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8.16 (토)

  • 흐림동두천 29.3℃
  • 흐림강릉 30.6℃
  • 흐림서울 32.3℃
  • 구름많음대전 30.7℃
  • 구름조금대구 32.7℃
  • 구름많음울산 30.7℃
  • 구름조금광주 31.8℃
  • 맑음부산 32.0℃
  • 구름조금고창 32.7℃
  • 구름조금제주 31.6℃
  • 흐림강화 30.0℃
  • 흐림보은 29.2℃
  • 구름많음금산 31.4℃
  • 구름조금강진군 31.5℃
  • 맑음경주시 32.0℃
  • 맑음거제 31.0℃
기상청 제공

우주·항공

한화가 만든 장갑차, 독일 제치고 호주에 5조원 수출···K방산 '우뚝'

한화에어로, 호주 수출 우선협상대상자로 선정
2027년부터 ‘레드백’ 129대 납품
선진 기술 절묘한 조합... 방호력·기동성 한수 위

호주에 수출 예정인 ‘레드백’ 보병전투장갑차 [한화에어로스페이스]

 

[뉴스스페이스=조일섭 기자] 국내 방위기업 한화에어로스페이스가 방위산업 강국인 독일을 제치고 호주로부터 약 5조원 규모의 보병전투장갑차 계약을 따냈다.

 

국내 방산업체들이 폴란드와 K9 자주포, FA-50 경공격기, K2 전차 등 약 15조원 규모 계약을 연이어 체결한 데 이어, 또다시 대규모 수출에 성공한 것.

 

이번 한화의 수주는 의미하는 바가 크다. 영미권 정보 공동체인 파이브 아이스(미국·영국·캐나다·호주·뉴질랜드) 회원국 중 한 곳에 무기를 공급하게 되면 다른 자유민주진영 동맹국에 대한 방산 수출에도 긍정적 영향을 주기 때문이다.

 

최종 계약이 체결되지 않아 정확한 규모는 공개되지 않았지만, 현지 언론들은 60억 호주달러(약 5조2000억원)에 이를 것으로 본다. 

 

한화에어로스페이스는 호주군 현대화 사업인 ‘랜드(LAND) 400 3단계’의 보병전투차량 최종 후보들 중 자체 개발한 장갑차 '레드백'이 우선협상대상 기종에 선정됐다고 밝혔다. 호주군은 이번 사업으로 1960년대 도입한 미국제 M113 장갑차를 교체할 계획이다. 최종 계약이 체결되면 호주군은 2027년 하반기부터 레드백 129대를 순차 배치한다.

 

한화에어로스페이스는 이번 수주전에서 미국과 영국, 독일 등 전통적인 방산 강국을 차례로 제쳤다. 이번 사업은 호주군이 1960년대에 도입한 미국제 M113 장갑차를 교체하는 것이다.

 

한화에어로스페이스에 따르면 이번 호주 사업에는 레드백 외에도 미국 제너럴다이내믹스의 ‘에이젝스’, 영국 BAE시스템스의 ‘CV90’, 독일 라인메탈사의 ‘링스’ 등 쟁쟁한 글로벌 방산업체들 제품이 앞다퉈 뛰어들었다. 

 

까다로운 성능과 가격 평가를 거쳐 한국과 독일로 좁혀졌고, 이번에 한화에어로가 최종 대상으로 선정됐다. 2021년 한화가 호주에 수출한 K9자주포가 현지에서 좋은 평가를 받은 것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 것으로 알려졌다.

 

방산업체 관계자는 "세계 최고로 평가받던 독일의 방산기업을 누르고, 무기 선진국 시장에서 국내기업이 성능을 앞세워 수주를 따낸 것은 엄청난 큰 사건"이라며 "향후 수주전에서도 유리한 평가로 작용하는 중요한 선례가 될 것"이라고 평가했다.

 

수출한 해당 장갑차 레드백은 한화에어로스페이스가 처음부터 수출을 염두에 두고 만든 기종이다. 이름도 호주에 서식하는 ‘붉은등 독거미’에서 따왔다. 전투기에 적용되는 최첨단 센서와 레이더(AESA), 차량 내부에서 특수 헬멧을 쓰면 고글 화면을 통해 전차 외부 360도 전 방향을 감시할 수 있는 ‘아이언 비전’ 헬멧 전시 기능 등을 탑재했다. 모두 한국군 장갑차에는 없는 기능들이다.

 

한화에어로측은 "방산 수출은 한국군에 납품할 목적으로 제작한 것을 조금씩 개량해 수주전에 뛰어들었다"면서 "하지만 이제는 상대국이 요구하는 사양에 맞춰 전략적으로 개발하는 체계를 갖춘 만큼, 수출 경쟁력이 더 높아질 것"이라고 밝혔다.

 

지난해부터 이어온 ‘K방산’의 수출은 계속 이어질 전망이다. 현재 현대로템과 한화에어로는 폴란드와 2차 무기 계약을 진행 중이고, 내년에는 수십조 원 규모의 캐나다 잠수함 사업 입찰도 시작된다.

 

한국항공우주산업은 미국에 FA-50 경공격기 납품을 본격 추진키로 했다. 지난해 말 국내 방산 5사의 수주 잔고는 100조원을 웃돈다. 

 

배너
배너
배너

관련기사

93건의 관련기사 더보기


[우주AtoZ] 무기시장에서 '애물단지' 된 F-35, 스위스·캐나다·유럽 줄줄이 구매 재검토…관세·가격인상에 흔들리는 '美 전투기'

[뉴스스페이스=김시민 기자] 최근 미국이 수입 무기와 부품에 대해 스위스를 상대로 39%의 관세를 부과하고, F-35 도입비용마저 추가 인상되자 스위스와 여러 유럽 국가들이 록히드마틴의 F-35 전투기 도입 결정을 잇따라 재고하고 있다. 폴리티코 유럽판, 디펜스뉴스(Defense News), 랜드연구소(RAND Corporation), 미 국방부(DoD) 등의 보도와 자료를 취합해 볼 때, F-35의 글로벌 시장 입지와 미국 방산 산업의 신뢰가 흔들리는 조짐이다. 스위스 현지 정치권에서는 "미국이 F-35 구매국에 미군과 동등한 조건만을 보장한다"며 "관세가 부과되어 가격이 또다시 인상될 경우, 차라리 계약을 파기하거나 이미 지불한 일부 기체만 인도 받는 방안을 검토해야 한다"는 주장이 힘을 얻고 있다. 실제로 스위스 연방의회에서는 녹색당 발타자르 글레틀리 의원의 주도로 F-35 구매 계획 취소안이 공식 발의되기도 했다. 스위스는 당초 2021년 10조원(60억 스위스프랑)을 투입해 F-35A 36대를 도입하기로 결정, 2027~2030년까지 인도를 계획했으나, 미국 측에 비용 추가 인상을 통보받으면서 부담이 커진 상태다. 이 같은 움직임은 스위스에만 국한되

[이슈&논란] 인천공항行 에어아시아, 김포공항에 내렸다고?…미스터리 착륙에 승객 2시간 '진땀'

[뉴스스페이스=김시민 기자] 인천공항 도착 예정이던 말레이시아발 에어아시아 X D7 506편이 2025년 8월 13일 저녁, 예고 없는 김포공항 착륙으로 승객들의 혼란과 불편이 이어졌다. 실제로 항공기 내 안내 방송에서도 “인천공항에 도착했다”는 기장 멘트가 나왔지만, 바깥 풍경은 김포였다. 승무원조차 상황을 인지하지 못했고, 승객에게 되묻는 초유의 장면이 연출됐다. 연합뉴스 보도에 따르면, 이 항공편은 쿠알라룸푸르에서 출발해 인천공항에 19시50분 도착 예정이었다. 그러나 한국 상공에서 약간의 선회 후 20시08분, 목적지를 변경해 김포공항에 착륙했다. 이후 약 2시간 동안 김포공항에 머물렀다가, 22시03분에 재이륙해 22시56분 인천공항에 도착했다. 승객 불만은 컸다. 취재에 응한 김모씨(38)는 “비상 착륙 원인으로 ‘난기류’, ‘연료 부족’ 얘기가 나왔으나, 실제로 연료를 보충하는 모습도 없었고 인천 도착시 사과도 없었다”고 말했다. 당시 승무원이 안내방송에서 “연료가 부족해 비상 상황으로 김포에 내린다”고 설명했으나, 승무원들마저 당황해 승객들에 상황을 묻는 모습이 공개됐다. 항공기 착륙 절차상, 목적지 변경은 관제와 항공사 간 긴밀한 교신이 필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