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10.03 (금)

  • 맑음동두천 25.8℃
  • 구름조금강릉 27.3℃
  • 맑음서울 26.6℃
  • 구름많음대전 25.0℃
  • 흐림대구 22.6℃
  • 흐림울산 23.8℃
  • 구름많음광주 24.8℃
  • 흐림부산 27.2℃
  • 구름조금고창 25.2℃
  • 제주 24.5℃
  • 맑음강화 25.7℃
  • 구름많음보은 24.4℃
  • 구름많음금산 25.9℃
  • 구름많음강진군 26.3℃
  • 흐림경주시 22.1℃
  • 구름많음거제 25.3℃
기상청 제공

빅테크

[지구칼럼] 왜 여성이 남성보다 더 오래 사는지 과학이 밝혔다…"염색체와 번식전략이 규명한 남녀 수명격차"

 

[뉴스스페이스=이종화 기자] 여성은 문화와 역사적 시기를 막론하고 다양한 동물 종에서 남성보다 더 오래 사는 현상이 관찰되어 왔으며, 이에 대한 생물학적 이유를 밝힌 연구결과가 나왔다.

 

2025년 10월 2일 Science Advances에 발표된 이 획기적인 연구는 진화 인류학자인 요한나 스터크(Johanna Stärk)가 이끄는 막스 플랑크 진화 인류학 연구소(Max Planck Institute for Evolutionary Anthropology)와 일본, 호주 등의 연구진이  1176종 이상의 포유류와 조류를 분석해 이뤄졌다.

 

막스 플랑크 진화 인류학 연구소 발표자료, newscientist, phys.org, popular science에 따르면, 이번 연구들은 성별 수명 차이를 단순한 환경 요인이 아닌 진화생물학적 염색체 구조와 번식 전략 차원에서 설명한다는 점을 명확히 밝혀냈다.

 

이번 연구들에 따르면, 포유류에서 암컷은 두 개의 X 염색체(동형접합)를 지니는 반면, 수컷은 X와 Y 염색체(이형접합)를 가지며, 이로 인해 수컷이 X 염색체의 유전적 결함에 더 취약해 평균 수명이 약 12~20% 짧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이형접합 성 가설(heterogametic sex hypothesis)"로, X 염색체가 한 개뿐인 수컷은 유해 돌연변이나 손상을 상쇄할 수 있는 여분의 X 염색체가 없어 손상 회복이 덜 효과적이기 때문이다.

 

반면 조류는 성 결정 체계가 도치되어 암컷이 ZW형(이형접합), 수컷이 ZZ형(동형접합)으로 수컷이 다소 더 오래 사는 경향이 관찰되어, 성염색체 구조와 수명 간 상관관계를 더욱 확실히 뒷받침한다. 다만 모든 종에서 이 패턴이 완벽한 것은 아니며, 맹금류 등 일부에서는 암컷이 더 크고 오래 사는 예외가 존재해 염색체 외 요인도 관여한다는 점이 확인됐다.

 

또한, 번식 전략과 사회적 행동도 수명에 지대한 영향을 준다. 다처제 포유류에서는 수컷 간의 치열한 경쟁과 육체적 부담으로 인해 수명이 단축되는 반면, 일부 조류 종에서는 일부일처제가 완화된 경쟁 구조와 높은 부성 투자로 수컷이 더 오래 사는 경향이 확인됐다.

 

번식과 생존의 상충관계(trade-off)에서 번식 성공에 높은 에너지를 투입할수록 신체적 부담과 위험이 늘어나 수명이 짧아지는 것으로 설명된다.

 

 

인간 사회에서의 통계도 이에 부합하여, 전 세계적으로 여성의 평균 기대수명이 남성보다 4~6년 더 높으며, 통계에 따르면 여성은 90세를 넘어서는 반면 남성은 86세대에 머무르고 있다. 남성 수명 짧음의 원인으로는 유전적 요인뿐 아니라 생활습관, 심혈관 질환, 암 발병률 차이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하지만, 근본적인 유전적·생물학적 메커니즘이 지속적으로 성별 수명 격차를 유지하고 있다고 학계는 분석한다.

 

이번 연구들은 특히 생식세포가 수명에 미치는 영향에도 주목했다. 일본 연구진이 어류를 대상으로 한 실험에서, 암컷의 생식세포를 제거하자 수명이 단축되었고 수컷은 오히려 늘어났는데, 이는 생식세포가 각 성별의 신체적 대사와 노화 속도에 영향을 끼침을 시사한다.

 

이처럼 진화학적 염색체 구조, 생식 전략, 그리고 번식에 따르는 생리적·행동적 차이가 여성의 상대적인 장수 우위를 설명하며, 인간에 적용 시에도 성별 맞춤형 노화 방지 및 의료 전략 개발에 중요한 기초가 될 전망이다. 의학과 생명과학은 이번 연구를 바탕으로 남녀 간 수명 격차 원인을 보다 정밀하게 규명하고 성별 특화된 건강 증진법을 모색하고 있다.

배너
배너
배너

관련기사

34건의 관련기사 더보기


[빅테크칼럼] 엔비디아 젠슨 황 아들 스펜서 황, "휴머노이드 로봇 미래는 두 발 걷기 아닌 양손 조작”

[뉴스스페이스=김정영 기자] 세계 최대 AI 기업 엔비디아가 휴머노이드 로봇 분야를 차세대 핵심 성장축으로 집중 육성하는 가운데, 젠슨 황 CEO의 장남 스펜서 황이 10월 1일 서울 코엑스에서 열린 ‘휴머노이드 콘퍼런스 2025’ 산업 패널 토론에 참여해 휴머노이드 로봇 산업 발전 방향과 국내외 기술 협력 전망을 제시했다. 스펜서 황은 2022년 엔비디아에 입사해 로보틱스 부문 프로젝트 리드를 맡고 있으며, 이번 방한에는 여동생 매디슨 황도 동행해 삼성전자 R&D캠퍼스와 수원 생산기술연구소를 방문했다. ZDNet Korea, CNBC, Markets and Markets, IFR에 따르면, 스펜서 황은 토론에서 “휴머노이드 로봇 발전의 핵심은 두 발 보행이 아닌 양손 조작 능력에 있다”고 강조했다. 그는 산업 현장과 물류 창고에서 피킹 작업, 다단계 조립과 같은 손을 이용한 작업이 휴머노이드 로봇 상용화의 가장 현실적 출발점이라며 “현재는 범용성을 위해 데이터를 축적하는 중요한 단계”라고 밝혔다. 실제 물류·산업현장 작업 데이터가 로봇 학습과 성능 향상에 필수적이라는 것이다. 로봇이 반복적이고 위험하거나 무거운 작업을 대신하며 현장 근로자들로부터 긍

[빅테크칼럼] 구글, AI 챗봇 ‘제미나이 포 홈’ 탑재 스마트홈 공개…아마존 ‘알렉사+’와 경쟁

[뉴스스페이스=김정영 기자] 구글이 2025년 10월 1일(현지시간) 스마트홈 브랜드 네스트(Nest)의 신제품을 공개하며, 생성형 인공지능(AI) ‘제미나이 포 홈(Gemini for Home)’을 탑재한 스마트홈 기기 대중화에 나섰다. 이에 앞서 하루 전 공개된 아마존의 ‘알렉사+’ 탑재 신형 홈 기기들과의 경쟁이 치열해질 전망이다. 구글 2025 공식 블로그, 토큰포스트, 카운터포인트리서치에 따르면, 이번에 공개된 구글 신제품은 2K 해상도의 네스트 캠 인도어·아웃도어 카메라, 신형 네스트 도어벨, 360도 음향을 지원하는 소형 홈 스피커 등이다. 특히 ‘제미나이 포 홈’ AI 플랫폼은 기존의 구글 어시스턴트를 완전히 대체하며, 사용자가 대화하듯 자연스럽게 명령을 내릴 수 있도록 하는 점이 핵심이다. 구글은 향후 지난 10년 간 판매된 네스트 디스플레이, 스피커, 카메라, 도어벨 등 모든 스마트홈 기기에도 ‘제미나이 포 홈’을 적용할 계획이다. ‘제미나이 포 홈’은 복잡한 대화 문맥을 이해하고 다단계 명령 수행이 가능하며, 사용자 반복 없이 한결 자연스러운 음성 대화를 통해 스마트홈 전반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스피커에 있는 재료를 알려주면 AI가 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