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뉴스스페이스=김혜주 기자] 2024년 성장호르몬 주사 처방량이 162만개, 처방액은 1592억원으로 역대 최대를 기록했다.
중증 부작용도 2020년 9건에서 2024년 165건으로 18배 이상 급증했으며, 성장호르몬 관련 의약품 온라인 불법판매·알선 광고는 2021년 2건에서 2025년 8월 기준 111건으로 폭증한 것으로 나타나 보건당국의 관리 강화가 절실한 상황이다.
2일 더불어민주당 남인순 의원(서울송파구병, 보건복지위)이 건강보험심사평가원으로부터 제출받은 ‘최근 5년간 성장호르몬 주사 처방현황’에 따르면, 2024년 한 해 동안 국내 성장호르몬 주사 처방량이 162만건에 달하며 역대 최대치를 기록했다. 처방액 역시 1592억원을 넘어서 2020년 596억원 대비 2.6배나 급증했다.
성장호르몬 주사는 본래 성장호르몬 분비 장애, 결핍 환자 및 터너증후군 환자 치료용으로 사용되도록 허가됐으나, 최근에는 ‘키 크는 주사’라는 잘못된 인식과 과도한 광고 등으로 오남용되고 있다.
이로 인해 폐렴, 미코플라스마 폐렴, 충수염, 발열과 같은 생명을 위협할 수 있는 중증 부작용 사례가 급격히 증가했다. 2024년 보고된 전체 성장호르몬 주사 부작용 사례는 1809건으로, 2020년 660건과 비교해 3배 가까이 늘어난 수치다.
특히 비급여 처방까지 포함하면 시장 규모는 더욱 커질 것으로 추산된다. 2024년 기준 건강보험심사평가원 자료에 따르면 성장호르몬 주사 처방 건수는 162만1154건, 처방액은 1592억5400만원에 이르러, 1500억원을 돌파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또한, 2021년 2건에 불과했던 성장호르몬 관련 불법 온라인 판매 및 알선 광고 적발 건수는 2025년 8월 기준 111건으로 폭증해 청소년과 학부모를 대상으로 한 불법 마케팅이 심각한 수준임을 보여준다.
성장호르몬 치료는 어린이의 뼈 나이, 유전적 특성 등을 고려해 전문가의 정확한 진단과 맞춤형 처방이 필수적인 치료임에도, 지식 부족과 잘못된 사회적 인식 탓에 무분별한 사용과 불법 유통이 만연하고 있다. 전문가들은 적절한 검사와 상담, 지속적인 추적 관찰 없이는 성장호르몬 주사 투여가 기대 이상의 위험을 안길 수 있다고 경고한다.
실제로 치료 전 성장호르몬 유발 검사는 비급여로 진행되며, 월 6일 이상 주사 투여가 1~3년간 지속되며 비용 부담 또한 크다.
더불어민주당 남인순 의원은 “성장호르몬 주사는 허가된 적응증 환자에게만 처방돼야 함에도 키 크는 주사 광고와 불법 판매가 급증해 중대 부작용 발생 위험이 커지고 있다”며 “복지부와 식약처의 관리·감독을 대폭 강화하고 제도적 대책 마련이 시급하다”고 강조했다.
이번 통계와 현황은 국내 성장호르몬 치료가 급격히 확대되는 과정에서 관리의 빈틈이 심각한 사회적 문제로 대두되고 있음을 명확히 보여준다. 정부와 의료계는 성장호르몬 주사의 오남용과 부작용, 불법 시장 유통 근절을 위한 종합적 대책 마련에 집중할 필요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