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뉴스스페이스=김혜주 기자] 경기도 수원시의 한 아파트 단지가 37년 동안 수도요금 없이 지하수로 생활용수를 해결해온 사실이 드러나 화제를 모으고 있다. 바로 영통구 망포동 청와아파트 이야기다.
최근 단수 사태 이후 마침내 2025년 7월부터 상수도 전환이 이뤄지면서 논란과 관심이 더욱 커지고 있다.
“공짜 물”의 끝, 수도꼭지마저 잠겼다
1988년 준공된 청와아파트는 당시 행정구역이 화성군(현 화성시) 태안읍에 속해 있었으나, 1995년 수원시로 편입됐다. 입주시점부터 별도의 전용 지하수 관정을 사용, 250가구 전체가 상수도 없이 지하수만으로 생활했다. 수도권 한복판에서 드문 형태였기에 수원시의 상수도 공급률 역시 오랜 기간 100%에 미치지 못했다.
실제로 2006년 기준 수도급수율은 99.6%, 2009년에는 99.9%였지만, 단 한 곳, 청와아파트만이 제외된 셈이다.
수도요금이 전혀 청구되지 않았던 것도 사실이다. 지하수 사용에 따른 별도의 요금 체계가 없었고, 관리비 일부로 전기와 유지비만 분담해온 것. 주민 상당수는 “지하수가 계속 잘 나왔으니 굳이 돈 들여 상수도를 쓸 이유가 없었다”는 반응을 보여왔다.
단수 사태, 변화의 신호탄
하지만 변화는 2025년 7월, 기록적인 폭염과 가뭄으로 촉발됐다. 7월 1일 오후 8시경, 청와아파트 전체에 갑작스러운 단수가 발생했다. 원인은 “지하수 고갈”. 관리사무소와 주민자치위원회가 급수차를 부르며 임시로 대응했지만, 단수는 3일까지 이어져 주민 불편이 극심했다. 씻기조차 어려웠던 불편은 세탁, 설거지 등 일상 전반의 위기로 번졌다.
이 사태는 예견된 일이기도 했다. 아파트의 지하수 수위는 해마다 낮아졌고, 수질관리에서는 질산성 질소나 대장균 등 부적합 판정이 반복됐다. 수원시는 매년 주기적 수질검사를 실시했지만, 근본적 한계는 넘지 못했다는 지적이 많았다.
1억원 들여 3일만에 급수공사, 수도세 시대 개막
수년간 수원시는 주민들에게 상수도 전환을 제안했다. 그러나 상수도관 설치비(약 1억원 상당)를 입주민이 분담해야 했고, 전체 250가구 중 세입자 비율이 상당히 높아 집주인 동의 확보가 까다로웠다. “재개발 예정이니 그때 하자”, “요금부담이 크다”, “지금까지 문제없었다” 등 반대 의견도 높았다.
하지만 2025년 7월, 실질적 단수 사태가 모든 관성을 뒤흔들었다. 주민들은 장기수선충당금을 활용해 비용을 마련했고, 수원시와 시의원, 소방 등 유관기관의 도움으로 보통 2주 이상 걸리는 급수관로 공사를 단 3일 만에 끝냈다. 7월 4일부터 모든 가구에 시 상수도가 정상적으로 공급되기 시작했다.
수원시도 이로써 상수도 급수율 100% 시대를 맞이했다.
이번 사건의 의미와 메시지
청와아파트의 사례는 수도인프라의 ‘공공성’ 논쟁은 물론, 급변하는 환경문제(폭염, 가뭄)와 노후 공동주택 관리의 현주소까지 드러냈다. 수원시 당국자는 “지하수보다 시 상수도는 수질이 뛰어나고, 안정성이 높다”며 “앞으로는 모든 시민이 안심하고 마실 수 있는 수돗물 공급에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이번 사태를 지켜본 온라인 커뮤니티와 SNS에서는 ‘수도권 한복판에서 37년간 수도요금을 안낸 아파트라니’, ‘지하수로 버틴 이력이 신기하다’, ‘공공시설과 기본요금의 가치에 대해 다시 생각했다’는 반응이 이어지고 있다.
“37년간 공짜물 먹던 주민들, 결국 내게 된 수도요금. 수원시의 수도 인프라와 공공서비스의 진가가 빛났다”는 평가도 설득력을 얻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