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3.31 (월)

  • 구름조금동두천 12.4℃
기상청 제공

우주·항공

日 첫 민간위성 '카이로스' 5초 만에 폭발…스페이스원, 폭발 원인 조사 착수

일본 민간위성 '카이로스' 첫 도전 실패…발사 직후 폭발

일본 우주 벤처기업 스페이스원이 13일 오전 11시께 혼슈 와카야마(和歌山)현 남부 구시모토초(串本町)의 발사장에서 쏘아올린 민간 개발 로켓 ‘카이로스’ 1호기가 발사 5초후 폭발했다. [엑스 캡처]

 

[뉴스스페이스=이은주 기자] 일본 민간 우주 벤처기업 '스페이스원'의 소형고체연료 로켓 '카이로스' 1호기가 13일 오전 11시 1분쯤 발사됐으나 5초만에 폭발했다.

 

니혼게이자신문(닛케이), 아사히신문 등에 따르면 이날 발사는 캐논 전자와 시미즈 건설 등의 출자를 받아 와카야마현(県) 구시모토정(町) 소재 '스페이스 포트 기이' 로켓 발사장에서 실시됐다.

 

하지만 로켓을 쏘아 올린 직후 '펑'하는 소리와 함께 공중 폭발했고, 이 여파로 발사장 주변 숲에도 화재가 발생했다. 기체 일부가 추락해 불씨가 옮겨붙은 것으로 추정된다. 소방차 6대가 출동해 소방 작업은 11시 10분쯤부터 시작됐다. 발사장 주변에는 기체 잔해가 여기저기 떨어졌다. 인명피해나 부상자는 확인되지 않았다.

 

스페이스 원 측은 문제가 발생한 것으로 보고 폭발 원인 등 세부 조사를 실시 중이다. 이 회사는 성명을 내고 "비행 중단 조치가 취해졌으며 현재 세부 사항을 조사하고 있다"고 밝혔다.

 

스페이스원의 도요다 마사카즈 사장은 기자회견에서  "발사  5초후 2단의 1차분리와 점화가 어렵다고 판단해 '비행정지' 조치했다"고 밝혔다. 로켓이 비행경로를 이탈하면 사고를 피하기 위해 자동으로  폭발하는 '자율비행 안전시스템'을 작동시켰다는 것이다.

 

이어 "이번 결과를 긍정적으로 받아들이고 다음 도전에 임하고 싶다"면서 "가능한 빨리 원인을 규명해 대책을 강구하겠다"고 말했다. 

 

스페이스원은 우주를 위한 로켓 기반 운송 서비스 구축을 목표로 소형 로켓을 개발해 왔다. 그리스 신화 속 '시간의 신'에서 이름을 딴 카이로스는 길이 18m, 무게 약 23톤 규모의 로켓이다. 당초 스페이스원은 카이로스 1호기 발사 약 50분 뒤에 고도 500㎞에서 지구 궤도에 위성을 진입시킬 계획이었다.

 

로켓 발사는 부품 조달이 지연돼 당초 2021년도 발사 예정에서 총 4번 연기됐으며, 지난 9일에는 해상 경계구역에 선박이 진입해 안전상 이유로 다섯 번째 연기가 결정된 바 있다.

 

일본 정부는 이번 발사를 통해 정보수집 위성을 소형 위성으로 대체할 수 있을지 검증하려 했으나 불가능해졌다.

 

일본 우주 벤처기업 스페이스원이 13일 오전 11시께 혼슈 와카야마(和歌山)현 남부 구시모토초(串本町)의 발사장에서 쏘아올린 민간 개발 로켓 ‘카이로스’ 1호기 [엑스 캡처]

 

한편 우주 스타트업 스페이스원은 일본 대기업 캐논전자와 IHI에어로스페이스 등이 출자해 2018년에 설립됐다. 카이로스에 캐논전자는 카이로스 로켓의 구동 시스템 및 전자 제어와 관련된 일부 부품을 공급했고, HI 에어로스페이스는 로켓 엔진 부품을 담당했다.

 

스페이스원은 2030년 이전까지 저비용으로,  위성을 탑재한 로켓을 연간 20회 이상 발사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회사 측은 발사 비용은 명확히 밝히지 않았지만 1회에 약 8억엔(약 71억 원)으로 전해졌다.

 

다시마 가쓰마사 구시모토초 시장은 "기대하고 있었는데 이렇게 될 줄은 몰랐기 때문에 아쉽다"면서 "구시모토초는 로켓과 함께 마을 건설에 임하고 있으며, 가능한 한 빨리 첫 번째 로켓이 발사될 수 있도록 협력하겠다"고 말했다.

 

지금까지 일본에서는 우주항공연구개발기구(JAXA) 등이 로켓 개발을 주도해 왔다. 2019년 홋카이도에서 벤처기업 '인터스텔라테크놀로지'가 민간 로켓 발사에 처음 성공했지만, 인공위성이 탑재된 사례는 카이로스가 처음이었다.

 

배너
배너
배너

관련기사

32건의 관련기사 더보기


"항공기 비상문 열겠다" 승무원 폭행한 미국인, 집행유예…"운항의 안전 저해할 위험성"

[뉴스스페이스=윤슬 기자] 항공기 안에서 승무원들을 폭행하고 소란을 피운 20대 미국인에게 징역형 집행유예가 선고됐다. 인천지법 형사4단독(곽여산 판사)은 재물손괴, 항공보안법 위반 혐의로 기소된 미국인 A(26)씨에게 징역 6개월에 집행유예 1년을 선고했다고 24일 밝혔다. A씨는 지난해 11월 7일 오후 11시 30분께 태국 수완나품공항에서 출발해 인천국제공항 제2여객터미널로 향하던 항공기 안에서 승무원 B씨와 C씨를 폭행한 혐의로 재판에 넘겨졌다. A씨는 항공기 비상구 출입문을 개방할 것처럼 행동한 혐의도 있다. 항공기에서 승무원 전용 좌석에 앉아 있던 A씨에게 승무원 B씨가 “여기는 승무원 좌석이다. 본인 자리로 돌아가시라”며 지정 좌석으로 이동할 것을 요구하자 갑자기 소란을 피운 것으로 파악됐다. 또 A씨는 자신이 난동 부리는 모습을 촬영하는 승무원 C씨의 휴대전화를 빼앗고 바닥에 집어 던졌으며 “만약 내가 문을 연다면 우리 다 죽는 것”이라고 말한 것으로 조사됐다. 실제로 A씨는 비상구 출입문에 설치돼 있는 슬라이드 팽창 레버를 만지려고 한 것으로 드러났다. 재판부는 “이 사건 범행으로 다른 탑승객들에게도 상당한 정도의 불편함과 불안함을 초래한 것

우주팽창 '암흑에너지'가 약해진다…"표준 우주론 수정해야"

[뉴스스페이스=윤슬 기자] 한국과 11개 국가 900명의 연구자가 참여하는 대규모 국제공동 프로젝트 연구 결과, 우주를 팽창시키는 암흑 에너지가 약해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천문연구원이 참여하는 암흑에너지분광장비(DESI) 국제 공동 연구진은 약 1500만개의 은하와 퀘이사를 포함하는 3년간의 데이터를 사용해 암흑에너지의 밀도가 약해졌다고 24일 발표했다. 연구진은 우주 전체 에너지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암흑에너지의 정체를 밝히기 위해 DESI를 이용해 3차원 우주 지도를 만드는 연구를 하고 있다. 미국 애리조나 주 키트피크 산꼭대기에 있는 5000개의 작은 광섬유 로봇들로 구성된 다채널분광기를 장착한 망원경으로 먼 은하에서 나온 빛의 스펙트럼을 정밀하게 관측하고 암흑에너지를 연구한다. 이들이 연구한 암흑에너지는 현재 우주 전체 에너지의 약 70%를 차지하는 요소이다. 우주의 팽창 속도를 더 빠르게 하는 역할을 한다. 우주의 역사를 설명하는 이론인 표준 우주론 모형에 따르면 우주 가속팽창의 원인인 암흑에너지는 일정하게 유지되는 상수로 취급된다. 하지만 이번 결과에서 우주를 팽창시킨 암흑에너지의 밀도가 지난 45억년 동안 10%씩 약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