송을 공식 인증하며, 미국 저작권 사에 ‘사상 최대 규모’의 판돈이 걸린 법정 공방이 시작됐다.

 

LA Times, Publishers Weekly, TechContracts, Bloomberg Law 등의 주요매체들은 이 판결로 AI 산업 전반이 심각한 저작권 리스크에 직면했으며, 업계의 ‘관행’을 근본부터 뒤흔든다는 평가라고 보도했다.

 

700만권, 최대 1조500억 달러…“AI 기업 한방에 무너진다”


미국 캘리포니아 북부지방법원 윌리엄 앨섭(W. Alsup) 판사는 2025년 7월 17일, 작가 안드레아 바츠, 찰스 그레이버, 커크 월리스 존슨 등 3인이 제기한 저작권 침해 소송을 미국 내 모든 피해 작가를 대표하는 집단 소송(class action)으로 인정했다.

 

앤트로픽이 2021~2022년 해적 도서관 LibGen, PiLiMi에서 약 700만권의 책을 불법 다운로드해 AI 모델 ‘클로드 Claude’ 훈련 데이터로 활용했다는 점이 쟁점이다.

 

집단 소송 인증으로 잠재적 손해배상 규모가 ‘하늘 높은 줄 모르고’ 치솟았다. 연방법상 고의적 저작권 침해 시 작품당 최대 15만달러의 법정 손해배상금이 책정된다. 만약 침해 도서 700만권이 모두 인정될 경우, 앤트로픽이 감당해야 할 잠재 책임은 무려 1조500억달러(약 1400조원). 이는 앤트로픽의 연 매출 30억달러, 시가총액 1000억달러에 비해 압도적으로 높은 ‘사업종말 수준’의 금액이다.

 

로스앤젤레스타임스는 “AI 혁명을 멈출 수 있는 숫자 $1.05조… Anthropic의 존폐를 건 법적 싸움”이라고 논평했다.


AI 학습 공정 사용 인정, 그러나 ‘해적 자료’ 저장은 위법


이번 판결의 핵심은 ‘AI가 저작권 도서로 학습하는 행위’와 ‘불법 복제본 보관’의 ‘명확한 구분’에 있다. 앨섭 판사는 AI가 저작권 도서를 학습하는 행위는 “지극히 변형적인(fairly transformative) 특성”으로 공정 이용(fair use)에 해당한다고 보았다. 그러나 대량의 해적본을 ‘중앙 디지털 라이브러리’에 저장(영구 소유)하는 것은 “명백한 저작권 침해”로 결론냈다.

 

판결은 기존 AI 업계의 ‘통 큰 데이터 수집’ 관행에 경종을 울렸다. 앤트로픽의 라이브러리 구축이 음악업계의 ‘나프스터 사태(Napster-style downloading)’와 유사하며, 만약 집단 소송이 없으면 현실적으로 보상이나 제재가 불가능하다고 지적했다.

 

재판 향후 절차와 확산되는 AI 저작권 소송


앨섭 판사는 앤트로픽에 8월 1일까지 문제의 도서 메타데이터(제목·저자·출판사·ISBN) 목록을 원고 측에 제공하고, 저자 측은 9월 1일까지 실제 피해 도서 전체 명단을 제출하도록 명령했다. 본안 재판은 12월 열릴 예정이다.

 

이 사건은 오픈AI, 마이크로소프트(Microsoft), 메타(Meta) 등 글로벌 AI 기업들을 상대로 제기된 비슷한 전 세계적 집단 소송 물결의 일부다. 실제로 MS와 오픈AI 역시 뉴욕타임스 및 저명 저자들로부터 별도의 저작권 침해 소송에 휘말려 있다.

 

업계, 존폐 위기에 “라이선스 체결 없인 AI 사업 불가” 현실화


AI 학습 데이터 라이선스 체결이 글로벌 스탠더드가 될 전망이다. 음악저작권협회(Authors Guild) CEO 메리 라센버거는 “판결은 놀랍지 않다”며 강한 환영의 뜻을 밝혔고, 앤트로픽은 즉각 상급심에 항소 방침을 밝혔다.

 

AI가 모든 지식과 문화를 ‘공짜로’ 가져다 쓸 수 있는 시대는 이제 끝나가고 있다. 업계는 창작자 저작권을 존중하는 ‘새로운 질서’ 수립을 요구받고 있으며, 이번 판결은 글로벌 AI 산업의 게임체인저가 될 전망이다.

배너
배너
배너

관련기사

57건의 관련기사 더보기


[빅테크칼럼] 200억 몸값 AI 천재, 오픈AI 떠나 中 텐센트로…‘위챗’ 서비스에 AI 기술 통합 임무 맡을듯

[뉴스스페이스=김시민 기자] 세계 인공지능(AI) 산업이 전례 없는 인재 쟁탈전을 벌이는 가운데, 오픈AI의 핵심 연구원이 중국 최대 정보기술(IT) 기업 텐센트로 전격 이직해 주목받고 있다. 블룸버그통신 9월 12일(현지시간) 보도에 따르면, 29세의 AI 연구원 야오순위(Yao Shunyu)는 중국 칭화대 졸업 후 프린스턴대에서 컴퓨터과학 박사학위를 최연소 논문자로 취득했고, 구글 인턴십을 거쳐 지난해 6월부터 오픈AI에서 AI 에이전트 연구를 담당해왔다. 그는 페이스북 모회사 메타가 초지능 연구소 강화를 위해 영입을 적극 추진했던 인재이기도 하다. 텐센트는 야오순위에게 최대 1억 위안, 한화 약 195억원에 달하는 보상 패키지를 제안한 것으로 알려졌다. 구체적 계약 조건은 공개되지 않았으나, 이는 현재 글로벌 IT 기업들이 AI 인재 확보를 위해 막대한 자금을 쏟아붓는 상황을 반영한다. 메타는 오픈AI, 구글, 애플 출신 AI 연구원 50여 명에게 최대 1억 달러(약 1371억원)에 달하는 연봉 패키지를 제시하는 등 공격적 인재 영입 경쟁을 펼치고 있다. 세계 AI 인재 확보 경쟁의 중심지인 미국에서는 트럼프 행정부 시절 이민 정책과 연구개발 예산 축소

[빅테크칼럼] 테슬라 8년차 엔지니어 퇴사하며 머스크에 '직격탄'…"흔들리는 머스크 리더십과 경영진 이탈 가속”

[뉴스스페이스=김정영 기자] 테슬라에서 8년간 근무한 조르지오 발레스트리에리 에너지 엔지니어가 최근 사임하며, CEO 일론 머스크의 리더십 문제를 공개적으로 지적하는 강도 높은 링크드인 게시글을 남겨 업계 전반의 관심을 모으고 있다. 비즈니스 인사이더, 유나이티드 레드텍, 타임스오브인디아에 따르면, 발레스트리에리는 테슬라 유럽 에너지 트레이딩 알고리즘과 오토비더 플랫폼 등에서 핵심 역할을 맡았으며, 9월 11일 게시글에서 머스크가 “테슬라의 미션과 여러 국가의 민주주의에 심각한 피해를 줬다”고 비판했다. 조직 내 분위기도 심상치 않다는 점이, 최근 테슬라 경영진의 집단 이탈에서 드러난다. 2025년 한 해에만 최소 10명의 임원이 떠났으며(예: 북미 영업 부문 부사장 트로이 존스, 머스크의 측근 오미드 아프샤르 등), 2024년 중반 이후 14명의 고위 임원이 사임했다. 이러한 반복적 리더십 유출은 단순 퇴사를 넘어 조직 전반의 신뢰 및 전략적 방향성에 심각한 의문을 던진다. 비즈니스 인사이더 취재에 따르면, 테슬라는 내부 교육에서 직원 사기 저하와 번아웃 문제를 공식적으로 인정했으며, 2023년 말 약 14만473명에서 2025년 12만1000명으로 인력이

[빅테크칼럼] 테슬라, 주가 7% 올라 7개월만에 최고치…로보택시·에너지사업 낙관론·금리인하 전망 '모멘텀'

[뉴스스페이스=윤슬 기자] 일론 머스크가 이끄는 전기차업체 테슬라 주가가 9월 12일(현지시간) 하루 7% 넘게 올라 7개월여 만에 최고치를 기록했다. 이날 뉴욕증시에서 테슬라는 전날보다 7.36% 오른 395.94달러에 마감했다. 전기차 판매 부진 등 여러 악재가 산재돼 있지만 증시에서는 로보(무인)택시와 휴머노이드 로봇, 에너지 사업 등에 대한 낙관론에 힘을 실어준 것으로 분석된다. 지난 한 주간 주가 상승률은 13%에 달한다. 이번 주가 급등은 완전 자율주행(FSD) 기술 개선과 로보택시 확장, 그리고 연방준비제도(Fed)의 기준금리 인하 기대가 맞물린 결과다. 9월 12일 기준 테슬라 주가는 395.94달러로, 연초 저점(3월 약 222달러)과 비교해 77% 가까이 상승했으며, 지난해 말 404달러 수준에 근접했다. 월가에서는 테슬라의 자율주행·AI 혁신과 더불어, 배터리 저장장치(메가팩3·메가블록) 사업 성장세, 장기 CEO 보상안 등 긍정적 이슈들이 투자심리를 자극한다는 분석이 나온다. 주요 애널리스트 일타이 미카엘리(TD 코웬)는 테슬라 장기 성장 경로에 대한 신뢰가 더 커졌다며, 목표주가를 374달러로 제시했다. 게다가 시장 측면에서 금리 인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