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11.17 (월)

  • 구름많음동두천 2.2℃
  • 맑음강릉 8.9℃
  • 흐림서울 3.2℃
  • 구름조금대전 6.6℃
  • 맑음대구 9.5℃
  • 연무울산 11.2℃
  • 맑음광주 8.7℃
  • 연무부산 13.6℃
  • 구름조금고창 8.0℃
  • 흐림제주 13.5℃
  • 구름많음강화 2.0℃
  • 구름조금보은 5.4℃
  • 구름조금금산 6.7℃
  • 구름조금강진군 9.6℃
  • 맑음경주시 10.6℃
  • 맑음거제 13.4℃
기상청 제공

우주·항공

항공조종사, 1∼8월 537명 채용· 전년비 8% '쑥' …대한항공·티웨이항공 1,2위

승무원 채용규모, 지난해 98% 수준…티웨이, 조종사·승무원 채용 활발

 

[뉴스스페이스=윤슬 기자] 올해 1∼8월 국내 항공사의 조종사 채용 규모가 이미 작년 한 해 수준을 넘어선 것으로 나타났다.

 

20일 국회 국토교통위원회 소속 더불어민주당 이연희 의원실이 국토교통부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올해 1월부터 8월까지 11개 국적 항공사가 신규 채용한 조종사는 537명으로 나타났다. 작년 한 해 조종사 채용 규모(498명)보다 8% 많다. 엔데믹으로 하늘길이 본격 확대되던 지난해보다 올해 조종사 채용 시장이 더욱 활발해진 모양새다.

 

지난 8개월간 신규 채용된 조종사 수는 코로나19 시기였던 2020∼2022년 3년간 연평균 채용 인원(135명)의 4배 수준이다.

 

항공사별로 보면 지난 1∼8월 대한항공이 가장 많은 119명의 조종사를 채용했다.

 

대한항공·아시아나항공 기업결합에 따라 유럽 여객 4개 노선을 넘겨받게 된 티웨이항공이 114명의 조종사를 채용해 그 뒤를 이었다. 티웨이항공은 중장거리 노선 확대 전략에 맞춰 지난해에도 116명의 조종사를 채용해 대한항공 다음으로 채용이 활발했다.

 

이 외에도 지난 8월 기준 이스타항공 79명, 진에어 68명, 에어부산 39명, 제주항공·에어로케이 각 37명, 에어프레미아 26명, 에어인천 16명, 에어서울 2명 순으로 조종사 채용이 많았다.

 

아시아나항공은 지난해부터 올해 8월까지 신규 조종사를 채용하지 않았다.

 

올해 1∼8월 객실 승무원 신규 채용은 1216명으로 작년 한 해 채용 규모(1238명)의 98% 수준이었다. 객실 승무원 채용 시장은 2020∼2023년 연평균 120명 규모로 얼어붙어 있다가 작년부터 그 규모가 10배 이상으로 성장하며 활기를 보이기 시작했다.

 

티웨이항공은 지난해에 이어 올해 1∼8월에도 객실 승무원을 가장 많이 채용했다. 작년 채용 인원은 224명으로 대한항공(199명)보다 25명 많았고, 올해는 418명을 채용해 대한항공(166명)의 2.5배 수준이었다. 티웨이항공, 대한항공에 이어 에어부산이 131명으로 올해 객실 승무원 채용 규모 3위를 기록했다.

 

아시아나항공은 2021년부터 작년까지 객실 승무원을 채용하지 않았다가 올해 1∼8월 126명을 채용하며 4위를 기록했다.

이 외에 진에어(109명), 이스타항공(101명), 에어서울(57명), 제주항공(56명), 에어로케이(52명) 등 순이었다.

배너
배너
배너

관련기사

93건의 관련기사 더보기


[우주칼럼] 지구인이 외계인 찾기 시도한 날(11월 16일)…'아레시보'와 외계 생명체 교신 5W1H

[뉴스스페이스=이종화 기자] 11월 16일은 지구인들의 우주역사에서 의미있는 날이다. 외계인의 존재를 찾기위한 작은 몸짓을 시도한 날이기 때문이다. 1974년 11월 16일 푸에르토리코의 아레시보 천문대에서 인류는 최초로 외계 지적 생명체를 대상으로 한 전파 메시지를 발송했다. 이 메시지는 이때부터 '아레시보 메시지(Arecibo message)'로 알려지기 시작했다. 당시 코넬 대학교의 프랭크 드레이크 박사가 작성하고, 칼 세이건 등 과학자들의 협력을 통해 완성됐다. 1. 아레시보 메시지를 보낸 이유와 의미 아레시보 메시지는 외계 지적 생명체와의 교신을 위한 진지한 시도라기보다는, 당시 과학 기술의 발전을 기념하고 과시하기 위한 목적이 더 컸다. 메시지가 향한 허큘리스 대성단(M13)은 지구로부터 약 2만5000광년 떨어져 있어, 단순계산으로도 메시지가 도달하는 데만 2만5000년이 소요되며, 응답을 받기까지는 총 5만년이 걸린다. 실질적인 교신보다는 인류의 기술적 성과를 상징적으로 보여주는 이벤트였다. 메시지는 2380MHz 주파수 대역으로 초당 10비트의 속도로 전송됐으며, 총 전송 시간은 약 3분이었다. ​​ 메시지는 총 1,679비트의 이진수로 구성

[The Numbers] 제주항공, 3분기 550억원 영업손실…무안공항 참사 여파 '재무리스크'로 휘청

[뉴스스페이스=김희선 기자] 제주항공이 2025년 3분기 연결기준으로 550억원의 영업손실을 기록하며 심각한 경영난에 직면했다. 매출은 전년 동기 대비 19% 감소한 3883억원에 그쳤고, 환율 상승과 경쟁 심화가 실적 부진의 주요 원인으로 작용했다. 특히, 올해 3분기 평균 원·달러 환율 상승으로 항공기 임차료와 정비비 등 달러 결제 비용이 크게 늘었고, 중·단거리 노선에서 항공사 간의 공급 과잉으로 가격 경쟁이 치열해진 점이 수익성 악화에 영향을 미쳤다. 더불어, 지난해에 비해 일본 노선이 지진설 여파로 성수기 효과를 보지 못하고, 10월에 추석 연휴가 포함된 점도 실적 저하에 한몫했다.​ 재무적 타격은 3분기 실적에만 그치지 않는다. 2024년 12월 무안국제공항에서 발생한 제주항공 여객기 참사로 인해 항공사에 대한 손해배상 책임이 부각됐다. 승객과 유족에 대한 보상 한도는 약 1조4720억원(10억 달러 상당)으로 책정됐으며, 이는 비행기 사고 관련 국제 약관인 몬트리올 협약에 따른 최고 한도액이다. 제주항공 측은 초기 예매금액 환불과 더불어, 약 2421억원(1억6500만 달러)에 달하는 단기 차입금 상환 부담까지 겹치며 단기적인 현금 유동성 위기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