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11.17 (월)

  • 맑음동두천 4.1℃
  • 맑음강릉 9.9℃
  • 구름많음서울 3.8℃
  • 구름많음대전 7.8℃
  • 맑음대구 9.7℃
  • 맑음울산 12.0℃
  • 구름많음광주 8.4℃
  • 연무부산 13.8℃
  • 구름많음고창 8.5℃
  • 맑음제주 14.5℃
  • 구름많음강화 2.5℃
  • 구름많음보은 6.2℃
  • 구름많음금산 7.1℃
  • 구름조금강진군 10.4℃
  • 맑음경주시 11.4℃
  • 구름조금거제 13.7℃
기상청 제공

빅테크

'오픈AI 라이벌' 앤트로픽, 5조원 투자유치 '몸값 88조' 껑충…‘하이브리드 AI’ 공개

앤스로픽, 35억 달러 펀딩...딥시크 위협에도 투자 열기 '후끈'
몸값도 180억 달러서 615억 달러로 '껑충'
24일 최첨단 AI 모델 '클로드 3.7 소넷' 출시

 

[뉴스스페이스=김정영 기자] 오픈AI의 강력한 기술적 라이벌로 꼽히는 인공지능(AI) 스타트업 앤트로픽(Anthropic)이 35억 달러(약 5조61억원) 규모 자금 조달 라운드를 마무리했다.

 

24일(현지시간) 월스트리트저널(WSJ)에 따르면, 앤트로픽은 당초 20억 달러를 조달할 계획이었으나 투자자들과 논의하는 과정에서 35억 달러로 투자 금액을 확대했다. 벤처캐피털 라이트스피드 벤처 파트너스, 제너럴 카탈리스트, 베세머 벤처 파트너스 등이 투자자로 이름을 올렸다. 아부다비 정부 산하 글로벌 AI 투자기업 MGX도 참여한다.

 

이번 투자유치로 앤트로픽의 기업가치는 615억 달러(약 87조9634억원)로 껑충 뛰었다. 작년 멘로 벤처스 주도 자금 조달 라운드에서 기업가치를 180억 달러로 평가받았는데, 1년 만에 3.4배 뛴 것.

 

앤트로픽은 2021년 오픈AI 출신들이 설립한 스타트업이다. 이미 앤스로픽에 약 80억 달러(약 10조4000억원)를 투자한 아마존에 이어 구글까지 투자자로 두고 있다. 앤트로픽의 AI ‘클로드’는 일반 사용자 사이에서는 시장 선두주자인 오픈AI에 다소 뒤처지지만 프로그래머와 비즈니스 고객들에게는 인기가 높다.

 

WSJ는 "중국의 딥시크가 혁신적으로 등장했음에도 불구하고 유망한 AI 기업을 지원하려는 투자자들의 의지가 얼마나 강한지 보여준다"고 밝혔다.


앤트로픽이 이번에 대규모 투자 수요를 확인하면서 AI 투자 수요를 확인했다는 평가가 나온다. 최근 오픈AI는 기업 가치를 3000억달러로 평가받으며 최대 400억달러를 모금하기 위해 논의 중이다.

 

앤스로픽의 챗봇 ‘클로드(Claude)’는 오픈AI의 ‘챗GPT(ChatGPT)’와 구글의 ‘제미나이(Gemini)’와 경쟁하고 있다.

 

이날 앤트로픽은 최신 추론 모델 클로드 3.7 소넷을 공개했다. 회사 측은 클로드 3.7 소넷이 업계 최초 하이브리드 모델이라고 소개했다. 인간의 뇌처럼 간단한 질문엔 빠르게 응답하고, 복잡한 질문엔 추론을 거친다는 설명이다. 오픈AI가 오는 5월께 비추론 모델과 추론 모델을 통합한 GPT-5를 출시할 것으로 알려진 가운데 시장 선점에 나선 것으로 풀이된다.
 

관계자에 따르면 앤스로픽의 연간 수익은 12억 달러(약 1조7178억원) 정도로, 여전히 손실을 보고 있으나 최근 자금 조달로 얻은 현금으로 더 강력한 AI 모델을 훈련시킬 계획이다. 오픈AI의 경우 지난해 10월 펀딩 라운드에서 투자자들에게 올해 37억 달러(약 5조2958억원)의 수익이 예상된다고 밝힌 바 있다.

 

최근 WSJ는 오픈AI도 최대 400억 달러(약 57조2520억 원) 펀딩을 논의 중이며, 기업 가치는 3000억 달러(약 429조3900억 원)로 평가된다고 보도했다.

배너
배너
배너

관련기사

31건의 관련기사 더보기


[빅테크칼럼] "혈당을 넘어 당뇨병 합병증 근본 해결"…NYU 연구진, 염증 원천 표적하는 혁신 약물 RAGE406R 개발

[뉴스스페이스=김시민 기자] 최근 미국 뉴욕대학(NYU) 랭곤 헬스 연구진이 혈당 조절과 무관하게 당뇨병 합병증의 근본 원인을 표적하는 혁신적 저분자 화합물 RAGE406R을 개발해 주목받고 있다. 이 약물은 당뇨병 환자에서 흔히 발생하는 염증과 조직 손상, 특히 상처 치유 지연 문제를 획기적으로 개선하는 효과를 보였다. 연구 결과는 2025년 11월 14일 생화학 분야의 권위지 ‘Cell Chemical Biology’에 발표됐다.​ 현재 당뇨병 치료제는 주로 혈당 수치를 낮추는데 집중되어 있으나, 심혈관 질환, 신장 질환, 만성 염증과 같은 합병증에 직접 작용하는 치료법은 미비한 실정이다. 이번 연구에서 RAGE406R은 당뇨병 환자의 세포 내에서 염증 신호를 촉발하는 RAGE(최종당화산물 수용체)와 DIAPH1 단백질의 상호작용을 차단하는 기전으로 작동한다. 이 상호작용이 억제되면서 염증 매개물질 CCL2의 분비가 현저히 줄어들어 대식세포 내 염증 반응이 완화됐다.​ 특히, 비만형 제2형 당뇨병 생쥐에 국소 적용된 실험에서 RAGE406R은 상처 치유 속도를 대폭 높여, 치유 지연으로 고통받는 당뇨환자에게 실질적 도움을 줄 수 있음을 증명했다. 남녀 당

[빅테크칼럼] 테슬라, 美 전기차 생산서 중국산 부품 전면 배제…"미중갈등 지정학 리스크 대응차원"

[뉴스스페이스=김정영 기자] 글로벌 전기차 선두주자 테슬라가 미국 내 생산 전기차에 사용되는 부품에서 중국산을 전면 배제하는 전략을 본격 추진하고 있다. 이는 미·중 간 고조된 지정학적 긴장과 무역 분쟁에 따른 공급망 리스크를 최소화하고, 관세 부담을 줄이기 위한 조치로 평가받는다. 월스트리트저널, 로이터, CBS, 배터리테크온라인, 테슬라매그에 따르면, 테슬라와 주요 공급업체들은 이미 미국에서 생산되는 전기차에 들어가는 일부 중국산 부품을 현지 혹은 타지역에서 생산된 부품으로 대체했으며, 앞으로 1~2년 내에 모든 중국산 부품을 중국 외 지역에서 조달한 부품으로 교체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이 같은 결정은 2025년 초 확정됐으며, 공급망 다변화의 일환으로 코로나19 팬데믹 당시 중국산 부품 수급 차질 경험과 올해 들어 미국 정부가 중국산 품목에 고율 관세를 부과한 영향이 컸다.​ 특히 테슬라가 대체에 가장 난항을 겪는 부문은 LFP(리튬인산철) 배터리다. 기존에 중국 CATL이 주요 공급사였던 LFP 배터리는 미국 내 판매 차량의 세액공제 대상에서 중국산 배터리를 장착한 차량이 제외되면서 사용이 중단됐다. 이에 테슬라는 네바다주에 10GWh 규모의 자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