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11.17 (월)

  • 맑음동두천 4.1℃
  • 맑음강릉 9.9℃
  • 구름많음서울 3.8℃
  • 구름많음대전 7.8℃
  • 맑음대구 9.7℃
  • 맑음울산 12.0℃
  • 구름많음광주 8.4℃
  • 연무부산 13.8℃
  • 구름많음고창 8.5℃
  • 맑음제주 14.5℃
  • 구름많음강화 2.5℃
  • 구름많음보은 6.2℃
  • 구름많음금산 7.1℃
  • 구름조금강진군 10.4℃
  • 맑음경주시 11.4℃
  • 구름조금거제 13.7℃
기상청 제공

우주·항공

美 민간 첫 무인 '달 착륙선' 발사…미국, 반세기 만에 표면탐사 시도

미국 플로리다 케이프커내버럴 우주기지에서 미국의 우주기업 아스트로보틱이 개발한 달 착륙선 페레그린이 발사되는 모습 [NASA]

 

[뉴스스페이스=김시민 기자] 세계 최초의 민간 달 착륙선이  발사에 성공했다.

 

8일(현지시간) 새벽 2시 18분 미국 플로리다 케이프커내버럴 우주기지에서 미국의 우주기업 아스트로보틱이 개발한 달 착륙선 페레그린은 유나이티드 론치(ULA)의 로켓 벌컨 센타우어에 실려 발사됐다.

 

페레그린은 올해 2월 23일 달 앞면에 있는 폭풍의 바다 동북쪽의 용암지대 시누스 비스코시타티스에 착륙할 예정이다. 이 탐사선의 착륙이 성공하면 세계 최초의 민간 달 탐사선으로 기록된다.

 

반세기 넘게 국가 중심으로 전개됐던 우주개발의 흐름이 민간이 참여하는 형태로 전환되는 새로운 계기가 될 전망이다. 달에 우주선을 착륙시킨 국가는 구소련·미국·중국·인도 4개국인데 모두 정부 주도로 이뤄졌다.

 

미국으로서는 1972년 12월 아폴로 17호를 마지막으로 달 탐사를 중단한 뒤 51년여 만에 달 표면에서 이뤄지는 탐사를 재개하게 된다. 이 탐사선에는 달의 표면 구성과 방사능을 조사할 과학기구가 실렸다.

 

페레그린은 아폴로 우주선처럼 달까지 곧장 날아가지 않고 한 달 동안 달 궤도를 돌다가 서서히 고도를 낮춰 연착륙을 시도한다. 

 

민간 우주기업 애스트로보틱의 달 착륙선 페레그린 [NASA]

 

미국에서 '세계 최초' 타이틀은 일단 펜실베이니아주 피츠버그에 위치한 '애스트로보틱'가 유리한 상황이다. 하지만 휴스턴에 본사를 둔 '인튜이티브 머신'의 공격적인 추격도 만만치 않다. 미국 두 기업의 우주선 발사는 미 항공우주국(NASA)의 지원으로 추진된다.

 

페레그린의 달 착륙 목표일은 오는 2월 23일이다. 착륙 목표 지점은 달 앞면 북쪽 시누스 비스코시타티스(Sinus Viscositatis) 지역이다.

 

인튜이티브 머신의 우주선은 2월 중순에 발사된다. 무인 달 착륙선 노바-C(Nova-C)가 스페이스X의 팰컨9 로켓에 실려 달을 향해 출발한다. 노바-C의 발사일과 착륙일은 아직 정확하게 발표되지 않았다. 착륙 예정지는 달 남극 인근에 위치한 '말라퍼트 에이(Malapert A)' 충돌구다. 노바-C 1호의 발사 이후 몇 달 간격으로 2호와 3호도 발사될 예정이다.

 

아직까지 어떤 기업이 '민간 세계 최초’'타이틀을 거머쥘지는 미지수다. 우주선은 애스트로보틱이 먼저 쏴 올리지만, 인튜이티브 머신의 노바-C는 발사 후 7일 만에 달 표면에 착륙할 예정이라서 어느 우주선이 먼저 달에 착륙할지 알 수 없다.

 

 

또 다른 미국 우주기업 파이어플라이 에어로스페이스의 달 착륙선 '블루 고스트(Blue Ghost)'도 올해 하반기 발사가 예정돼 있다. 블루 고스트에는 NASA 장비를 포함한 탑재체 10개가 실린다. 착륙지는 달 앞면 북동부 '위난의 바다'다.

 

애스트로보틱의 페레그린, 인튜이티브 머신의 노바-C , 파이어플라이 에어로스페이스의 블루 고스트등은 모두 NASA가 추진 중인 새로운 달 유인 착륙 프로젝트 '아르테미스(Artemis)'의 일환이다. NASA는 아르테미스의 성공을 위해 14개의 민간 달 착륙선 업체를 선정해 26억달러를 지원하고 있다.

 

물론 민간기업의 달 착륙 시도는 이번이 처음이 아니다. 일본 벤처기업 '아이스페이스'가 개발한 무인 달 착륙선이 2022년 11월에 발사돼 지난해 4월 착륙을 시도했으나 마지막 착륙 과정에서 추락했다.

 

또 2019년 이스라엘 기업 '스페이스일'의 무인 우주선 '베레시트'도 발사되었지만 엔진에 문제가 생겨 월면에 충돌하면서 착륙에 실패했다.

 

배너
배너
배너

관련기사

86건의 관련기사 더보기


[우주칼럼] 지구인이 외계인 찾기 시도한 날(11월 16일)…'아레시보'와 외계 생명체 교신 5W1H

[뉴스스페이스=이종화 기자] 11월 16일은 지구인들의 우주역사에서 의미있는 날이다. 외계인의 존재를 찾기위한 작은 몸짓을 시도한 날이기 때문이다. 1974년 11월 16일 푸에르토리코의 아레시보 천문대에서 인류는 최초로 외계 지적 생명체를 대상으로 한 전파 메시지를 발송했다. 이 메시지는 이때부터 '아레시보 메시지(Arecibo message)'로 알려지기 시작했다. 당시 코넬 대학교의 프랭크 드레이크 박사가 작성하고, 칼 세이건 등 과학자들의 협력을 통해 완성됐다. 1. 아레시보 메시지를 보낸 이유와 의미 아레시보 메시지는 외계 지적 생명체와의 교신을 위한 진지한 시도라기보다는, 당시 과학 기술의 발전을 기념하고 과시하기 위한 목적이 더 컸다. 메시지가 향한 허큘리스 대성단(M13)은 지구로부터 약 2만5000광년 떨어져 있어, 단순계산으로도 메시지가 도달하는 데만 2만5000년이 소요되며, 응답을 받기까지는 총 5만년이 걸린다. 실질적인 교신보다는 인류의 기술적 성과를 상징적으로 보여주는 이벤트였다. 메시지는 2380MHz 주파수 대역으로 초당 10비트의 속도로 전송됐으며, 총 전송 시간은 약 3분이었다. ​​ 메시지는 총 1,679비트의 이진수로 구성

[The Numbers] 제주항공, 3분기 550억원 영업손실…무안공항 참사 여파 '재무리스크'로 휘청

[뉴스스페이스=김희선 기자] 제주항공이 2025년 3분기 연결기준으로 550억원의 영업손실을 기록하며 심각한 경영난에 직면했다. 매출은 전년 동기 대비 19% 감소한 3883억원에 그쳤고, 환율 상승과 경쟁 심화가 실적 부진의 주요 원인으로 작용했다. 특히, 올해 3분기 평균 원·달러 환율 상승으로 항공기 임차료와 정비비 등 달러 결제 비용이 크게 늘었고, 중·단거리 노선에서 항공사 간의 공급 과잉으로 가격 경쟁이 치열해진 점이 수익성 악화에 영향을 미쳤다. 더불어, 지난해에 비해 일본 노선이 지진설 여파로 성수기 효과를 보지 못하고, 10월에 추석 연휴가 포함된 점도 실적 저하에 한몫했다.​ 재무적 타격은 3분기 실적에만 그치지 않는다. 2024년 12월 무안국제공항에서 발생한 제주항공 여객기 참사로 인해 항공사에 대한 손해배상 책임이 부각됐다. 승객과 유족에 대한 보상 한도는 약 1조4720억원(10억 달러 상당)으로 책정됐으며, 이는 비행기 사고 관련 국제 약관인 몬트리올 협약에 따른 최고 한도액이다. 제주항공 측은 초기 예매금액 환불과 더불어, 약 2421억원(1억6500만 달러)에 달하는 단기 차입금 상환 부담까지 겹치며 단기적인 현금 유동성 위기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