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10.02 (목)

  • 맑음동두천 25.8℃
  • 구름조금강릉 27.3℃
  • 맑음서울 26.6℃
  • 구름많음대전 25.0℃
  • 흐림대구 22.6℃
  • 흐림울산 23.8℃
  • 구름많음광주 24.8℃
  • 흐림부산 27.2℃
  • 구름조금고창 25.2℃
  • 제주 24.5℃
  • 맑음강화 25.7℃
  • 구름많음보은 24.4℃
  • 구름많음금산 25.9℃
  • 구름많음강진군 26.3℃
  • 흐림경주시 22.1℃
  • 구름많음거제 25.3℃
기상청 제공

빅테크

'오픈AI 라이벌' 앤트로픽, 5조원 투자유치 '몸값 88조' 껑충…‘하이브리드 AI’ 공개

앤스로픽, 35억 달러 펀딩...딥시크 위협에도 투자 열기 '후끈'
몸값도 180억 달러서 615억 달러로 '껑충'
24일 최첨단 AI 모델 '클로드 3.7 소넷' 출시

 

[뉴스스페이스=김정영 기자] 오픈AI의 강력한 기술적 라이벌로 꼽히는 인공지능(AI) 스타트업 앤트로픽(Anthropic)이 35억 달러(약 5조61억원) 규모 자금 조달 라운드를 마무리했다.

 

24일(현지시간) 월스트리트저널(WSJ)에 따르면, 앤트로픽은 당초 20억 달러를 조달할 계획이었으나 투자자들과 논의하는 과정에서 35억 달러로 투자 금액을 확대했다. 벤처캐피털 라이트스피드 벤처 파트너스, 제너럴 카탈리스트, 베세머 벤처 파트너스 등이 투자자로 이름을 올렸다. 아부다비 정부 산하 글로벌 AI 투자기업 MGX도 참여한다.

 

이번 투자유치로 앤트로픽의 기업가치는 615억 달러(약 87조9634억원)로 껑충 뛰었다. 작년 멘로 벤처스 주도 자금 조달 라운드에서 기업가치를 180억 달러로 평가받았는데, 1년 만에 3.4배 뛴 것.

 

앤트로픽은 2021년 오픈AI 출신들이 설립한 스타트업이다. 이미 앤스로픽에 약 80억 달러(약 10조4000억원)를 투자한 아마존에 이어 구글까지 투자자로 두고 있다. 앤트로픽의 AI ‘클로드’는 일반 사용자 사이에서는 시장 선두주자인 오픈AI에 다소 뒤처지지만 프로그래머와 비즈니스 고객들에게는 인기가 높다.

 

WSJ는 "중국의 딥시크가 혁신적으로 등장했음에도 불구하고 유망한 AI 기업을 지원하려는 투자자들의 의지가 얼마나 강한지 보여준다"고 밝혔다.


앤트로픽이 이번에 대규모 투자 수요를 확인하면서 AI 투자 수요를 확인했다는 평가가 나온다. 최근 오픈AI는 기업 가치를 3000억달러로 평가받으며 최대 400억달러를 모금하기 위해 논의 중이다.

 

앤스로픽의 챗봇 ‘클로드(Claude)’는 오픈AI의 ‘챗GPT(ChatGPT)’와 구글의 ‘제미나이(Gemini)’와 경쟁하고 있다.

 

이날 앤트로픽은 최신 추론 모델 클로드 3.7 소넷을 공개했다. 회사 측은 클로드 3.7 소넷이 업계 최초 하이브리드 모델이라고 소개했다. 인간의 뇌처럼 간단한 질문엔 빠르게 응답하고, 복잡한 질문엔 추론을 거친다는 설명이다. 오픈AI가 오는 5월께 비추론 모델과 추론 모델을 통합한 GPT-5를 출시할 것으로 알려진 가운데 시장 선점에 나선 것으로 풀이된다.
 

관계자에 따르면 앤스로픽의 연간 수익은 12억 달러(약 1조7178억원) 정도로, 여전히 손실을 보고 있으나 최근 자금 조달로 얻은 현금으로 더 강력한 AI 모델을 훈련시킬 계획이다. 오픈AI의 경우 지난해 10월 펀딩 라운드에서 투자자들에게 올해 37억 달러(약 5조2958억원)의 수익이 예상된다고 밝힌 바 있다.

 

최근 WSJ는 오픈AI도 최대 400억 달러(약 57조2520억 원) 펀딩을 논의 중이며, 기업 가치는 3000억 달러(약 429조3900억 원)로 평가된다고 보도했다.

배너
배너
배너

관련기사

27건의 관련기사 더보기


[빅테크칼럼] 구글, AI 챗봇 ‘제미나이 포 홈’ 탑재 스마트홈 공개…아마존 ‘알렉사+’와 경쟁

[뉴스스페이스=김정영 기자] 구글이 2025년 10월 1일(현지시간) 스마트홈 브랜드 네스트(Nest)의 신제품을 공개하며, 생성형 인공지능(AI) ‘제미나이 포 홈(Gemini for Home)’을 탑재한 스마트홈 기기 대중화에 나섰다. 이에 앞서 하루 전 공개된 아마존의 ‘알렉사+’ 탑재 신형 홈 기기들과의 경쟁이 치열해질 전망이다. 구글 2025 공식 블로그, 토큰포스트, 카운터포인트리서치에 따르면, 이번에 공개된 구글 신제품은 2K 해상도의 네스트 캠 인도어·아웃도어 카메라, 신형 네스트 도어벨, 360도 음향을 지원하는 소형 홈 스피커 등이다. 특히 ‘제미나이 포 홈’ AI 플랫폼은 기존의 구글 어시스턴트를 완전히 대체하며, 사용자가 대화하듯 자연스럽게 명령을 내릴 수 있도록 하는 점이 핵심이다. 구글은 향후 지난 10년 간 판매된 네스트 디스플레이, 스피커, 카메라, 도어벨 등 모든 스마트홈 기기에도 ‘제미나이 포 홈’을 적용할 계획이다. ‘제미나이 포 홈’은 복잡한 대화 문맥을 이해하고 다단계 명령 수행이 가능하며, 사용자 반복 없이 한결 자연스러운 음성 대화를 통해 스마트홈 전반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스피커에 있는 재료를 알려주면 AI가 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