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10.03 (금)

  • 맑음동두천 25.8℃
  • 구름조금강릉 27.3℃
  • 맑음서울 26.6℃
  • 구름많음대전 25.0℃
  • 흐림대구 22.6℃
  • 흐림울산 23.8℃
  • 구름많음광주 24.8℃
  • 흐림부산 27.2℃
  • 구름조금고창 25.2℃
  • 제주 24.5℃
  • 맑음강화 25.7℃
  • 구름많음보은 24.4℃
  • 구름많음금산 25.9℃
  • 구름많음강진군 26.3℃
  • 흐림경주시 22.1℃
  • 구름많음거제 25.3℃
기상청 제공

우주·항공

국제우주정거장 비행사 '대피소동' 이유는…러 퇴역위성 우주서 분해 '파편 맞을라'

 

[뉴스스페이스=윤슬 기자] 지구 저궤도를 돌고 있던 러시아 퇴역 위성이 26일 파괴돼 국제우주정거장(ISS)의 우주비행사들이 일시적으로 대피하는 소동(?)이 벌어졌다.

 

미국 우주사령부는 "지상 약 350㎞ 궤도를 돌던 ‘RESURS-P1′이 26일 오후 4시(협정세계시) 100개 이상의 파편으로 부서졌다"면서 "즉각적인 위협은 관찰하지 못했다. 상황에 대한 평가를 계속하고 있다”고 전했다.

 

RESURS-P1은 2013년 발사된 러시아의 지구 관측용 위성이다. 러시아는 2021년 12월 RESURS-P1의 임무를 종료시켰고, 천천히 고도가 떨어지고 있었다. 우주쓰레기를 추적하는 미국 레오랩스사는 이날 180여개의 위성 파편을 관측했다고 밝혔다.

 

파편조각의 우주쓰레기가 ISS를 덮칠 위험에 우주비행사들은 약 1시간가량 우주선을 나눠 타고 ISS에서 대피해야 했다. 인공위성이 분해된 지점은 수천 개의 크고 작은 인공위성이 돌아다니는 지구로부터 약 350㎞ 떨어진 곳이다. 이러한 지구 저궤도에서 대량의 파편이 발생하는 건 매우 드문 일이다.

 

위성 폭발의 원인은 아직 규명되지 않았다. 위성 내부에서 방전된 배터리가 폭발했거나, 다른 우주쓰레기 조각과 충돌했을 가능성이 있다. 러시아가 의도적으로 자국 위성을 파괴했을 가능성도 거론됐다. 러시아는 2021년 11월 플레세츠크 우주기지에서 발사한 위성요격미사일(ASAT)로 퇴역한 자국 인공위성 '코스모스를 1408'을 파괴했고 1500개 이상의 잔해가 생겨나 서방의 강력한 비판에 직면한 바 있다. 중국도 2007년 유사한 실험을 진행했다.

 

ISS는 현재 정상 운영 중이다. 위성 파편들로 인해 지구 저궤도를 도는 위성들이 영향을 받을 수 있다는 우려도 나온다. 지구에는 2024년 5월 기준 9900여개의 위성이 있는 걸로 추정되는데, 그 중 80% 이상이 지구 저궤도를 돌고 있다.

 

조나단 맥도웰 하버드대 천문학과 교수는 "러시아가 이렇게 큰 위성을 ASAT 표적으로 사용했을 거라고 믿기 어렵다"면서도 "요즘 러시아의 행태를 보면 누가 알겠느냐"고 비꼬았다.

배너
배너
배너

관련기사

69건의 관련기사 더보기


[이슈&논란] '한국계 우주비행사' 조니 김 "고추장 다 떨어져, 우주에선 빨래 못해"…ISS 인터뷰에서 누리호 4차 발사 응원

[뉴스스페이스=김시민 기자] 미국 항공우주국(NASA) 소속 한국계 우주비행사 조니 김이 국제우주정거장(ISS)에서 우주항공청 주최로 국내 최초 실시간 인터뷰를 갖고, 11월 예정된 한국형발사체 누리호 4차 발사를 힘차게 응원했다. 그는 한국 청소년들에게도 희망과 강인함을 갖고 도전을 이어가라고 격려했다. 조니 김은 1984년 미국 캘리포니아주 LA 출생으로, 미 해군 네이비씰 특수부대원 출신이며 하버드 의대 의사 출신으로 2017년 NASA 우주비행사로 선발됐다. 2025년 4월 ISS에 탑승해 약 8개월간 과학 조사와 기술 실험 임무를 수행하며 오는 12월 9일 귀환할 예정이다. 지난 9월 25일 우주항공청 공식 유튜브 채널 'KASA'에서 진행된 실시간 인터뷰에서는 윤영빈 우주항공청장과 직원 3명이 패널로 참여해 약 20분간 다양한 질문에 답했다. 이 자리에서 조니 김은 우주에서의 생활, 음식, 임무 내용을 소개하며 특히 “고추장 요리를 좋아하지만, 준비한 고추장은 다 떨어져 다음 보급을 기다리고 있다”고 말해 한국적 정서도 나타냈다. 옷 세탁이 불가능해 옷을 버리는 게 비용 효율적이라는 우주 생활 특성도 설명했다. 윤청장이 누리호 4차 발사 응원 메시

[이슈&논란] "승객 짐 안 싣고 이륙했다고?"…아시아나·에어로케이, 과태료 3천만원 부과 "국토부 엄정 처분"

[뉴스스페이스=김시민 기자] 국토교통부는 2025년 10월 2일, 항공사업법을 위반해 승객에 대한 정보 안내 의무를 소홀히 한 아시아나항공과 에어로케이 두 국적 항공사에 총 3000만원에 달하는 과태료를 부과했다. 아시아나항공에는 1200만원, 에어로케이에는 1800만원이 각각 부과됐다. 아시아나항공의 경우, 8월 8일부터 9일까지 인천발 미국 뉴욕행 항공편 3편에서 일부 위탁수하물을 싣지 못하는 상황이 발생했음에도, 이륙 3~4시간 전에 이를 인지하고도 승객에게는 항공기 이륙 후에야 문자로 안내했다. 당시 러시아 캄차카반도 화산 분화로 인한 화산재 영향으로 우회항로 운항과 안전 및 연료 문제 때문에 수하물 탑재량이 제한된 상황이었다. 이에 따라 승객 약 294명의 수하물이 미탑재됐다. 그러나 아시아나항공이 승객에게 보낸 문자에는 수하물 미탑재 사실과 도착 공항 문의 내용만 포함되어 있었고, 보상 계획이나 처리 절차 등 핵심 안내가 빠져 있어 항공교통 이용자 보호기준을 위반한 것으로 평가됐다. 이에 항공편당 400만원씩, 총 1200만원의 과태료가 부과되었다. 에어로케이의 경우, 3월 30일부터 6월 17일 사이 9편의 항공편에서 지연이 예상되었음에도 승객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