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7.07 (월)

  • 구름많음동두천 27.7℃
  • 흐림강릉 29.4℃
  • 구름조금서울 29.1℃
  • 구름조금대전 30.2℃
  • 맑음대구 32.3℃
  • 연무울산 29.4℃
  • 맑음광주 31.6℃
  • 구름조금부산 26.6℃
  • 구름조금고창 32.1℃
  • 맑음제주 29.6℃
  • 흐림강화 26.9℃
  • 구름많음보은 28.2℃
  • 구름조금금산 30.3℃
  • 구름많음강진군 30.8℃
  • 구름조금경주시 32.9℃
  • 구름조금거제 28.1℃
기상청 제공

우주·항공

[랭킹연구소] 韓 군사력 세계 5위·북한 34위·일본 8위…세계 군사력 순위 TOP10, 미국·러시아·중국·인도·한국 順

2025 글로벌파이어파워(GFP) 보고서
한국, 2011년 첫 10위권 진입…北, 2005년 8위에서 30위 밖으로 떨어져
'국방예산이 중국의 3배' 미국, 부동의 1위…러·중·인도 2~4위
영국·프랑스·일본도 한국보다 아래…英·佛·日·터키·伊 6위~10위
핵무기·사이버 전력등 평가 안해 '한계'라는 지적도

 

[뉴스스페이스=윤슬 기자] 한국의 재래식 군사력이 세계 5위 수준인 것으로 나타났다. 북한은 지난해보다 2순위 오른 34위로 조사됐다.

 

14일(현지시각) 미국의 군사력 평가 전문기관인 글로벌파이어파워(GFP)가 145국 군사력 순위를 조사한 ’2025 군사력 랭킹(2025 Military Strength Ranking)‘을 발표했다.

 

한국은 군사력 평가지수에서 0.1656점을 받아 5위를 차지했다. 군사력 평가지수는 0에 가까울수록 완벽한 군사력을 의미한다.

 

한국의 군사력 순위는 2011년 7위를 차지해 처음으로 10위권 내에 들었다. 이후 2020년 6위로 올랐고 지난해 처음으로 5위에 올랐다.

 

GFP에 따르면 한국의 국방예산은 463억달러(약 68조원)였으며, 현역 군인은 전체 인구의 1.2%인 60만명, 예비군은 310만명, 준군사조직은 12만명이었다.

 

한국 공군은 항공기를 총 1592대 보유하고 있다. 육군은 탱크 2236대, 다연장로켓시스템(MLRS) 426대, 자주포 3270대, 견인포 4400대를 보유하고 있다. 한국 해군은 잠수함 22척, 구축함 13척 등 총 227개의 자산을 보유하고 있다. 한국 해군 자산의 총톤수는 34만4786톤이다.

 

GFP는 “일반적으로 안정된 아시아·태평양 지역의 강대국인 이 나라(대하민국)는 최근 정치적 격변이 일어나고 있다는 사실이 주목된다”며 “서류상으로는 국경을 맞대고 있는 북한에 비해 기술적 우위를 유지하고 있으며, 미국을 뒷배로 두고 힘을 얻고 있다”고 설명했다.

 

반면 북한의 군사력 평가지수는 0.6016으로 145개국 가운데 34위를 기록했다. 이는 지난해에 비해 2단계 오른 것이다.

 

북한은 2005년 조사가 처음 시작됐을 때는 8위였다. 그러나 2007년 18위로 떨어졌고 2012년에는 25위권 밖으로 밀려났다. 이후 2016년 다시 25위권 내로 진입했고 2018년에는 18위까지 올라갔지만 2020년 이후 25위권 안에 다시 들지 못하고 지난해 36위까지 떨어졌다.

 

북한의 국방 예산은 약 47억달러(약 7조원)였다. 북한은 전체 인구 약 2630만명 중 현역병이 132만명, 예비군이 56만명, 준군사조직이 10만명인 것으로 나타났다.

 

북한 공군은 총 861대의 항공기를 보유하고 있다. 북한 육군은 탱크 4344대, 자주포 1300대, 견인포 700대, MLRS 1500대를 보유하고 있으며, 북한 해군은 잠수함 13척 등 총 207개의 자산을 보유하고 있으며 구축함은 없다. 북한 해군 자산의 총톤수는 14만3304톤이었다.

 

GFP는 북한 지상군의 탱크, 자주포, 다연장로켓발사체계를 높이 평가했고, 공군의 전투기 수와 공격기 수, 해군의 순시선·잠수함·프리깃함·코벳함 수에도 좋은 점수를 줬다. 전반적으로 무기의 성능보다는 수량에서 역량을 인정받은 것으로 풀이된다.

 

GFP는 북한 군사력 평가의 첫 페이지에 "북한군의 러시아 파병이 우크라이나와 러시아의 전황에 '흥미로운 전개'를 초래했다"고 별도 언급했다.

 

GFP는 2005년부터 병력, 육·해·공군력과 국방 예산 등을 종합적으로 평가해 재래식 군사력 평가지수를 매겨 왔다. 다만 핵무기 보유 여부나 핵전력, 사이버 전력과 같은 비대칭 전력은 제외된다. 전력 비교도 전투기, 전차 등 주요 무기의 보유 수량을 기준으로 평가한다.

 

실제로 군사력 상위 5개국 중 핵무기가 없는 나라는 한국이 유일했다. 때문에 GFP 순위는 참고자료일뿐 현실을 반영하지 못하고 있다는 지적도 나온다.

 

특히 북한은 제한적 재래식 전력에도 불구하고 핵무기와 대륙간탄도미사일(ICBM) 개발을 통해 지역 및 글로벌 안보에 막대한 위협을 가하고 있다. 하지만 GFP에서는 이러한 전략 자산이 제대로 반영되지 않아 북한의 군사력이 과소평가되는 등 한계를 노출해 왔다.

 

미국은 군사력 평가지수 0.0744로 부동의 1위를 차지했다. 미국의 국방 예산은 8950억달러(약 1310조원)로 중국(약 2668억 달러)의 3배가 넘었다. 미국 다음으로 2위 러시아(0.0788), 3위 중국(0.0788), 4위 인도(0.1184)가 그 뒤를 이었으며, 한국 다음으로는 6위 영국(0.1785), 7위 프랑스(0.1878)가 뒤를 이었다.

 

중국 견제를 위해 역대 최대 방위비를 편성하고 있는 일본의 군사력 평가지수는 0.1839로 8위를 기록했다. 일본 국방예산은 570억달러(약 83조원)였으며 전체 인구 1억2320만명 중 현역병(자위대원)은 24만7000명, 예비역은 5만6000명, 준군사조직은 2만5000명이었다.

 

일본 항공자위대는 총 1443대의 항공기를 보유하고 있다. 일본 육상자위대는 탱크 521대, 자주포 149대, 견인포 480대, MLRS 54대를 보유하고 있다. 일본 해상자위대는 구축함 42척, 잠수함 24척 등 총 159개의 자산을 보유하고 있다. 일본 해상자위대 자산의 총톤수는 76만9882톤이다.

 

9위 터키, 10위 이탈리아가 포함돼 톱10에 이름을 올렸다.

배너
배너
배너

관련기사

41건의 관련기사 더보기


[지구칼럼] '24시간 붕괴' 올여름 ‘지구, 역대 최단 하루’ 맞을까…지구자전 가속→마이너스 윤초→IT·금융시스템 ‘시한폭탄’

[뉴스스페이스=이종화 기자] 2025년 여름, 지구는 사상 유례없는 ‘가장 짧은 하루’를 맞이할 가능성이 크다는 과학계의 경고가 잇따르고 있다. cbs뉴스, 그라운드뉴스, 인디아뉴스등의 해외보도에 따르면, 실제로 7월 9일, 7월 22일, 8월 5일 중 하루는 24시간(8만6400초) 기준에서 최대 1.51밀리초(ms) 짧아질 것으로 예측되고 있다. 이는 2024년 7월 5일 기록된 ‘1.66ms 단축’ 이래 또 한 번의 신기록 경신 가능성이다. 지구 자전, 왜 갑자기 빨라지나…“원인 미궁, 내부 요인일 가능성” 지구의 하루 길이는 달의 조석력, 지구 내부의 핵 운동, 해류, 대기압 변화, 빙하 융해 등 복합적 요인에 의해 미세하게 변동된다. 전통적으로는 달의 중력 효과로 인해 지구 자전이 점진적으로 느려지는 것이 정상적 흐름이다. 실제로 20세기 후반까지는 하루가 평균 24시간보다 미세하게 길어지는 추세였다. 그러나 2020년 이후, 지구 자전이 갑자기 빨라지며 ‘최단 하루’ 기록이 매년 갱신되고 있다. 이 같은 급격한 가속의 원인에 대해, 모스크바국립대 레오니드 조토프 박사는 “아무도 예상하지 못했다. 해양·대기 모델로는 설명이 불가능하다. 대부분의 과학

[우주AtoZ] '기후감시의 눈' 메탄샛 침묵에 웃는 기업, 어디?…엑손모빌·셰브론·쉘·아람코·가즈프롬·페트로차이나·BP·토탈에너지스 '수혜'

[뉴스스페이스=윤슬 기자] 글로벌 기후감시의 ‘눈’이 사라졌다. 2024년 3월 아마존 창립자 제프 베조스의 후원으로 8800만 달러(약 1200억원)가 투입된 메탄 감시 위성 ‘메탄샛(MethaneSAT)’이 우주에서 교신 두절되며 임무를 사실상 종료했다고 Engadget, New Scientist, MethaneSAT 공식 사이트가 밝혔다. 이 위성은 전 세계 석유·가스 생산지의 메탄 배출을 고정밀로 감시하며, 배출량 데이터를 무료로 실시간 공개해온 ‘기후 투명성’의 상징이었다. 그러나 위성의 침묵과 함께, 글로벌 석유·가스 업계의 ‘수혜자’가 확대될 것이라는 우려가 커지고 있다. MethaneSAT는 태양 활동 극대기(11년 주기)로 인한 전자장치 혼란, 추진기 고장, 반복적 대기 모드 진입 등 복합적 기술 문제를 겪다 2025년 6월 20일 교신이 두절됐다. 소프트웨어 패치 등으로 일부 문제를 해결했으나, 7월 1일 전원까지 완전히 상실하며 복구 불가 판정을 받았다. 메탄샛 위성의 침묵, 누가 웃는가? 가장 큰 수혜자는 글로벌 석유·가스 메이저와 신흥국 국영기업이 꼽힌다. 이들은 메탄 배출 실태를 외부에 드러내지 않고, 규제·시장 제약을 회피할 수 있

‘트럼프의 야심’ 그린란드에 美 유나이티드항공 '첫 직항'…관광·지정학·정치의 교차점

[뉴스스페이스=김시민 기자] 미국 유나이티드항공이미국 본토와 덴마크령 그린란드를 잇는 사상 첫 정기 직항 노선을 개설했다. 이번 노선은 단순한 항공편 신설을 넘어,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의 영토 편입 구상, 그린란드의 경제·관광 전략, 북극권의 지정학적 변화 등 다양한 이슈가 복합적으로 맞물리며 국제적 주목을 받고 있다. “트럼프의 눈독” 그린란드, 왜 주목받나 그린란드는 세계 최대의 섬이자, 덴마크 자치령으로 북극해와 대서양을 잇는 전략적 요충지다. 트럼프 전 대통령은 2019년과 2024년 대선 과정에서 “그린란드를 미국 영토로 편입하겠다”는 구상을 수차례 공식화했다. 이는 풍부한 희토류·석유 등 자원과 북극항로, 군사적 가치 때문으로, 실제 미국은 제2차 세계대전 이후 그린란드에 미군기지(툴레 공군기지)를 운영해왔다. 그린란드 자치정부와 주민들은 미국의 편입 시도에 강력히 반발해왔으며, 최근 총선에서도 ‘반(反)트럼프’와 독립·자치 강화 정당이 약진하는 등 정치적 긴장감이 높아져 있다. 유나이티드항공, 누크행 첫 직항…공항 확장·관광산업 도약 유나이티드항공은 2025년 6월 14일, 뉴저지주 뉴어크 공항에서 그린란드 수도 누크까지 첫 직항편(비행시간 약

베트남 하노이 노이바이 공항 ‘활주로 날카로운(?) 충돌’…조종사 4명 직무정지, 사고 원인·항공안전 체계 '도마위'

[뉴스스페이스=김시민 기자] 베트남 하노이 노이바이 국제공항에서 베트남항공 소속 여객기 두 대가 활주로에서 충돌하는 아찔한 사고가 발생했다. 뉴욕포스트, Vietnam.vn의 보도에 따르면, 이번 사고로 조종사 4명이 직무 정지되고, 베트남 민간항공청(CAAV)과 항공사가 독립 조사팀을 꾸려 원인 규명에 착수했다. 다행히 인명 피해는 없었지만, 항공기 두 대가 심각하게 파손되고 공항 운영에도 일시적 차질이 빚어지면서 아시아 항공안전 관리체계에 대한 경각심이 다시 높아지고 있다. 활주로에서 ‘칼로 자르듯’ 충돌 사고는 2025년 6월 27일 오후 2시(현지시간) 하노이 노이바이 국제공항에서 발생했다. 호치민행 VN7205편(보잉 787, 기체번호 VN-A863)이 이륙을 위해 활주로를 주행하던 중, 디엔비엔행 VN1804편(에어버스 A321, 기체번호 VN-A338)과 충돌했다. 당시 A321기는 출발을 대기하며 활주로 인근에 정차해 있었다. 현장 승객이 촬영한 8초 분량의 영상에는 보잉 787의 오른쪽 날개가 에어버스 A321의 꼬리 부분을 수평으로 자르듯 파고드는 장면이 고스란히 담겼다. 충돌 후에도 보잉 787기는 멈추지 않고 이동을 계속했고, 에어버스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