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7.31 (목)

  • 구름많음동두천 31.2℃
  • 구름많음강릉 30.1℃
  • 구름많음서울 33.4℃
  • 구름조금대전 33.1℃
  • 구름조금대구 31.8℃
  • 구름조금울산 31.3℃
  • 구름조금광주 31.5℃
  • 맑음부산 31.8℃
  • 맑음고창 33.2℃
  • 구름많음제주 30.4℃
  • 구름많음강화 30.5℃
  • 맑음보은 30.3℃
  • 맑음금산 31.1℃
  • 맑음강진군 31.7℃
  • 구름조금경주시 32.5℃
  • 맑음거제 29.8℃
기상청 제공

빅테크

유전자 치료제 '엘레비디스' 세 번째 사망에 FDA 조사…“환자 안전 경고등”에 사렙타 '직격탄'

 

[뉴스스페이스=김혜주 기자] 미국 식품의약국(FDA)이 브라질에서 듀센 근이영양증 치료용 유전자 치료제 엘레비디스(Elevidys)를 투여받은 8세 소년의 사망을 공식 조사하며, 업계 전반에 충격이 확산되고 있다.

 

FDA 공식 발표와 로이터, 뉴럴로지라이브 등의 보도에 따르면, 이번 사건은 올해 초 10대 환자 2명이 같은 치료제로 급성 간부전으로 사망한 데 이은 세 번째 사례로, 논란의 해결책이 쉽게 보이지 않는 상황이다.

 

해당 소아 환자는 임상시험에 등록된 대상이 아니었으며, 투여 후 한 달도 채 지나지 않은 지난 6월 7일 사망했다. 마케팅 파트너인 로슈(Roche)는 담당 의사가 유전자 치료와 직접적 연관이 없다고 평가했으나, FDA는 긴급히 유전자 치료의 미국 내 공급을 즉각 중단하도록 요청했다.

 

현재 해당 치료제 출하 중단은 미국 안팎으로 확산됐으며, FDA는 “환자 안전이 무엇보다 중요하다”며 “심각한 안전 신호가 포착된 만큼 임상 및 시판 프로그램을 전면 중단·점검한다”고 강조했다.

 

‘급성 간부전’ 반복…전문가 “플랫폼 전체 위험 가능성” 경고

 

세번째 사망에 앞서 올해 3월과 6월, 임상 및 실사용 환경에서 각각 16세와 14세 듀센 근이영양증 환자가 엘레비디스 투여 뒤 급성 간부전으로 목숨을 잃었다. 뿐만 아니라, 사렙타가 개발 중인 다른 유전자 치료제(SRP-9004) 임상 참가자(51세)도 같은 원인으로 사망하는 등, 동일 회사 유전자치료 플랫폼 전반의 간독성 위험이 부각되고 있다.

 

엑스퍼트 패널들은 “AAV(아데노부속바이러스) 벡터 기반 유전자 치료의 고질적 간 독성이 드러난 최초의 사망 사례”라고 지적했다.

 

해당 치료들은 전 세계 900명 이상이 투여받았으며, 이 중 상업적 환경 및 임상시험에서 760명 이상의 보행 가능(ambulatory) 환자들이 치료받았다. 사망 사례는 모두 보행 능력을 상실한 비(非)보행 환자군에 집중되고 있다.

 

규제 투명성 논란…FDA·기업 모두 ‘공개 지연’ 도마 위


일부 분석가들은 FDA와 사렙타(Sarepta Therapeutics) 모두가 정보 공개 및 조치에 미흡했다고 지적한다. FDA는 6월 발생한 사망 사실을 수주간 인지하고도 조치를 미뤘고, 사렙타 역시 내부 콘퍼런스콜 이전 공식 입장을 내지 않았다. 이 같은 ‘조치 지연’은 월스트리트와 환자 커뮤니티 모두의 신뢰 하락을 가져왔다.

 

특히 미국 외 유럽에서도 사렙타는 또다시 직격탄을 맞았다. EMA(유럽의약품청)는 지난주 엘레비디스에 대한 시판 허가를 공식 거부했다.

 

EMA는 “임상 결과 운동 기능 개선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 않고, 생물학적 변화가 실제 환자 기능 개선에 직접 연결됐다고 보기 어렵다”며 주 타깃을 ‘효능 불충분’에 맞췄다. 반면 FDA의 고민은 안전성 위주, 각자의 규제기준이 엇갈리는 양상이다.

 

시장 충격…주가 90% 폭락·산업 신뢰도 ‘경고등’

 

연속된 악재에 사렙타 주가는 2025년 들어 88% 하락하며 10년 최저치로 폭락했다. 회사는 구조조정과 제품 전면 점검 등 수습책을 급히 발표했으나, EMA의 허가 거절과 FDA의 공급 중단 요구에 따라 향후 존속 전략에 위기가 심화됐다.

 

엘레비디스는 미국에만 약 1만5000명의 듀센 근이영양증 환자가 있는 가운데, 현재까지 임상 및 시판에서 900명 이상이 투여받았다. 2024년 해당 치료제 매출은 8억2100만달러로 전체 매출의 절반 이상을 차지했다. 치료제 일시 중단은 환자와 보호자, 그리고 시장에 막대한 충격을 남겼다.

 

“이해관계자 커뮤니티 모두에게 심각한 우려”…환자·가족 목소리 확산


환자 단체 PPMD(Parent Project Muscular Dystrophy)는 “이런 연이은 사망보고는 매우 충격적이며, 회사와 규제 당국 모두 명확한 설명과 투명한 조사를 내놓아야 한다”고 성명을 냈다. 한편 일부 임상 전문가들은 “특정 유전자 돌연변이 보유 환자나 고위험군에 대한 맞춤형 투여 기준, 면역 억제 전략 강화 등 다각도의 안전망 재정비”를 촉구했다.

 

듀센 근이영양증 유전자 치료 최초 승인의 이면에 반복된 사망과 규제 신뢰 위기, 산업 신뢰도 추락이라는 혹독한 시험대가 펼쳐졌다. 향후 FDA 및 글로벌 규제기관의 대응, 신속하고 투명한 정보공개, 과학적 근거 강화가 무엇보다 중요한 시점이다.

배너
배너
배너

관련기사

4건의 관련기사 더보기


[빅테크칼럼] MIT "양자역학에 관한 아인슈타인 예측 틀렸다" 확인…아인슈타인-보어 ‘빛의 이중성’ 논란, 100년 만에 마침표

[뉴스스페이스=이종화 기자] 미국 MIT(Massachusetts Institute of Technology) 물리학자들은 알베르트 아인슈타인과 닐스 보어 사이에서 거의 한 세기 동안 이어져 온 빛의 근본적 성질에 관한 논쟁을 해결했으며, 양자역학에 관한 아인슈타인의 예측이 잘못되었음을 확인했다. 2025년 7월, MIT 물리학자들이 발표한 역사적인 연구가 100년 가까이 이어진 ‘빛의 양자 이중성’ 논란에 종지부를 찍었다. 이 연구는 Physical Review Letters에 게재됐다. 또 빛의 파동성과 입자성에 관한 아인슈타인과 보어의 논쟁에 결정적인 해답을 제시했다. 1927년 아인슈타인은 “광자가 슬릿을 통과하며 나뭇가지를 스치는 새처럼 미세한 흔적을 남길 수 있다면, 우리는 빛의 입자성과 파동성을 동시에 측정할 수 있을 것”이라고 주장했다. 그러나 닐스 보어는 하이젠베르크 불확정성 원리에 근거해 “광자의 경로를 측정하려는 모든 시도는 파동 간섭 무늬 자체를 파괴한다”고 반박했다. MIT 연구진의 실험은 보어의 주장이 옳았음을 현대 양자역학의 가장 정밀한 방식으로 증명했다. MIT는 1만개 이상의 초저온 원자를(섭씨 -273.15도 바로 위인 마이크

[빅테크칼럼] 美 CEO "정리해고를 AI 성공의 증거·AI가 해고 합리화 명분"…도덕적 부담에서 전략적 이점으로

[뉴스스페이스=이종화 기자] AI가 촉발한 대규모 정리해고가 ‘위기 신호’에서 ‘경영 성과’로 탈바꿈하며 2025년 미국 기업 고용문화에 새로운 바람이 불고 있다. CEO들이 인력 감축을 더 이상 조직의 위기 신호로 숨기지 않고, 오히려 AI 성공과 효율화의 지표로 짜임새 있게 포장해 주주와 투자자들에게 공개적으로 과시하는 새로운 트렌드가 자리 잡고 있다. 월스트리트저널과 CNBC 등 복수의 외신에 따르면, 미국 대기업 경영진들은 정기 실적 발표에서 “AI 투자에 따른 생산성 혁신”과 “고효율 경영 체계”를 강조하며, 전례 없는 속도의 인력 감축 데이터를 동반해 이를 ‘전략적 성취’로 내세우고 있다. 웰스파고·뱅크오브아메리카·버라이즌…“효율 우선, headcount는 줄일수록 좋다” 웰스파고(CEO 찰리 샤프)는 최근 5년 만에 직원 수를 23% 줄였고, 20분기 연속 감축 행진을 이어갔다. 2024년 6월 기준 직원은 22만2544명으로, 2023년 대비 약 3300명, 2019년 이후로는 약 6만7000명 감축됐다. 웰스파고 샤프 CEO는 “자연 감원을 ‘우리의 친구로’ 삼아, AI 기반 솔루션 도입으로 인건비를 대폭 절감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뱅크 오

[핫픽] 이재용과 머스크의 궁합 조사해보니 '92%'…테슬라發 23조원 잭팟의 숨은 의미

[뉴스스페이스=이종화 기자] 7월 28일 삼성전자와 테슬라 간에 성사된 165억 달러(약 22조8000억원) 규모의 파운드리(반도체 위탁생산) 수주 계약이 글로벌 산업계를 뒤흔들고 있다. 일론 머스크 테슬라 CEO가 “이 금액은 최소치에 불과하며, 실 생산량은 몇 배 더 늘어날 것”이라고 X(구 트위터)를 통해 밝힌 이후, 이번 계약이 갖는 산업적 파급력과 전략적 의미에 대해 국내외 매체와 업계의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이처럼 뜨거운 반향 속에, 현장에는 이번 협업을 위트 있게 풍자한 한 장의 이미지가 온라인상에서 화제를 모았다. 해당 이미지는 삼성전자와 머스크(테슬라)를 ‘이름 궁합 테스트’ 형식으로 92%의 높은 궁합률을 기록하며, ‘머스크 님께 일촌을 신청합니다’라는 메시지와 귀여운 그래픽으로 디자인됐다. 이러한 이미지는 실생활의 연애, 우정처럼 기업간 협력도 궁합이 중요하다는 시대적 감각을 익살스럽게 보여주고 있다. 화제의 이미지는 본래 연인·친구 궁합 테스트로 활용되는 ‘이름 궁합’ 방식을 변형했지만, 실제 산업 협업에서 '궁합 지수'가 현실적 전략요소로 부각된 사례는 적잖다. 포브스, CNBC 등의 주요 외신들도 2024년 6월 “테슬라와 삼성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