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스페이스=김정영 기자] 테슬라가 그동안 강력히 반대해온 애플의 차량용 인포테인먼트 플랫폼 ‘카플레이(CarPlay)’ 도입을 내부 테스트 단계에서 진행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이는 일론 머스크 CEO가 애플과의 갈등으로 카플레이 지원을 거부해온 과거 입장에서 180도 전환한 결정이며, 최근 판매 부진을 만회하기 위한 전략적 변화로 풀이된다.
블룸버그, Electrek, 로이터, Carscoops, The Verge, Apple Insider에 따르면 테슬라는 카플레이를 테슬라 자체 운영체제(OS) 내에 별도 창 형태로 탑재하는 방식을 준비 중이다. 이는 애플의 카플레이가 차량 전체 UI를 대체하는 ‘카플레이 울트라(Ultra)’가 아닌, 기존 테슬라 내비게이션, 웹 브라우저 등 핵심 기능은 유지하는 부분 적용 형태다.
다만 자율주행 시스템(FSD)과 같은 핵심기능과의 연동은 배제된다. 이와 함께 무선 연결을 지원해 아이폰과 케이블 연결 없이도 카플레이를 사용할 수 있게 될 전망이다.
카플레이는 아이폰 화면을 차량용으로 최적화해 음악, 메시지, 지도, 음성비서 등 다양한 기능을 간편하게 쓸 수 있게 해 주는 인포테인먼트 플랫폼으로, 2014년 출시된 이후 글로벌 완성차 업체들이 표준처럼 채택해왔다. 2024년 맥킨지 발표에 따르면 전체 차량 구매자의 약 3분의 1이 카플레이 혹은 안드로이드 오토 미지원 차량 구매를 꺼려할 정도로 소비자 선호도가 매우 높다. 테슬라는 이런 소비자 요구를 장기간 묵살해 왔지만, 올해 판매 감소와 소비자 불만이 커지면서 상황이 급변했다.
특히 머스크 최고경영자는 그간 애플의 앱스토어 정책과 전기차 시장 진입 시도에 대해 공개적으로 비판해왔다. 2024년 애플이 전기차 개발 프로젝트 ‘타이탄’을 공식 중단한 이후, 테슬라는 애플과 전략적 ‘화해’ 국면에 접어든 모양새다. 이번 카플레이 도입은 이러한 업계 환경 변화와 판매 부진에 따른 실리적 판단에서 비롯됐다는 해석이 많다.
업계 관계자는 “테슬라가 카플레이 같은 대중적인 스마트폰 연동 기능을 수용하는 것은 고객 경험 강화와 더불어 시장 경쟁력 확보를 위한 필수 조치”라면서 “자동차 시장의 인포테인먼트 시스템 경쟁이 갈수록 치열해지고 있는 만큼, 머스크도 변화하지 않을 수 없었을 것”이라고 평가했다.
테슬라는 현재 프리미엄 전기차 시장에서 포드, 제너럴모터스, 현대 등 주요 경쟁사에 뒤처진 판매 실적을 기록하고 있다. 카플레이 도입이 소비자 이탈을 막고 판매 회복에 기여할지 주목된다. 다만 일정은 아직 확정되지 않았으며, 기능의 구체적인 출시 시기와 성과는 지켜봐야 할 부분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