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12.03 (화)

  • 맑음동두천 2.1℃
  • 맑음강릉 5.9℃
  • 맑음서울 3.7℃
  • 구름조금대전 2.9℃
  • 구름많음대구 7.1℃
  • 흐림울산 8.7℃
  • 구름조금광주 5.9℃
  • 흐림부산 10.3℃
  • 구름많음고창 3.8℃
  • 흐림제주 10.0℃
  • 구름조금강화 1.8℃
  • 구름많음보은 2.4℃
  • 구름많음금산 4.4℃
  • 흐림강진군 7.3℃
  • 구름많음경주시 7.7℃
  • 구름많음거제 9.6℃
기상청 제공

경제·부동산

한국인, 17세 때 '지출' 최대·43세 때 '소득' 최대…62세부터 다시 ‘적자 인생’

통계청, 2022년 국민이전계정 결과 발표
평생 노동소득 < 소비…생애주기적자 확대
2022년 생애주기적자 195조4000억
교육비 지출 많은 17세 ‘최대 적자’ 4078만원
43세에 노동소득 4290만원 정점…62세부터 다시 ‘적자’

 

[뉴스스페이스=최동현 기자] 우리 국민이 평생 노동으로 버는 돈보다 쓰는 돈이 더 많아지고 있다.

 

1인당 적자 폭이 가장 높은 연령대는 사교육비 지출이 높은 17세 때이고, 가장 높은 노동소득을 올리는 때는 43세인 것으로 분석됐다. 2022년 기준 우리 국민은 28세부터 소비보다 노동소득이 많은 ‘흑자 인생’을 살다가 61세부터 적자 구간에 재진입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1인당 국민이전계정을 보면 생애주기적자는 17세 때 4078만원으로 최대치를 보였다. 이 시기 1인당 소비는 4113만원으로, 교육소비의 영향이 컸다. 반면 노동소득이 더 높아 가장 높은 흑자를 올리는 연령은 43세로, 1인당 평균 4290만원의 노동소득을 올리고 이 중 소비지출을 빼도 1753만원 흑자를 보였다.

 

26일 통계청이 발표한 '2022년 국민이전계정'에 따르면 우리 국민의 생애주기적자 총액은 195조4000억원으로 전년보다 63조7000억원 증가했다. 즉 소비가 노동소득보다 증가폭이 커졌다는 의미다.

 

소비 증가분의 상당부분은 '사교육'이었다. 공공소비는 같은 기간 8.4% 증가한 반면, 민간소비는 10.6% 늘었는데, 특히 민간교육소비가 12.2%로 높은 증가율을 보였다. 노동소득을 임금소득과 자영자노동소득으로 분류하면 전년대비 임금소득이 6.5% 늘 때, 자영자노동소득은 0.8% 느는 데 그쳤다. 1인당 자영자노동소득이 가장 높은 연령대는 50세였다.

 

통계청에 따르면 생애주기적자에선 소비와 노동소득의 관계만 파악하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큰 적자가 발생한다. 이런 적자는 노동연령층(15∼64세)에서 유년층과 노년층으로 ‘이전’(상응하는 대가 없이 거래)되는 부분과 ‘자산 재배분’(자산소득-저축)을 통해 충당된다.

 

 

연령계층별로 보면 2022년 노동연령층에서는 143조9000억원의 흑자가 발생했다. 반면 유년층과 노년층에서는 각각 176조8000억원, 162조5000억원 적자가 나타냈다. 노동연령층은 소비는 전년 대비 9.0% 늘어난 가운데 노동소득은 5.7% 증가에 그쳤다. 유년층은 노동소득이 발생하지 않은 상황에서 소비가 10.5% 늘었다. 유년층의 소비 증가세는 민간교육소비(26.9%), 공공교육소비(7.9%)가 주도했다. 노년층은 소비(13.7%)보다 노동소득의 증가폭(20.7%)이 컸다.

 

통계청은 "2010년 이후 흑자 진입 연령은 27∼28세로 일정한 편이나, 적자 재진입 연령은 2010년 56세에서 2022년 61세로 점차 늦춰지고 있다"며 "적자 재진입 연령이 늦춰지는 것은 은퇴 시기가 연장되고, 은퇴 후에도 계속 일하는 노년층이 늘어났기 때문"이라고 분석했다.

 

한편, 국민의 총소비는 1364조1000억원으로 전년보다 9.9% 증가했다. 이 중 공공에서 409조9000억원, 민간에서 954조2000억원이 발생했다. 특히 고령화 추세로 노년층의 공공 소비 규모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공공 소비에서 노년층이 차지하는 비중은 2010년 13.7%에서 2022년 기준 21.3%로 늘었다. 1인당 공공 교육 소비는 유년층에, 공공 보건 소비는 노동 연령층과 노년층에 집중됐다. 민간 소비 역시 노년층의 규모가 지속적으로 증가했다. 1인당 민간 소비는 노동 연령층이 주된 소비 주체였다.

배너
배너
배너



현대건설, 도시정비사업 수주 6조원 돌파 '국내 유일'…신반포2차·마장세림까지

[뉴스스페이스=최동현 기자] 현대건설이 ‘신반포2차아파트’, ‘마장세림’ 재건축정비사업을 각각 수주하며 2024년 도시정비사업 수주액 6조원을 돌파했다. 신반포2차아파트 재건축정비조합(조합장 김영일)과 마장세림 재건축정비조합(조합장 김성진)은 12월 1일과 11월 30일에 각각 시공사 선정을 위한 총회를 개최하고 우선협상 대상자인 현대건설의 단독 입찰에 대한 조합원 찬반투표를 진행, 현대건설을 최종 시공사로 선정했다고 밝혔다. 신반포2차아파트 재건축사업은 서울 서초구 잠원동 73번지 일원에 지하 4층~지상 48층, 9개 동 규모의 공동주택 2,056세대 및 부대복리시설을 조성하는 사업이다. 현대건설은 신반포2차아파트 재건축사업 설계를 위해 건축계의 노벨상으로 불리는 프리츠커상을 수상한 세계적 건축가 2포잠박(2PORTZAMPARC)과 협업했다. 국내 재건축사업 최초로 프리츠커상을 수상한 건축가와의 협력을 통해 한강과 조화를 이루는 단지를 선보일 계획이다. 사업지는 한강에 접한 길이가 700여 미터에 달하는 입지적 강점을 가졌다. 현대건설은 이러한 입지를 활용하기 위해 대지 레벨을 높이고 필로티를 적용해 전 세대 100% 한강 조망이 가능하도록 설계했다. 또한

[공간차트] "서울 10억 내집 마련에 25년 걸려"…소득대비 집값비율 알아보니

[뉴스스페이스=김혜주 기자] 도널드 트럼프의 미국 47대 대통령 당선과 유럽 전쟁 여파로 세계 경제는 점점 더 어려워지고 있는 가운데 샌드위치 상황에 놓인 한국의 경제는 더욱 불확실성이 높아지고 있다. 영화배우 정우성의 혼외자 이슈로 인해 젊은층 사이에서 한국사회의 비혼과 출산을 놓고 논쟁이 뜨겁다. 이 문제는 결국 한국사회가 직면한 저출산, 고령화 문제와 맥을 같이 한다. 다른 관점으로 보자면 이 문제 해결을 위해서는 결혼적령기 젊은층들이 서울에서 살 수 있는 안전한 보금자리 문제부터 해결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다. 한국은행은 ‘초저출산 및 초고령사회:극단적 인구구조의 원인, 영향, 대책’ 보고서에서 출산율을 올리기 위해 필요한 집값 수준을 2015년이라고 제시했다. 2015년은 서울 아파트 가격이 오름세를 타기 시작한 시점이다. 문재인 정부가 들어선 2017년부터는 천정부지로 치솟았다. 집값이 폭등하면서 전 국민이 부동산에 관심을 가지기 시작했고, ‘벼락거지’란 말까지 생겼다. 심지어 강남의 고급아파트는 국평기준 60억원을 찍기도 했다. 이제 내 월급을 모아 서울에서 집을 살 수있는 시대는 점점 물건너가고 있다는 의미다. 2012년 이후 4억원 수준에 머물

신한금융그룹, ‘2024 대한민국 지속가능성보고서상’ 수상

[뉴스스페이스=최동현 기자] 신한금융그룹(회장 진옥동)은 28일 서울 소공동에 위치한 롯데호텔에서 개최된 ‘2024 대한민국 지속가능성 대회’에서 ‘대한민국 지속가능성보고서상’을 올해로 아홉번째 수상했다고 밝혔다. ‘대한민국 지속가능성 대회’는 한국표준협회가 ▲국제 지속가능성 보고서 가이드라인을 바탕으로 성실한 지속가능경영 활동을 하고 있는 기업에게 수여하는 ‘지속가능성보고서상’ ▲총 50개 산업군 내 200여개 기업의 지속가능성을 측정하는 ‘지속가능성 지수’ 등 2개 분야로 나누어 평가하는 시상식이다. 신한금융은 20년부터 5년 연속으로‘지속가능성보고서상’을 수상했으며, ‘지속가능성 지수’ 평가에서는 신한지주가 지주회사(금융) 부문에서 3년 연속, 신한은행이 은행 부문에서 13년 연속, 신한카드가 신용카드 부문에서 15년 연속 1위로 각각 선정됐다. 신한금융은 지난해 ▲탄소중립 달성을 위한 전환금융 정책서 수립 ▲임직원 에너지 절약 캠페인 ‘신한 아껴요 Day’ 및 폐전기·전자제품을 재활용하는 ‘자원순환 Day’ 등을 실시했다. 신한은행은 ‘ESG 상생프로젝트’를 통해 ▲보이스피싱·전세사기 피해자 지원 ▲어린이집 환경개선 사업 ▲난임부부 진단검사비 지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