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11.11 (화)

  • 맑음동두천 2.2℃
  • 구름많음강릉 9.3℃
  • 구름많음서울 4.6℃
  • 구름많음대전 3.6℃
  • 구름많음대구 8.2℃
  • 구름많음울산 6.7℃
  • 구름많음광주 6.2℃
  • 맑음부산 9.7℃
  • 구름많음고창 4.9℃
  • 맑음제주 10.5℃
  • 맑음강화 2.4℃
  • 구름많음보은 1.2℃
  • 구름많음금산 1.2℃
  • 구름조금강진군 6.6℃
  • 구름많음경주시 8.1℃
  • 구름조금거제 6.8℃
기상청 제공

빅테크

[빅테크칼럼] 美 바이오기업, 비밀리에 '유전자 편집 아기' 연구...오픈AI·코인베이스 투자 '논란'

 

[뉴스스페이스=윤슬 기자] 미국 실리콘밸리의 바이오테크 스타트업 ‘프리벤티브(Preventive)’가 금지된 인간 배아 유전자 편집을 비밀리에 시도 중이며, 투자자에는 오픈AI CEO 샘 올트먼과 코인베이스 CEO 브라이언 암스트롱 등이 포함된 것으로 나타났다. 

 

Wall Street Journal, NPR, Washington Post, Genetic Literacy Project에 따르면, 이 기업은 유전 질환을 가진 한 부부의 협력 의향까지 확인했으나, CEO 루커스 해링턴은 배아 편집 임상 실험 진행 사실은 부인했다.

 

프리벤티브는 안전성이 입증되지 않으면 임상 단계 진입을 하지 않겠다고 공식 입장을 밝혔다. 미국 내에서는 배아 단계 유전자 편집이 법적으로 금지되어 있지만, 프리벤티브는 규제가 완화된 아랍에미리트(UAE) 등지에서 실험을 추진 중인 정황도 공개되었다.​

 

현재 허용된 유전자 편집은 주로 출생 이후 치료 목적이며, 정자·난자 또는 배아 단계 편집은 윤리적·과학적 문제로 전 세계적 연구 유예 요청이 나오는 상황이다. 2018년 중국 과학자 허젠쿠이의 인간면역결핍바이러스(HIV) 면역 아기 편집 사건은 글로벌 충격을 줬으며, 해당 과학자는 징역형을 선고받았다. 이후 세계 각국은 배아 유전자 편집을 엄격히 규제하고 있다.​

 

한편, ‘오키드(Orchid)’, ‘지노믹 프리딕션(Genomic Prediction)’, ‘헤러사이트(Herrasight)’ 등 유전자 스크리닝 기업들은 이미 IVF 배아에서 DNA를 추출해 통계적 알고리즘으로 아이의 질병과 지능, 신장 등 다양한 특성을 예측하는 기술을 상업적으로 운용 중이다.

 

이들 역시 실리콘밸리 유명 벤처 투자자들로부터 후원을 받고 있으며, 코인베이스 암스트롱 CEO는 미래 IVF 클리닉이 ‘가타카’의 디스토피아적 기술 집합처럼 운영될 것이라 전망했다. 이 기술들은 질병 예방을 넘어 유전자 ‘개량’을 목표로 하면서 우생학 논란과 인간 진화의 사회적 통제 문제를 불러일으키고 있다.​

 

대표적 사례로, 일론 머스크는 뉴럴링크 전 임원과 사이에서 태어난 자녀의 배아에 대해 오키드의 유전자 스크리닝 기술을 활용한 것으로 알려졌다. 전문가들은 테크 업계의 자기 통제 성향에서 비롯된 선택이라고 분석하며, 인간의 예측 불가능성을 경고한다. 유전자 편집 기술이 실험실 단계를 넘어 민간기업 주도 인간 실험 시대로 접어들 경우, 사회적·윤리적 제도와 공적 논의가 부재한 가운데 우생학의 망령이 되살아날 우려가 크다는 점도 지적된다.​

 

미국에서는 배아 유전자 편집은 법률로 금지돼 있지만, 개인 자금으로 비임상 연구는 가능하다. FDA 승인 없이는 상용화 불가하며, 연구윤리에 관한 국제적 가이드라인은 여전히 실험적 연구를 제한하는 입장이다. 아랍에미리트는 2023년 ‘인간 유전체 이용 규제법’을 제정해 유전자 연구와 데이터 보호에 관한 법적 틀을 마련했지만, 배아 편집 연구는 일부 허용하는 점에서 실리콘밸리 기업들의 실험 유치지로 거론된다.​

배너
배너
배너

관련기사

44건의 관련기사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