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8.28 (목)

  • 구름많음동두천 29.3℃
  • 맑음강릉 33.1℃
  • 구름많음서울 29.7℃
  • 구름조금대전 30.6℃
  • 구름조금대구 30.8℃
  • 맑음울산 31.3℃
  • 구름조금광주 30.5℃
  • 맑음부산 31.2℃
  • 맑음고창 31.0℃
  • 맑음제주 31.5℃
  • 구름많음강화 28.8℃
  • 구름조금보은 27.9℃
  • 맑음금산 29.4℃
  • 구름조금강진군 30.8℃
  • 맑음경주시 31.7℃
  • 구름조금거제 30.6℃
기상청 제공

우주·항공

-254도 달 남극, 너무 추웠나…인도 찬드라얀3호, 긴 잠에 빠지다

인도 찬드라얀 3호, 달 극한환경 못버텨 교신 실패

인도우주연구기구(ISRO)는 22일(현지 시각) 무인 우주 탐사선 찬드라얀 3호의 착륙선 비크람과 탐사차 프라그얀과의 통신 재개에 실패했다고 밝혔다. 달 남극에 착륙한 직후 착륙선 비크람에서 내려오고 있는 탐사차 프라그얀 [인도우주연구기구(ISRO)]

 

[뉴스스페이스=윤슬 기자] 화려하게 인류 최초로 달 남극에 착륙한 인도의 달 착륙선 찬드라얀3호가 긴 잠을 빠지며 임무를 마치게 됐다.

 

인도우주연구기구(ISRO)는 22일(현지시간) 착륙선 비크람과 탐사로버 프라그얀의 상태를 확인하기 위해 통신을 시도했지만 어떤 신호도 받지 못했다고 밝혔다.이어 "통신을 재개하려는 노력을 이어갈 것"이라고 밝혔다.

 

찬드라얀3호는 지난달 23일(한국시간) 밤 9시 33분 달남극 부근인 남위 70도에 위치한 ‘보구슬라우스키 분화구’ 서쪽 부근에 착륙했다. 산스크리트어로 ‘달의 차량’이라는 뜻을 지닌 찬드라얀3호는 인류 처음으로 달의 남극에 도달한 착륙선이 됐다. 미국과 구 소련, 중국이 달에 착륙한 적은 있었지만 달 남극에 착륙한 건 인류 최초다.

 

착륙 직후에는 프라그얀이 표면 100m를 탐사해 황과 금속의 흔적을 찾았다. 전 세계가 달의 자원을 활용해 화성과 심우주 탐사에 나설 계획인 만큼 해당 성과는 큰 주목을 받았다.

 

찬드라얀3호에 실렸던 착륙선 비크람과 탐사 로버 프라그얀은 임무를 시작한 지 약 2주 뒤 절전 모드로 전환됐다. 달의 밤은 영하 100도 이하로 극한 환경이다. 비크람과 프라그얀의 부품이 고장날 가능성이 있다는 얘기다.

 

ISRO는 절전 모드로 전환한 지 약 2주 뒤 다시 교신을 시도했지만 22일(현지시간)에도 결국 교신에 실패한 것으로 알려졌다. 프라그얀은 이달 3일, 비클마은 이달 4일 전원 스위치를 내렸다.

 

찬드라얀 3호는 태양열 배터리로 운용되는데, 14일 주기로 찾아오는 달 남극의 밤이 시작됐기 때문이다.  특히 달 남극의 기온은 영하 254도까지 내려가지만 프라그얀과 비크람에는 별도의 히터가 장착되지 않아 두 기체의 전원을 내린 뒤 학계에서는 재가동 여부가 불분명하다는 전망이 나온 바 있다.

 

사라 케이스웰 영국 레스터대 연구원은 뉴 사이언티스트에 "지속적인 추위로 장비에 문제가 발생할 수 있으며, 로버가 그늘에 있었다면 예열되는 데 시간이 더 걸릴 수 있다"고 설명했다.

 

이어 "찬드라얀 3호는 14일간의 임무 계획을 달성했다"며 "우주선을 깨워 달 표면을 탐사할 수 있다면 관계자들에게 환상적인 성과가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배너
배너
배너

관련기사

73건의 관련기사 더보기


[지구칼럼] 세계에서 가장 높은 쓰레기, 드론이 치운다…"에베레스트 쓰레기 역사상 무인 항공기 최초 투입"

[뉴스스페이스=이종화 기자] 산에서 점점 더 심각해지는 쓰레기 문제를 해결하는 데 드론이 큰 역할을 했다. 네팔을 기반으로 한 스타트업 에어리프트 테크놀로지가 중형 드론을 활용해 세계 최고봉인 에베레스트산의 쓰레기 문제를 획기적으로 개선하는 데 성공했다. Phys.org, DJI 공식 블로그, 네팔 현지 언론의 보도에 따르면, DJI 플라이카트 30 드론 두 대가 해발 6065m 캠프 1부터 베이스캠프까지 300kg의 쓰레기를 운반하며, 등반가들이 셰르파와 함께 힘겨웠던 쓰레기 수거 작업이 몇 시간에서 단 몇 분으로 단축됐다. 이번 드론 활용은 에베레스트 쓰레기 청소 역사상 최초의 전면 무인 항공기 투입 사례로 기록됐다. 기존 셰르파들은 불안정한 빙하와 위험한 크레바스를 4~8시간에 걸쳐 최대 20kg의 쓰레기를 운반하며 극한의 환경에서 생명을 담보로 작업해왔다. 이에 비해 드론은 15kg까지 화물을 싣고 단 6분 만에 같은 구간을 비행해 인력과 시간을 대폭 절감한다. 사가르마타 오염관리위원회 체링 셰르파 대표는 “10명이 6시간 동안 옮길 수 있는 쓰레기를 드론 한 대가 10분 만에 운반한다”고 설명했다. 이 기술 혁신이 현장에서 얼마나 큰 변화를 가져왔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