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10.06 (월)

  • 맑음동두천 25.8℃
  • 구름조금강릉 27.3℃
  • 맑음서울 26.6℃
  • 구름많음대전 25.0℃
  • 흐림대구 22.6℃
  • 흐림울산 23.8℃
  • 구름많음광주 24.8℃
  • 흐림부산 27.2℃
  • 구름조금고창 25.2℃
  • 제주 24.5℃
  • 맑음강화 25.7℃
  • 구름많음보은 24.4℃
  • 구름많음금산 25.9℃
  • 구름많음강진군 26.3℃
  • 흐림경주시 22.1℃
  • 구름많음거제 25.3℃
기상청 제공

빅테크

캐나다·일본도 中 틱톡 사용금지…美·EU 이어 확산추세

틱톡 방송 이미지 캡처 [Jtbc]

 

[뉴스스페이스=김정영 기자] 중국 동영상 공유 플랫폼인 틱톡 사용을 세계 각국 정부가 잇달아 금지하고 있다. 

 

현재 틱톡은 전 세계적으로 30억명이 다운로드했을 정도로 인기 있다. 하지만 '틱톡이 사용자 정보를 중국 정부에 넘기고 있다'는 안보상의 우려가 꾸준히 제기돼왔다.

 

미국 CNN, 캐나다 내셔널포스트는 27일(현지시간) 연방 정부가 공무원들에게 내려보낸 공문을 인용해 28일부터 캐나다 정부에 등록된 모든 기기에서 틱톡 사용을 금지하기로 했다고 보도했다.

 

이 매체는 "틱톡의 데이터 수집 방식이 이용자들을 사이버 공격에 취약하게 만들 수 있다는 내부 검토 결과에 따라 정부 최고정보책임자가 정보 보안을 위해 내린 결정에 따른 것"이라고 설명했다.

 

틱톡은 이에 대해 "캐나다 정부의 이 같은 결정에 실망스럽다"며 "캐나다 정부는 이에 대한 논의를 위해 한 번도 연락해 온 적이 없다"고 밝혔다.

 

일본 정부 역시 이미 정부 공용 스마트폰에서 틱톡 사용을 금지한 것으로 나타났다.

 

일본 정부 대변인인 마쓰노 히로카즈 관방장관은 27일 기자회견에서  "정부 직원이 사용하는 스마트폰 등 공용 단말 중에서 기밀정보를 취급하는 기기를 대상으로 틱톡 이용을 금지하고 있다"며 "다른 소셜미디어(SNS)의 이용도 금지하고 있다"고 발표했다.

 

이어 "특정 국가를 대상으로 한 것은 아니다"라며 중국을 직접 겨냥한 조치는 아니라는 취지를 덧붙였다.

 

앞서 미국은 연방정부를 비롯해 20여 개 주, 의회, 군에서 그리고 EU 집행위원회도 틱톡을 통해 사용자 정보가 중국 정부에 넘어가고 있다는 우려가 계속되자 틱톡 사용을 금지했다.

 

심지어 미국 상·하원에서 미국 내 틱톡 사용을 전면 금지하는 법안이 동시에 발의되기도 했다.

 

이같은 결정에 대해 틱톡 측은 "플랫폼에 대한 잘못된 오해에 근거한 것"이라며 유감스럽다는 입장을 밝혔다.

 

배너
배너
배너

관련기사

93건의 관련기사 더보기


[빅테크칼럼] 오픈AI 동영상 생성앱 ‘소라’, 저작권 논란 속 ‘저작권자 통제 강화’ 긴급 선언

[뉴스스페이스=김정영 기자] 오픈AI가 지난 9월 30일 출시한 AI 동영상 생성·공유 앱 ‘소라(Sora)’가 유명 애니메이션과 게임 캐릭터 등 저작권 보호 대상 콘텐츠를 무단으로 이용해 저작권 소송 우려가 확산되고 있다. CNBC, WSJ, 로이터 등 주요 미국 매체에 따르면 ‘소라’ 이용자들은 ‘스펀지밥’, ‘사우스파크’, ‘슈퍼배드’, ‘포켓몬스터’ 등 인기 캐릭터를 포함한 AI 생성 동영상을 활발히 공유하고 있다. 특히 한 영상에는 오픈AI 최고경영자(CEO) 샘 올트먼이 포켓몬과 함께 “닌텐도가 우리를 고소하지 않길 바란다”는 대사를 하는 장면도 등장해 논란을 키웠다. 출시 첫 주 동안 iOS 전용 초대장 방식으로만 배포된 ‘소라’는 미국과 캐나다에서 48시간 만에 16만4000건 이상의 다운로드를 기록하며 애플 앱스토어 무료 앱 1위에 올랐다. ‘소라 2.0’으로 불리는 최신 버전은 텍스트 프롬프트로 10초 길이의 영상 제작과 음성 대사, 사운드 효과를 동시에 생성하는 기능을 갖춰 높은 기술력을 입증했다. 그러나 애니메이션·게임 캐릭터 등 지적재산권(IP) 저작물을 명시적 허가 없이 생성할 수 있는 구조가 법적 리스크를 불러왔다. 스탠퍼드대 마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