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7.12 (토)

  • 구름많음동두천 27.7℃
  • 흐림강릉 29.4℃
  • 구름조금서울 29.1℃
  • 구름조금대전 30.2℃
  • 맑음대구 32.3℃
  • 연무울산 29.4℃
  • 맑음광주 31.6℃
  • 구름조금부산 26.6℃
  • 구름조금고창 32.1℃
  • 맑음제주 29.6℃
  • 흐림강화 26.9℃
  • 구름많음보은 28.2℃
  • 구름조금금산 30.3℃
  • 구름많음강진군 30.8℃
  • 구름조금경주시 32.9℃
  • 구름조금거제 28.1℃
기상청 제공

우주·항공

日 첫 민간위성 '카이로스' 5초 만에 폭발…스페이스원, 폭발 원인 조사 착수

일본 민간위성 '카이로스' 첫 도전 실패…발사 직후 폭발

일본 우주 벤처기업 스페이스원이 13일 오전 11시께 혼슈 와카야마(和歌山)현 남부 구시모토초(串本町)의 발사장에서 쏘아올린 민간 개발 로켓 ‘카이로스’ 1호기가 발사 5초후 폭발했다. [엑스 캡처]

 

[뉴스스페이스=이은주 기자] 일본 민간 우주 벤처기업 '스페이스원'의 소형고체연료 로켓 '카이로스' 1호기가 13일 오전 11시 1분쯤 발사됐으나 5초만에 폭발했다.

 

니혼게이자신문(닛케이), 아사히신문 등에 따르면 이날 발사는 캐논 전자와 시미즈 건설 등의 출자를 받아 와카야마현(県) 구시모토정(町) 소재 '스페이스 포트 기이' 로켓 발사장에서 실시됐다.

 

하지만 로켓을 쏘아 올린 직후 '펑'하는 소리와 함께 공중 폭발했고, 이 여파로 발사장 주변 숲에도 화재가 발생했다. 기체 일부가 추락해 불씨가 옮겨붙은 것으로 추정된다. 소방차 6대가 출동해 소방 작업은 11시 10분쯤부터 시작됐다. 발사장 주변에는 기체 잔해가 여기저기 떨어졌다. 인명피해나 부상자는 확인되지 않았다.

 

스페이스 원 측은 문제가 발생한 것으로 보고 폭발 원인 등 세부 조사를 실시 중이다. 이 회사는 성명을 내고 "비행 중단 조치가 취해졌으며 현재 세부 사항을 조사하고 있다"고 밝혔다.

 

스페이스원의 도요다 마사카즈 사장은 기자회견에서  "발사  5초후 2단의 1차분리와 점화가 어렵다고 판단해 '비행정지' 조치했다"고 밝혔다. 로켓이 비행경로를 이탈하면 사고를 피하기 위해 자동으로  폭발하는 '자율비행 안전시스템'을 작동시켰다는 것이다.

 

이어 "이번 결과를 긍정적으로 받아들이고 다음 도전에 임하고 싶다"면서 "가능한 빨리 원인을 규명해 대책을 강구하겠다"고 말했다. 

 

스페이스원은 우주를 위한 로켓 기반 운송 서비스 구축을 목표로 소형 로켓을 개발해 왔다. 그리스 신화 속 '시간의 신'에서 이름을 딴 카이로스는 길이 18m, 무게 약 23톤 규모의 로켓이다. 당초 스페이스원은 카이로스 1호기 발사 약 50분 뒤에 고도 500㎞에서 지구 궤도에 위성을 진입시킬 계획이었다.

 

로켓 발사는 부품 조달이 지연돼 당초 2021년도 발사 예정에서 총 4번 연기됐으며, 지난 9일에는 해상 경계구역에 선박이 진입해 안전상 이유로 다섯 번째 연기가 결정된 바 있다.

 

일본 정부는 이번 발사를 통해 정보수집 위성을 소형 위성으로 대체할 수 있을지 검증하려 했으나 불가능해졌다.

 

일본 우주 벤처기업 스페이스원이 13일 오전 11시께 혼슈 와카야마(和歌山)현 남부 구시모토초(串本町)의 발사장에서 쏘아올린 민간 개발 로켓 ‘카이로스’ 1호기 [엑스 캡처]

 

한편 우주 스타트업 스페이스원은 일본 대기업 캐논전자와 IHI에어로스페이스 등이 출자해 2018년에 설립됐다. 카이로스에 캐논전자는 카이로스 로켓의 구동 시스템 및 전자 제어와 관련된 일부 부품을 공급했고, HI 에어로스페이스는 로켓 엔진 부품을 담당했다.

 

스페이스원은 2030년 이전까지 저비용으로,  위성을 탑재한 로켓을 연간 20회 이상 발사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회사 측은 발사 비용은 명확히 밝히지 않았지만 1회에 약 8억엔(약 71억 원)으로 전해졌다.

 

다시마 가쓰마사 구시모토초 시장은 "기대하고 있었는데 이렇게 될 줄은 몰랐기 때문에 아쉽다"면서 "구시모토초는 로켓과 함께 마을 건설에 임하고 있으며, 가능한 한 빨리 첫 번째 로켓이 발사될 수 있도록 협력하겠다"고 말했다.

 

지금까지 일본에서는 우주항공연구개발기구(JAXA) 등이 로켓 개발을 주도해 왔다. 2019년 홋카이도에서 벤처기업 '인터스텔라테크놀로지'가 민간 로켓 발사에 처음 성공했지만, 인공위성이 탑재된 사례는 카이로스가 처음이었다.

 

배너
배너
배너

관련기사

33건의 관련기사 더보기


스페이스린텍, 시리즈B 투자 유치 성공… '메이드 인 스페이스 신약시대' 가속

[뉴스스페이스=이종화 기자] 우주의약 전문기업 스페이스린텍(Space LiinTech, 대표 윤학순)이 시리즈B 투자를 유치했다고 10일 밝혔다. 구체적인 투자 금액은 비공개다. 이번 투자를 통해 스페이스린텍은 저궤도 기반 우주 바이오 제조 플랫폼의 상용화와 지상 드롭타워 인프라 고도화에 박차를 가할 예정이다. 스페이스린텍은 미세중력 환경을 활용한 차세대 바이오의약품 연구 및 생산 플랫폼을 개발하는 국내 유일의 우주의학 기업이다. 2021년 설립 이후 우주단백질 결정화 등 고부가가치 의약품 제조 분야에서 독보적 기술을 축적해왔으며, 올 8월 말 국내 최초 우주의약 연구 모듈 발사를 앞두고 있다. 이번 투자 라운드에는 기존 투자자인 컴퍼니케이파트너스와 선보엔젤파트너스를 비롯해, 스틱벤처스, 신용보증기금, 디캠프 등 신뢰도 높은 기관이 신규로 참여했다. 회사의 기술력과 성장 잠재력을 인정받아 시리즈B 라운드를 성공적으로 마무리했다. 스페이스린텍의 주요 기술은 미세중력 상태에서 약물 결정이 더욱 균일하고 정밀하게 형성되는 물리적 특성을 활용해, 기존 지상 실험 대비 고순도·고정밀 바이오의약품을 제조할 수 있는 데 있다. 특히 구조 기반 신약 디자인이나 면역항암제

스페이스X, 550조원 시대 연다…비상장 기업 역대 최고가치로 우주산업 '빅뱅' 신호탄

[뉴스스페이스=윤슬 기자] 일론 머스크가 이끄는 우주기업 스페이스X가 사상 최대인 약 4000억달러(한화 약 550조원) 기업가치로 내부자 주식 매각 및 신주 발행을 추진하며 글로벌 금융·우주산업계의 이목을 집중시키고 있다. 이번 거래가 성사될 경우, 스페이스X는 미국 비상장 기업 중 역대 최고 기업가치에 오르게 되며, 상장사와 비교해도 시가총액 20위권 내에 진입하게 된다. 4000억달러 평가, ‘비상장 기업의 왕좌’ 오르나 블룸버그, 야후파이낸스 등 주요 외신에 따르면 스페이스X는 내부자(임직원·초기 투자자) 주식 매각과 함께 신규 자금조달(신주 발행)을 병행하는 방안을 논의 중이다. 이번 거래의 기준 기업가치는 4000억달러로, 2023년 12월(3500억달러) 대비 500억달러가 상승했다. 이 수치는 미국 대표 상장사인 홈디포, 프록터앤드갬블(P&G), 팔란티어 등과 어깨를 나란히 하는 수준이다. 미국 비상장사 중에서는 단연 독보적 1위이며, 글로벌로도 틱톡 모회사 바이트댄스, 오픈AI 등과 경쟁하는 ‘초거대 유니콘’ 반열에 올랐다. 기업가치 급등 배경: 스타링크·스타십의 폭발적 성장 이번 평가액에는 스페이스X의 위성 인터넷 사업부 ‘스타링크’

HD현대인프라코어, K2 전차 엔진 923억원 대규모 수주…자체 기술로 국내 방산 주도권 확보

[뉴스스페이스=조일섭 기자] HD현대인프라코어가 K2 전차용 대규모 엔진 공급계약을 체결하며 독자적인 기술력과 공급 역량을 입증했다. HD현대인프라코어는 최근 방위사업청과 총 923억 원 규모의 K2 전차 엔진(DV27K)에 대한 공급 계약을 체결했다고 8일 밝혔다. 이번 계약에 따라 HD현대인프라코어는 올해부터 2028년까지 방위사업청에 단계적으로 엔진을 납품할 예정이다. 이 엔진은 주요 방산국의 주력 전차 엔진과 동급 출력인 1500마력으로, 56톤(t)급 K2 전차를 최대 70km/h로 주행시킬 수 있다. 또한, 배기가스를 활용해 압축한 공기를 실린더 내부로 밀어 넣는 설계로 출력과 연소효율을 극대화했고, 최적의 구조설계를 통해 진동을 줄이면서 동력을 고루 전달할 수 있어 전장 환경에서 안정적인 성능을 발휘할 수 있다. HD현대인프라코어의 K2 전차 엔진은 기술력과 경제성은 물론, 공급 안정성 측면에서도 경쟁력을 인정받고 있다. 동급의 고속·고출력 엔진을 독자적으로 개발해 실전에 배치한 국가는 미국, 한국, 독일, 프랑스 등 소수에 불과하기 때문에, 전차 엔진 확보에 어려움을 겪는 국가들에게 관심을 끌고 있다. HD현대인프라코어는 10년에 걸친 연구개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