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10.11 (토)

  • 맑음동두천 25.8℃
  • 구름조금강릉 27.3℃
  • 맑음서울 26.6℃
  • 구름많음대전 25.0℃
  • 흐림대구 22.6℃
  • 흐림울산 23.8℃
  • 구름많음광주 24.8℃
  • 흐림부산 27.2℃
  • 구름조금고창 25.2℃
  • 제주 24.5℃
  • 맑음강화 25.7℃
  • 구름많음보은 24.4℃
  • 구름많음금산 25.9℃
  • 구름많음강진군 26.3℃
  • 흐림경주시 22.1℃
  • 구름많음거제 25.3℃
기상청 제공

빅테크

[빅테크칼럼] 테슬라 사이버캡, 텍사스 충돌 테스트로 2026년 양산 '초읽기'…로보택시 시장 '폭풍전야'

 

[뉴스스페이스=윤슬 기자] 전기차 및 자율주행 기술의 선두주자 테슬라가 10월 9일(현지시각) 자사의 신개념 자율주행 로보택시 모델인 사이버캡(Cybercab)의 프로토타입을 텍사스 기가팩토리(Giga Texas) 충돌 테스트 시설과 캘리포니아 프리몬트 테스트 트랙에서 동시에 포착하며 개발의 중대 이정표에 도달했다. 이는 사이버캡이 지난해 “We, Robot” 이벤트에서 공개된 지 정확히 1년 만이다.

 

Teslanorth, Teslarati, Driveteslacanada, Eletric-vehicles에 따르면, 두 테스트 시설에서의 동시 모습은 테슬라가 제품 양산 전 최종 검증 단계에 접어들었음을 의미한다. 오랜 기간 기가텍사스를 관찰해온 드론 촬영자 조 테그트마이어(Joe Tegtmeyer)는 “통상 충돌 테스트는 생산 착수 1~2개월 전에 실시된다”며 “과거 사이버트럭 개발 진행과 비슷하다면 양산 버전의 첫 시험 주행을 목격하기까지 한두 달 정도 남은 셈”이라고 분석했다.​

 

가속화된 개발 일정과 생산 준비


테슬라의 과거 사례를 보면 프리몬트 테스트 트랙에서 차량이 목격된 후부터 양산까지 시간이 짧았다. 모델 Y의 경우 2019년 12월 테스트 트랙에 처음 등장했고 약 1개월 만에 양산을 시작했으며, 사이버트럭은 2021년 12월 테스트 후 2023년 11월 출시됐다. 이번 사이버캡의 10월 9일 목격 역시 회사가 공언한 2026년 초 양산 목표에 부합한다.

 

드론촬영자 테그트마이어는 “사이버캡이 프리몬트에서 대부분의 최종 엔지니어링 및 생산 테스트를 마쳤고, 현재 기가텍사스에서 남은 작업을 진행 중인 것으로 보인다”고 전했다. 최근 몇 달간 기가텍사스 공장에 신형 생산 장비 설치가 집중되었는데, 이는 사이버캡 대량 생산 준비와 맞물린 움직임이다.​

 

혁신적 ‘언박스드 프로세스(Unboxed Process)’ 제조법


특히 사이버캡은 2025년 9월 미국 특허청(USPTO)에서 승인받은 ‘언박스드 프로세스’라는 테슬라의 신개념 제조 방식을 적용할 계획이다. 이 방식은 차량의 각 부분을 별도로 생산한 뒤 최종 조립 단계에서 결합하는 모듈형 생산 체계로, 기존 일괄 조립 라인 방식과 달리 공장 공간과 생산 비용을 절감하고 생산 효율을 크게 높여준다.

 

이 과정에서 차량은 전통적인 차대 용접이나 도장 공정을 줄이고, 먼저 각 섹션을 전처리(전기 도장 및 도장)한 뒤 최종 결합하는 방식을 사용한다. 자동화된 어셈블리 셀과 공차를 고려한 접착제 틈새 설계도 도입해 생산 중단 없이 가동 시간을 극대화할 수 있다고 특허 문서는 설명한다.​​

 

로보택시 시장 경쟁 격화

 

현재 테슬라는 텍사스 오스틴에서 약 20대의 모델 Y 차량을 활용한 제한적 로보택시 서비스를 운영 중이다. 이 서비스는 2025년 6월 시작됐으며, 4.2달러 대의 탑승 요금으로 초대받은 승인자들을 대상으로 운행 중이다. 운행 구역은 사우스 콩그레스 애비뉴와 사우스 라마 블러바드를 중심으로 제한된다. 2025년 7월에는 샌프란시스코 베이 에어리어로 서비스를 확대했다.​

 

테슬라는 이번 사이버캡을 기반으로 완전 자율주행 무인 로보택시 서비스를 확장한다는 계획이다. 이는 웨이모(Alphabet 자회사)와의 직접 경쟁으로, 웨이모는 샌프란시스코, 피닉스, 로스앤젤레스 등에서 이미 1500대 이상의 자율주행차로 주당 약 25만 승객을 운송 중이다.

 

시장조사업체들은 글로벌 자율주행차 시장이 2033년까지 약 9917억 달러 규모로 성장할 것으로 보고 있으며, 연평균 복합 성장률(CAGR)은 31.01%에 달한다. 테슬라는 이 거대한 시장에서 “최초 연간 200만대, 궁극적으로 400만대 이상 생산”을 목표로 공격적인 확장 전략을 추진 중이다.​

 

향후 전망과 도전과제


다만, 완전 무인 자율주행 로보택시의 상용화는 규제 승인, 안전성 검증, 기술 신뢰성 확보 등 난관이 남아 있다. 테슬라의 풀셀프드라이빙(FSD) 기술에 대한 논란과 사고 사례가 꾸준히 제기되는 가운데, 안정성에 대한 공공 및 규제기관의 신뢰 확보가 필수적이다.

 

전문가들은 테슬라가 이번 사이버캡 프로젝트를 통해 기존 승용차 생산 노하우와 대규모 배터리 및 충전 인프라를 활용, 빠른 확장과 비용 절감을 실현할 잠재력이 있지만, 규제와 기술 검증이 성공적으로 대응될 경우에 한한다고 지적한다.​

 

테슬라가 이번 사이버캡 양산과 로보택시 시장 확장에 성공할 경우, 전기차 산업뿐 아니라 도시 교통과 모빌리티 혁신에 새로운 장을 열 것으로 기대된다.

배너
배너
배너

관련기사

34건의 관련기사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