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8.16 (토)

  • 흐림동두천 29.3℃
  • 흐림강릉 30.6℃
  • 흐림서울 32.3℃
  • 구름많음대전 30.7℃
  • 구름조금대구 32.7℃
  • 구름많음울산 30.7℃
  • 구름조금광주 31.8℃
  • 맑음부산 32.0℃
  • 구름조금고창 32.7℃
  • 구름조금제주 31.6℃
  • 흐림강화 30.0℃
  • 흐림보은 29.2℃
  • 구름많음금산 31.4℃
  • 구름조금강진군 31.5℃
  • 맑음경주시 32.0℃
  • 맑음거제 31.0℃
기상청 제공

우주·항공

日 세계 5번째 달착륙 성공…우주강국 경쟁 '후끈'

달탐사선 '슬림' 20일 달표면 착륙...세번 도전 끝에 성공
우주강국 입지 강화...주동력원 태양전지 고장은 옥의 티
작동시간 적어 탐사임무 차질 불가피
우리나라는 달궤도선 운영중···2032년 달착륙 목표

일본 달착륙선 '슬림'이 20일 자정무렵 달 표면에 안착하는데 성공했다. 일본의 무인달착륙선(SLIM) 이미지.[일본우주항공연구개발기구]

 

[뉴스스페이스=김시민 기자] 일본이 러시아(구소련), 미국, 중국, 인도에 이어 달 착륙에 세계 5번째로 성공했다.

 

일본 우주항공연구개발기구(JAXA)는 기자회견에서 "달 탐사선 ‘슬림’(SLIM)이 20일 0시께 달 상공 15㎞에서 강하를 시작해 약 20분 뒤 달 적도 부근 표면에 착륙했다"며 "탐사선의 소프트 랜딩(Soft landing·연착륙)에 성공했다"고 발표했다.

 

SLIM(Smart Lander for Investigating Moon)은 달 탐사 목적으로 JAXA가 만든 고정밀 착륙 기술을 실증한 우주선이다. 높이 2.4m, 폭 2.7m, 무게 590kg의 소형 달착륙선이다.

 

이에 따라 일본은 미국, 옛 소련, 중국, 인도에 이어 세계 5번째로 달 착륙 성공 국가가 됐다. 야마카와 히로시 JAXA 이사장은 "달 표면 접근과 이용(Access)의 길이 열렸다"면서 "향후 우주 연구 및 개발을 둘러싼 국제 협력에서 일본의 역할이 커질 것"이라며 기대감을 드러냈다.

 

다만, JAXA는 "태양전가 전력을 생산하지 못하고 있다"며 "SLIM에서 데이터 수집을 먼저 할 계획이다"고 밝혀 달 탐사 임무에는 지장이 있다고 발표했다.

 

이번 착륙선 발사에 앞서 일본을 비롯해 인도, 이스라엘 등이 숱한 도전을 해왔지만 잇따라 좌절했을 정도로 달 표면 착륙은 기술적으로 어렵다.

 

화성에는 대기가 있기 때문에 낙하산을 펼쳐 부드럽게 연착륙을 할 수 있지만 달에는 대기가 없기 때문에 달궤도를 돌다가 속도를 줄이면서 달 표면으로 내려가야 한다. 이러한 하강 기술이 어려운데다 달 표면 착지 과정에서 충격량도 잘 흡수해야 하기때문에 훨씬 더 고도의 기술이 요구된다.

 

아사히 등 현지 언론 보도에 따르면 이번 달착륙선은 착륙 과정에서 급격히 속도를 줄여야 하는 ‘마(魔)의 20분’을 잘 넘긴 것으로 보이다. 하지만 착륙 과정에서 기체의 자세가 흐트러지면서 태양전지를 작동하기 어려운 상태가 됐을 가능성이 높다.

 

히로시 야마카와 일본우주항공연구개발기구(JAXA) 이사장이 20일 오전 슬림(SLIM)의 달 착륙에 성공 소식을 발표하고 있다. [JAXA]

 

슬림에 탑재된 카메라가 달린 소형 로봇 2대는 착륙 직전 기체에서 정상적으로 분리됐다. JAXA가 장난감 업체 다카라 토미와 공동 개발한 로봇 등 2대는 달 표면을 탐사하며 데이터를 얻어 JAXA에 보낸다. 슬림은 달 표면에서 이동할 수 없기 때문에 기체에 탑재된 카메라를 사용해 주위 암석을 조사할 예정이다.

 

슬림은 지난해 9월 7일 일본 규슈 가고시마현 다네가시마 우주센터에서 H2A 로켓 47호기에 실려 발사됐다. 이어 지난달 25일 달 궤도에 진입한 뒤 이달 15일 착륙 준비에 들어갔다. 전날 달 상공 15㎞까지 고도를 낮춘 뒤 이날 0시께 달 표면으로 향해 강하를 시작해 약 20분 뒤 달 표면에 내렸다.

 

슬림은 일본의 세 번째 달 착륙 도전이었다. JAXA는 2022년 11월 미국 아르테미스Ⅰ 미션의 우주발사시스템(SLS) 로켓에 초소형 탐사기 ‘오모테나시’를 실어 보냈으나 비행 도중 통신 두절로 착륙에 실패했다. 지난해에는 일본 스타트업 ‘아이스페이스(ispace)’가 개발한 달 착륙선이 또 한 번의 도전에 나섰으나 달 표면에 충돌해 실패했다.

 

일본 언론들은 이번 슬림 착륙 성공으로 일본의 기술력을 입증했다며 미국과 중국을 중심으로 격화하는 우주 개발 경쟁이 한층 더 치열해질 것으로 내다봤다.

 

일본이 '절반이상의 성공'을 거둔 것과 달리 우리나라는 가야할 길이 멀다.

 

현재 달궤도를 도는 달탐사선 다누리가 성공적으로 운영중이지만, 달 표면 착륙은 8년뒤인 2032년을 목표로 하고 있다.

 

이상률 한국항공우주연구원장은 지난 18일에 과학기자들과 만난 자리에서 "누리호 성공으로 7대 강국이라는 표현을 쓰고 있지만 일본, 인도 등과 우리나라는 격차가 매우 크다"며 "달 착륙에는 고도의 기술이 필요한 만큼 미래 탐사기술을 서둘러 확보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배너
배너
배너

관련기사

75건의 관련기사 더보기


[우주AtoZ] 무기시장에서 '애물단지' 된 F-35, 스위스·캐나다·유럽 줄줄이 구매 재검토…관세·가격인상에 흔들리는 '美 전투기'

[뉴스스페이스=김시민 기자] 최근 미국이 수입 무기와 부품에 대해 스위스를 상대로 39%의 관세를 부과하고, F-35 도입비용마저 추가 인상되자 스위스와 여러 유럽 국가들이 록히드마틴의 F-35 전투기 도입 결정을 잇따라 재고하고 있다. 폴리티코 유럽판, 디펜스뉴스(Defense News), 랜드연구소(RAND Corporation), 미 국방부(DoD) 등의 보도와 자료를 취합해 볼 때, F-35의 글로벌 시장 입지와 미국 방산 산업의 신뢰가 흔들리는 조짐이다. 스위스 현지 정치권에서는 "미국이 F-35 구매국에 미군과 동등한 조건만을 보장한다"며 "관세가 부과되어 가격이 또다시 인상될 경우, 차라리 계약을 파기하거나 이미 지불한 일부 기체만 인도 받는 방안을 검토해야 한다"는 주장이 힘을 얻고 있다. 실제로 스위스 연방의회에서는 녹색당 발타자르 글레틀리 의원의 주도로 F-35 구매 계획 취소안이 공식 발의되기도 했다. 스위스는 당초 2021년 10조원(60억 스위스프랑)을 투입해 F-35A 36대를 도입하기로 결정, 2027~2030년까지 인도를 계획했으나, 미국 측에 비용 추가 인상을 통보받으면서 부담이 커진 상태다. 이 같은 움직임은 스위스에만 국한되

[이슈&논란] 인천공항行 에어아시아, 김포공항에 내렸다고?…미스터리 착륙에 승객 2시간 '진땀'

[뉴스스페이스=김시민 기자] 인천공항 도착 예정이던 말레이시아발 에어아시아 X D7 506편이 2025년 8월 13일 저녁, 예고 없는 김포공항 착륙으로 승객들의 혼란과 불편이 이어졌다. 실제로 항공기 내 안내 방송에서도 “인천공항에 도착했다”는 기장 멘트가 나왔지만, 바깥 풍경은 김포였다. 승무원조차 상황을 인지하지 못했고, 승객에게 되묻는 초유의 장면이 연출됐다. 연합뉴스 보도에 따르면, 이 항공편은 쿠알라룸푸르에서 출발해 인천공항에 19시50분 도착 예정이었다. 그러나 한국 상공에서 약간의 선회 후 20시08분, 목적지를 변경해 김포공항에 착륙했다. 이후 약 2시간 동안 김포공항에 머물렀다가, 22시03분에 재이륙해 22시56분 인천공항에 도착했다. 승객 불만은 컸다. 취재에 응한 김모씨(38)는 “비상 착륙 원인으로 ‘난기류’, ‘연료 부족’ 얘기가 나왔으나, 실제로 연료를 보충하는 모습도 없었고 인천 도착시 사과도 없었다”고 말했다. 당시 승무원이 안내방송에서 “연료가 부족해 비상 상황으로 김포에 내린다”고 설명했으나, 승무원들마저 당황해 승객들에 상황을 묻는 모습이 공개됐다. 항공기 착륙 절차상, 목적지 변경은 관제와 항공사 간 긴밀한 교신이 필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