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11.07 (금)

  • 맑음동두천 13.3℃
  • 흐림강릉 13.6℃
  • 맑음서울 14.5℃
  • 맑음대전 12.2℃
  • 맑음대구 13.8℃
  • 맑음울산 14.7℃
  • 박무광주 15.3℃
  • 구름조금부산 16.0℃
  • 맑음고창 11.4℃
  • 맑음제주 17.9℃
  • 맑음강화 12.3℃
  • 맑음보은 9.6℃
  • 맑음금산 10.0℃
  • 맑음강진군 12.0℃
  • 맑음경주시 9.9℃
  • 맑음거제 16.0℃
기상청 제공

공간·건축

[공간사회학] 이포컨트리클럽 17번홀 '아이고야(啞耳苦惹)’…골프장 코스에 숨겨진 네이밍

 

[뉴스스페이스=김문균 기자] "잘 지은 이름 하나, 열 홍보 안 부럽다"

 

이름에는 특별한 힘이 담겨 있다. 무엇을 어떻게 이름 짓느냐에 따라 사람들에게 오래 기억되기도 하고, 쉽게 흘려보내지기도 한다. 그래서 사람들은 귀한 것일수록 이름 짓기에 공을 들인다. 골프장 이름은 어떨까? ‘이름’을 통해 골퍼들에게 색다른 재미를 주는 사례를 정리해 봤다.

 

◆ 이름이 브랜드를 만든다


네이밍은 단순한 이름 짓기가 아니다. 브랜드 이미지를 만드는 중요한 과정이다. 세계적인 마케팅 전략가잭 트라우트(Jack Trout)는 “가장 중요한 마케팅 결정은 브랜드 네이밍”이라고 말한 바 있다.

 

성공적인 브랜드 네이밍은 경쟁사와 확고한 차별성을 갖게 한다. 브랜드 자체가 고유 이름이 되기도 한다. 반창고를 ‘대일밴드’, 진통제를 ‘타이레놀’이라고 부르는 사례가 대표적이다. 이들은 우리 일상에서 확고한 ‘이름’으로 존재한다.

 

네이밍의 숨은 법칙을 담은 책 『세상 모든 것들의 이름짓기』에서는 좋은 이름을 다음과 같이 정의한다.

 

“좋은 이름은 첫째 유니크해서 다른 것과 구별되어야 하며, 둘째 대상의 근본적인 의미와 가치를 담아야 한다. 좋은 이름은 무엇보다 ‘본질을 품은 유니크함’이 기본이다. 하지만 그것만으로 좋은 이름이 완성되지 않는다. 시대의 흐름에 따라 몇 가지 추가해야 할 요소가 있다. 바로 재미와 스토리텔링이다.”

 

책에서는 이름 짓기의 네 가지 키워드로 재미(Fun), 독특함(Unique), 이야기(Storytelling), 본질(Essence) 을 꼽는다. 재미있고, 독특하며, 이야기와 본질이 담겨 있는 이름이어야 한다는 것이다. 이를 위해 이름을 짓기 전에는 먼저 해당 사물이나 개념의 본질적인 가치를 파악해야 하며, 여기서 새로움과 창의성을 뽑아내야 한다.

 

그러나 대부분 골프장이 코스, 홀 이름을 하나의 공식처럼 비슷하게 짓는다.

 

방위에 따라 동코스, 서코스, 남코스로 이름 붙이는 것이 가장 대표적이다. 진행 방향에 따라 인코스, 아웃코스로 나뉘기도 한다. 지형적 특징에 따라 호수나 물가가 있으면 레이크코스, 절벽이 많으면 밸리코스, 나무가 많고 산악형의 특징이 두드러지면 마운틴코스로 이름 짓기도 한다.

 

주요 수종에 따른 파인코스, 오크코스 등도 있다. 홀 이름 또한 1번홀, 2번홀과 같이 번호를 매기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들 이름은 골퍼에게 친숙하고 직관적이라는 장점이 있지만, 이름을 통해 새로운 이야기와 세계관을 확장하기에는 무리가 있다.

 

 

◆ 이름 짓기는 골퍼를 향한 관심과 정성

 

작명에 진심인 골프장도 물론 많다. 특히 많은 골프장이 지역의 역사와 상징을 코스와 홀 이름에 담는다.

 

천년고도 경주의 보문관광단지에 자리한 경주신라컨트리클럽은 코스 이름을 ‘천마’와 ‘화랑’으로 지었다.

 

경기도 여주시에 있는 소피아그린컨트리클럽도 배움과 나눔을 중시하는 한국교직원공제회의 골프장답게 코스와 홀 이름에 귀한 메시지를 담았다. 코스는 세종코스, 여강코스, 황학코스로 나뉜다. 세종코스는 여주 영릉(英陵)에 잠든 세종대왕의 이름을, 여강은 인접한 남한강의 옛 이름을, 황학은 여주의 옛 선비들이 풍류를 즐기던 명소의 이름을 땄다.

 

홀 이름도 코스 이름과 호응을 이룬다. 세종코스는 한글 창제의 뜻을 기려 9개 홀을 누리, 다솜, 아람, 한울 등 순우리말로 이름 붙였다. 여강코스의 홀은 여주의 역사적인 명소에서, 황학코스의 홀은 옛 선인들의 이름에서 따왔다. 코스를 한 바퀴 도는 것만으로도 우리 문화와 지역의 역사를 익히는 셈이다.

 

‘신의 축복이 있는 신성한 장소’를 뜻하는 이름의 웰링턴(Wellington)컨트리클럽에서는 상상의 나래를 펼칠 수 있다. 웰링턴은 3개 코스 이름을 유럽 신화 속 불멸의 신수(神獸)에서 따왔다. 그리핀(Griffin)은 사자의 몸과 독수리의 머리를 가진 상상의 동물, 와이번(Wyvern)은 불을 내뿜는 수호자 공룡, 피닉스(Phoenix) 는 죽음에서 살아나 희망을 주는 영원불멸의 불새다. 이러한 골프장 이름에서 사람들은 코스의 특징과 골프장이 의도한 바를 유추하고 자신만의 이야기를 창조하며 또 다른 재미를 느낄 수 있다.

 

홀 이름에 정성을 다한 골프장이라면 이포컨트리클럽을 빼놓을 수 없다.

 

18홀 하나하나마다 홀의 개성에 따라 사자성어(四字成語) 이름이 붙었다. 청운입지(靑雲立志), 화조월석(花朝月夕), 외유내강(外柔內剛), 주마가편(走馬加鞭), 인자무적(仁者無敵), 열녀춘향(烈女春香), 다정다감(多情多感), 칠전팔기(七顚八起), 새옹지마(塞翁之馬), 권토중래(捲土重來), 설상가상(雪上加霜), 건곤일척(乾坤一擲), 좌고우면(左顧右眄), 양자택일(兩者擇一), 조강지처(槽糠之妻), 청산별곡(靑山別曲) 등이 그것이다.

 

가장 특별한 이름은 17번홀 에서 나온다. 명칭이 ‘아이고야!(啞耳苦惹!)’다. 그만큼 고난도라는 뜻이다. 마지막 산정무한(山情無限)까지 홀 이름마다 골퍼에게 전하는 응원의 메시지와 위트가 함께 담겨 있다.


다시 말해 골프장 속 이름들은 골프장에 대한 임직원의 관심이자 골퍼에 대한 정성과 배려다. 작은 재미라도 더 주고 싶은 진심이다. 오래, 자주 이름 불리는 골프장이 더 많아지길 바란다.

배너
배너
배너

관련기사

34건의 관련기사 더보기


[내궁내정] 한 국가의 문화·역사·민족성을 한글자?… 한국 情, 미국 法, 영국 格, 독일 哲, 프랑스 맛, 이탈리아 멋, 중국 中, 일본 和, 인도 敬

[뉴스스페이스=이종화 기자] <편집자주> 유튜브, 인스타 등에서 활동하는 인플루언서들이 '협찬을 받지 않았다', '광고가 아니다'라는 사실을 보이기 위해 "내 돈 주고 내가 샀다"라는 뜻의 '내돈내산'이라는 말이 생겼다. 비슷한 말로 "내가 궁금해서 결국 내가 정리했다"는 의미의 '내궁내정'이라고 이 기획코너를 명명한다. 우리 일상속에서 자주 접하는 소소한 얘기거리, 궁금증, 호기심, 용어 등에 대해 정리해보는 코너를 기획했다. 한국, 미국, 영국, 독일, 프랑스, 이탈리아 등 주요 국가를 한글자(또는 짧은 단어)로 문화·역사·민족성의 핵심을 표현하는 것은 각국의 정체성과 가치를 직관적이고 흥미롭게 전달하는 방법이다. 이들 국가에 대해 수집한 문화적 특징을 바탕으로 각각을 상징하는 단어를 선정하고, 그 의미와 함의를 분석해보았다. 한국 : 정 (情) – 사람과 관계를 중시하는 정(情)의 문화 한국 문화의 핵심은 ‘정’으로 표현할 수 있다. 전통적으로 유교문화 속에서 가족과 사회의 관계를 매우 중시하고, 사람 사이에 흐르는 따뜻한 정(情)의 진액이 사회를 이어주는 근간이다. 충성과 예, 가족주의가 근본을 이루며, 현대에 와서도 K-팝·드라마·한류로

[공간혁신] 47년 된 경로당의 변신…강남구, ‘AI 피트니스’ 갖춘 선정시니어센터 개관

[뉴스스페이스=이종화 기자] 어르신들의 대표 복합문화시설인 경로당이 AI 기반의 헬스기구를 갖춘 스마트피트니스센터로 변신했다. 강남구(구청장 조성명)가 10월 31일 어르신복합문화시설 ‘선정시니어센터’ 개관식을 열고 본격적인 운영에 들어갔다. 이 센터는 1978년에 건립된 선정경로당을 철거한 후 신축한 건물로, 어르신 복지 수요에 맞춘 스마트한 복합문화공간으로 재탄생했다. 이번에 문을 연 선정시니어센터는 지하 1층~지상 5층, 연면적 605㎡ 규모로 ▲지하 1층 다목적실 ▲2층 스마트피트니스센터 ▲3층 사무실 및 할아버지방 ▲4층 할머니방 ▲5층 라운지로 구성돼 있다. 특히 2층에 조성된 ‘스마트피트니스센터’는 AI 기반 운동기구를 도입한 특화 공간으로, 전담 트레이너의 맞춤형 지도를 통해 고령자의 체력 증진과 건강 관리를 지원한다. 스마트피트니스센터는 강남구가 ㈜론픽과의 ESG 업무협약을 통해 AI 운동기구 3대를 지원받아 조성했다. 이는 지난해 논현노인복지관에 이어 두 번째로 조성된 AI 헬스 특화 시설이다. 이 기기는 이용자의 체력 수준에 따라 자동으로 운동 강도를 조절해 안전하고 효과적인 운동이 가능해 어르신 건강 증진에 실질적인 도움을 줄 것으로 기

[공간혁신] 한강버스, 11월 1일 운항 재개…내년 3월부터 출퇴근 급행노선 신설 및 운항횟수 두배로 확대

[뉴스스페이스=김혜주 기자] 서울시가 11월 1일 오전 9시부터 한강버스의 운항을 재개한다. 한강버스는 마곡에서 잠실까지 연결되는 7개 주요 선착장(마곡, 망원, 여의도, 압구정, 옥수, 뚝섬, 잠실)을 하루 16회, 1시간 30분 간격으로 운항한다. 운항 시간은 오전 9시부터 오후 9시 37분(도착 기준)까지이며, 주중과 주말 모두 동일한 일정으로 운영된다.​ 서울시는 약 한 달간 선박 안전성과 운항 품질 강화를 위해 300회 이상의 무승객 시범 운항을 실시했다. 선박의 접안, 교각 통과 등 실제 운항 환경과 동일한 조건에서 반복 훈련을 통해 안전성을 높였으며, 운항 중 발생한 3건의 경미한 사고는 모두 조치 완료했다. 예비선 1척을 상시 대기시켜 기계 결함으로 인한 결항도 원천 차단한다는 방침이다.​ 요금은 기존과 동일하게 성인 편도 3,000원, 청소년 1,800원, 어린이 1,100원이며, 기후동행카드 ‘한강버스 권종’을 이용하면 5,000원 추가 충전으로 무제한 탑승이 가능하다. 실시간 운항 정보 및 결항 여부는 네이버지도, 카카오맵 등 주요 모빌리티 앱에서 확인할 수 있다.​ 내년 2026년 3월부터는 운항 횟수를 하루 32회로 두 배 확대할 계획

[공간혁신] 젠슨 황·이재용·정의선 ‘깐부치킨’ 성지순례 '등극'…부자·성공 氣받기

[뉴스스페이스=최동현 기자] 2025년 10월 30일 서울 강남구 삼성동의 ‘깐부치킨’에서 열린 젠슨 황(엔비디아 CEO), 이재용(삼성전자 회장), 정의선(현대차그룹 회장)의 ‘치맥(치킨+맥주) 회동’이 국내외 언론과 경제계에서 큰 관심을 불러일으켰다. 이 회동은 단순한 친목 모임을 넘어 첨단 AI 반도체 및 미래 모빌리티 협력을 위한 3대 기업 총수들의 전략적 소통의 장으로, 한국 치맥 문화를 글로벌 무대에 알리고 경제 활성화에도 기여하는 상징적 사건이 됐다.​ 치맥 회동 이후 ‘깐부치킨’은 회동 이튿날부터 ‘성지순례’ 현장과도 같이 변모했다. 오후 3시 문을 열자마자 10명이 넘는 손님이 몰려들면서 치맥 회동 자리 경쟁이 벌어질 정도였다. 66세 김영숙 씨는 “젠슨 황이 앉았던 자리에 앉아 기운을 받으려 3시간 넘게 기다렸다”고 밝혔으며, 방문객들은 포스터 앞에서 인증샷을 찍는 등 축제 분위기를 자아냈다. 가게 측은 이 같은 방문객 급증을 예상해 청소 및 물량 확보에 만전을 기했다.​ 회동 당일 깐부치킨에서 테이블 7개를 예약해 3마리의 치킨과 치즈스틱 등을 포함해 270만원 상당의 식사를 하는 모습이 포착됐다. 계산은 1차는 이재용 회장이, 2차는 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