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4.01 (화)

  • 맑음동두천 12.9℃
기상청 제공

우주·항공

국적항공사 ‘시간 준수율’ 1위와 꼴찌?…상반기 항공사 평가결과 알아보니

상반기 항공사 서비스 평가 결과…"10개 국적사 양호"
"일부 외항사는 이용자 보호·서비스 개선 필요"
운항 신뢰성 국제선 기준 국적사 1위 에어부산, 꼴찌 에어서울
이용자 보호 충실성…국적사 모두 A등급, 외항사는 제각각

 

[뉴스스페이스=김시민 기자]우리나라의 올해 항공 여객수가 역대 최고치(2019년 1억2000만명)를 넘어설 것으로 예상되는 가운데, 소비자들이 항공사들을 선택할 때 참고할만한 자료가 공개됐다.

 

국토교통부는 26일 올 상반기(1~6월) 기준 국적사 10곳과 외항사 43곳 등 총 53곳을 대상으로 운항 신뢰성과 이용자 보호 충실성을 평가한 결과를 발표했다. 그 결과 10개 국적 항공사는 전반적으로 양호한 성과를 보였고, 일부 외항사는 이용자 보호와 서비스 개선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항공사 서비스 평가는 그간 연 1회 발표해 왔지만, 올해부터 처음으로 반기별 결과를 공개한 것이다. 운항신뢰성의 경우 시간준수율을 기준으로 하되, 국내선은 사업계획 준수율과 지방공항 국내선 유지 시 가점 등을 추가로 반영한다.

 

먼저, 운항 신뢰성 평가는 ‘시간 준수율’을 기준으로 했는데, 주기장 출발·도착 기준으로 예정보다 15분 이상 늦으면 ‘지연’으로 간주한다. 국제선을 기준으로 국적사 10곳 중 1위는 ‘에어부산’이 차지했는데 유일하게 A+를 받았다. 반대로 10곳 중 꼴찌는 ‘에어서울’로 평가됐는데 미흡 등급인 D++를 받았다. 두 항공사는 모두 아시아나항공 계열 LCC(저비용항공사)다.

국제선 운항 신뢰성에서 대한항공은 B++, 아시아나항공은 B+ 등급을 받았다.

 

국토부는 지방공항 출발 노선 운항사(에어로케이, 에어부산)는 정시성이 높게 평가됐지만, 그 외 국적사는 인천공항의 혼잡과 지난해보다 동남아·중국노선이 확대, 증편된 영향 등으로 정시성이 하락한 것으로 나타났다고 설명했다.

 

국토부 관계자는 “정시성에는 공항의 혼잡도도 영향을 미치는 만큼, 김해공항을 이용하는 에어부산의 정시성이 상대적으로 높게 평가받았다”고 전했다.

 

국제선 기준 외항사 중에서 9곳(중국남방항공, 중국춘추항공, 길상항공, 싱가폴항공, 전일본공수, 일본항공, 타이항공, 세부퍼시픽항공, 카타르항공 등)이 운항 신뢰성 항목에서 최고 등급인 A++를 받았다. 외항사 중에서는 에어프랑스가 유일하게 D++, 꼴찌 평가를 받았다.

 

 

이용자 보호 충실성은 항공사가 피해 구제 계획을 수립하고 이행하는지 여부, 피해 구제의 분쟁조정 결과, 행정처분 이력 등을 평가하는 항목이다. 국적사는 모두 A등급을 받아 이용자 보호 측면에서 매우우수한 것으로 평가됐다. 반면 외항사는 항공사별로 제각각으로 나타났다.

 

외항사 중에서 A++ 등급을 받은 곳은 중화항공, 싱가폴항공, 전일본공수, 캐세이퍼시픽항공, KLM네덜란드항공 등 5곳이다. 반면 길상항공, 세부퍼시픽항공, 필리핀에어아시아, 몽골항공 등 4곳은 보통 수준인 C 등급을 받았고, 에어아시아엑스는 미흡 수준인 D 등급을 받아 이용자 보호에 취약한 것으로 나타났다.

 

국토부 김영혜 항공산업과장은 “이번 평가는 상반기를 기준으로 한 평가로 내년 5월에 발표할 24년 1~12월 기준 평가와는 차이가 발생할 수 있다”면서 “평가 항목 다양화 등 평가를 점차 고도화해 항공사의 지속적인 서비스 개선을 유도하겠다”고 말했다.

배너
배너
배너

관련기사

93건의 관련기사 더보기


애플‧머스크, 위성통신 확장 '정면충돌'…아이폰 vs 스페이스X, 주파수 대역 놓고 '갈등심화'

[뉴스스페이스=윤슬 기자] 애플이 위성통신에 막대한 투자금을 쏟아부으면서 일론 머스크가 경영하는 스페이스X와 신경전을 벌이고 있다. 30일(현지시간) 월스트리트저널(WSJ)에 따르면 위성 서비스 확장을 위해 두 기업은 한정된 주파수 대역을 놓고 경쟁 중이며, 애플이 투자한 미국의 위성통신 사업자 '글로벌스타'로 인해 머스크의 반발이 거세지고 있다고 전했다. 그러면서 스페이스X는 미국 연방통신위원회(FCC)에 애플이 지원하는 위성 확장 계획을 저지할 것을 요구했다고 밝혔다. WSJ는 "애플과 스페이스X 간의 갈등은 세계에서 가장 가치 있는 기업과 최고 부호의 충돌이라는 점에서 주목받고 있다"면서, "위성 기술을 통한 연결성 확대는 아이폰 판매 증가와 스타링크 서비스 확산이라는 양측의 이익과 직결된다"고 진단했다. 따라서 두 기업은 서로의 전략 추진을 위해 협력이 불가피한 상황이라는 것이다. 앞서 애플은 지난해 글로벌스타에 10억달러(1조4743억원) 이상을 투자했다. 애플은 아이폰이 터지지 않는 외딴 지역에서도 아이폰 이용자가 긴급 메시지를 보낼 수 있도록 2022년부터 글로벌스타와 제휴해 왔다. 양측의 갈등은 주파수 범위를 놓고 경쟁을 벌이면서 시작됐다. 저

"항공기 비상문 열겠다" 승무원 폭행한 미국인, 집행유예…"운항의 안전 저해할 위험성"

[뉴스스페이스=윤슬 기자] 항공기 안에서 승무원들을 폭행하고 소란을 피운 20대 미국인에게 징역형 집행유예가 선고됐다. 인천지법 형사4단독(곽여산 판사)은 재물손괴, 항공보안법 위반 혐의로 기소된 미국인 A(26)씨에게 징역 6개월에 집행유예 1년을 선고했다고 24일 밝혔다. A씨는 지난해 11월 7일 오후 11시 30분께 태국 수완나품공항에서 출발해 인천국제공항 제2여객터미널로 향하던 항공기 안에서 승무원 B씨와 C씨를 폭행한 혐의로 재판에 넘겨졌다. A씨는 항공기 비상구 출입문을 개방할 것처럼 행동한 혐의도 있다. 항공기에서 승무원 전용 좌석에 앉아 있던 A씨에게 승무원 B씨가 “여기는 승무원 좌석이다. 본인 자리로 돌아가시라”며 지정 좌석으로 이동할 것을 요구하자 갑자기 소란을 피운 것으로 파악됐다. 또 A씨는 자신이 난동 부리는 모습을 촬영하는 승무원 C씨의 휴대전화를 빼앗고 바닥에 집어 던졌으며 “만약 내가 문을 연다면 우리 다 죽는 것”이라고 말한 것으로 조사됐다. 실제로 A씨는 비상구 출입문에 설치돼 있는 슬라이드 팽창 레버를 만지려고 한 것으로 드러났다. 재판부는 “이 사건 범행으로 다른 탑승객들에게도 상당한 정도의 불편함과 불안함을 초래한 것