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7.18 (금)

  • 흐림동두천 23.0℃
  • 흐림강릉 20.8℃
  • 서울 27.9℃
  • 구름많음대전 28.0℃
  • 흐림대구 27.6℃
  • 구름많음울산 25.5℃
  • 구름조금광주 28.6℃
  • 구름조금부산 28.2℃
  • 구름조금고창 28.4℃
  • 구름많음제주 29.8℃
  • 흐림강화 26.6℃
  • 구름많음보은 23.2℃
  • 구름많음금산 27.2℃
  • 구름많음강진군 29.6℃
  • 구름많음경주시 26.8℃
  • 맑음거제 28.6℃
기상청 제공

우주·항공

김정은 깜짝방문 '보스토치니 우주기지' 어떤 곳?

北, 러시아로부터 위성기술 등을 지원받는 군사 협력 논의
카자흐스탄 바이코누르 기지 대체할 극동 우주기지
러시아, 우주강국 위상 되찾기 위해 2012년 착공해 건설 중
551.2㎢ 부지에 5조6000억원 투입, 약 1만명 동원

러시아를 방문중인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과 푸틴 러시아 대통령과의 북러 정상회담 장소로 알려진 보스토치니 우주기지 [방송화면 캡처]

 

[뉴스스페이스=윤슬 기자] 러시아를 방문중인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과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의 회담 장소로 알려진 보스토치니 우주기지에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13일 외신에 따르면, 김 위원장의 전용열차 태양호가 극동 연해주를 통과해 아무르주 방면으로 이동 중이다. 원래 북러정상회담 장소로 거론된 블라디보스토크가 아닌 하바롭스크 또는 아무르주 보스토치니 우주기지가 될 수 있다는 전망이 나왔다.

 

하지만 푸틴 대통령이 보스토치니 우주기지로 간다고 스스로 언급하면서 북러정상회담 장소는 보스토치니 우주기지로 확인됐다. 김정은 위원장이 푸틴 대통령을 만나기 위해 비행기가 아닌 열차로 무려 3박 4일을 달려간 셈이다. 

 

양국 정상들의 회담 장소는 그 자체만으로도 상징적 의미를 지닌다. 전 세계의 주목을 받는 두 정상이 만남의 장소로 선택한 '보스토치니 우주기지'는 과연 어떤 곳일까? 

 

극동 아무르주 우글레고르스크에 위치한 보스토치니 우주기지는 블라디보스토크에서 북서쪽으로 자동차로 1500km를 달려야 나오는 곳이다. 보스토치니는 러시아로 '동부'라는 뜻으로 러시아가 가장 최근 조성중인 우주기지가 있는 곳이다. 평양에서는 2700km 정도 떨어져 있는 아주 먼 곳이다.

 

러시아가 바이코누르 우주기지의 의존도를 줄이고 화려했던 옛날 우주강국의 위상을 되찾기 위해 러시아 극동 지역에 건설 중인 우주기지다. 기존 바이코누르 우주기지는 소련이 붕괴하면서 카자흐스탄의 영토가 돼 러시아가 자유롭게 사용할 수 없는 상태다. 

 

2012년 착공한 이 우주기지의 계획된 부지면적은 551.2㎢이다. 당시 투입된 예산은 약 4000억 루블(약 5조6000억 원)이다. 도로 115㎞, 철로 125㎞, 2만5000명의 근무자를 수용할 수 있는 주거시설을 짓는 공사에 약 1만명의 인력이 동원됐다.

 

러시아는 그 동안 우주발사체 발사 때 세계 최초의 우주기지인 카자흐스탄의 바이코누르 우주기지를 임대해 활용해왔다. 그러다 모스크바 북쪽 800km 지점에 플레세츠크 우주기지를 건설했고, 다시 극동지역에 보스토치니 우주기지를 건설중이다. 

 

이 우주기지는 나로호 우주센터를 건설한 러시아 인력들이 투입돼 우리와도 인연이 있다. 2016년 첫 로켓발사가 이뤄진 이후 지난해까지 모두 11차례 우주 로켓이 발사돼 10차례 성공을 거둔 것으로 전해졌다.

 

김 위원장이 이 곳을 방문하는 이유도 우주 강국인 러시아로부터 위성, 미사일등 우주항공 관련기술을 직접 전수받겠다는 의지로 해석하고 있다. 북한은 올해 들어 정찰위성 발사에 두 차례나 실패했고 다음 달 재발사를 공언한 상황이라 더욱 마음이 급할 수도 있다.

 

게다가 북러 회담을 통해 북한과 러시아간 군사 협력이 확대 심화될 것이라는 미국 등 서방 세계의 관측도 나오고 있다. 뉴욕타임스도 "이번 김 위원장의 방러는 북러의 협력 관계가 분수령을 맞을 것"이라며 "김 위원장이 푸틴 대통령과 회담에서 러시아에 탄약을 지원하고 러시아로부터 위성기술 등을 지원받는 군사 협력을 논의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배너
배너
배너

관련기사

71건의 관련기사 더보기


"2045년 달 기지·화성 착륙선 구현"...우주항공청 "韓 우주탐사 청사진·2030년 우주강국 원년"

[뉴스스페이스=김시민 기자] 우주항공청이 2045년까지 달 경제기지 건설 및 화성 착륙선 등 야심찬 우주탐사 청사진을 공개하며, 대한민국이 글로벌 우주 패권경쟁에서 본격적인 도전장을 냈다. 2025년 7월 17일 대전 유성구에서 열린 ‘대한민국 우주탐사 로드맵’ 공청회 핵심내용 및 해외 우주 선진국 사례, 그리고 향후 기대효과를 국제적 데이터와 함께 짚어본다. 대한민국, 2045년 달 경제기지와 화성 착륙선 '정조준' 우주항공청이 발표한 중장기 전략에서 가장 주목받는 목표는 ▲2040년 달 물류수송선 및 독자적 달 착륙선 개발 ▲2045년 달 경제기지 구축 ▲2045년 자체 화성 착륙선 개발이다. 우주항공청은 저궤도 탐사, 달 탐사, 태양·심우주·천체물리 등 다섯 대형 프로그램을 통해 과학·공학적 임무를 단계별로 추진한다는 전략을 밝혔다. 달 탐사에서는 물자·샘플 수송 등 경제적 이용 가능성을 염두에 두고, 자체 달 이동·착륙 기술, 인프라, 자원 채굴, 에너지 활용 등 상용화 기반을 차근차근 마련한다는 방침이다. 화성 탐사의 경우, 2035년 화성 궤도선과 2045년 직접 착륙 임무까지 내걸며 장기 플랜을 채비한다. 해외 주요국 우주탐사 계획과의 비교 미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