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에서 불과 약 50㎞ 떨어진 일본 대마도에 핵폐기물 처리장 건설이 추진될 예정이다. 대마도 전경 [SNS] 부산에서 불과 약 50㎞ 떨어진 일본 대마도에 핵폐기물 처리장 건설이 추진될 예정이다. 대마도 전경 [SNS]](/data/photos/202309/1181_1182_537.jpg)
[뉴스스페이스=조일섭 기자] 부산에서 불과 약 50㎞ 떨어진 일본 대마도에 핵폐기물 처리장 건설이 추진될 예정이다. 지역 주민과 시민단체는 즉각 반발에 나섰다.
지난 13일 요미우리신문·마이니치신문 등 외신에 따르면 지난 12일 일본 나가사키현 대마도 시의회는 고준위 핵폐기물 처리장 선정을 위한 조사 청원안을 채택했다. 시의회는 해당 청원을 찬성 9명, 반대 7명, 결석 1명의 찬성 다수로 채택했다. 건설에 대한 풍평 피해를 우려하는 어협과 시민단체 등 6개 단체가 내놓은 반대 청원 6건은 기각했다.
대마도가 추진하는 이번 사업은 일본 전역 원자력발전소의 핵연료 찌꺼기를 메우는 것이다. 대마도를 포함해 3곳이 유치에 나섰는데 매립 대상인 핵연료 찌꺼기는 강한 방사능을 분출하는 고준위 핵폐기물이다.
다만 쓰시마시의 최종 결정권자인 히타카쓰 나오키 시장이 이 청원안을 수용할지는 아직 결정되지 않았다.
히타카쓰 시장은 "시민이 원하는 선택을 하고 싶다"면서 "정례 시의회 기간인 27일까지 청원안 수용 여부를 결정할 것"이라고 밝혔다.
쓰시마 시의회는 2007년에도 방사성 폐기물 처분장 유치를 논의했지만 당시는 유치 반대를 결의했다. 그러나 인구가 갈수록 줄어드는 등 상황이 바뀌면서 다시 유치론이 고개를 들었고 이번에 청원안이 시의회를 통과한 것이다.
![부산에서 불과 약 50㎞ 떨어진 일본 대마도에 핵폐기물 처리장 건설이 추진될 예정이다. 대마도 전경 [SNS] 부산에서 불과 약 50㎞ 떨어진 일본 대마도에 핵폐기물 처리장 건설이 추진될 예정이다. 대마도 전경 [SNS]](/data/photos/202309/1181_1183_69.jpg)
핵폐기물 처리 장소로 최종 선정하기 위해 3차에 걸친 조사가 이뤄진다. 유치론자들은 일단 문헌조사에 응하면 일본 정부로부터 1차로 20억엔(약 183억원)의 교부금을 받을 수 있다는 점을 강조하고 있다. 2차 조사의 경우 최대 70억엔(약 630억원)의 교부금이 배정됐다. 또 정부를 상대로 다른 지역 민원도 해결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지역 주민 다수와 시민단체는 반발하고 나섰다.
관광업에 종사하는 대마도 주민은 요미우리신문을 통해 "풍평 피해로 대마도의 이미지가 나빠질 것"이라며 "풍부한 자연과 식재료를 가진 대마도는 핵폐기물 처리장에 지역 경제를 의지할 필요가 없다"면서 건설 백지화를 호소했다.
우에하라 마사유키 시민단체 '핵폐기물과 대마도를 사랑하는 모임' 대표 역시 "일시적인 교부금에 혹하지 말아야 한다"며 "더 강하게 반대 운동을 전개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대마도 핵폐기물 처리장 건설이 구체화될 경우 부산과 불과 50㎞ 떨어진 곳인 만큼 한국에서도 엄청난 반대여론과 비난이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