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11.22 (토)

  • 구름조금동두천 14.2℃
  • 맑음강릉 16.2℃
  • 맑음서울 14.5℃
  • 맑음대전 15.5℃
  • 맑음대구 15.0℃
  • 맑음울산 16.1℃
  • 맑음광주 14.9℃
  • 맑음부산 16.3℃
  • 맑음고창 15.3℃
  • 구름조금제주 16.0℃
  • 맑음강화 13.2℃
  • 맑음보은 14.1℃
  • 맑음금산 14.4℃
  • 맑음강진군 16.0℃
  • 맑음경주시 14.9℃
  • 맑음거제 13.8℃
기상청 제공

빅테크

[빅테크칼럼] "AI 투자 거품, 닷컴 버블 넘어선다" 경고등 켜졌다…AI 거품, 닷컴버블 17배·서브프라임 위기 4배 규모

"3,200억 달러 AI 투자의 그림자: 부채와 과열의 경계"
골드만삭스 CEO ‘12~24개월 내 AI 시장 조정 온다’ 경고

 

[뉴스스페이스=김시민 기자] 현재의 과도한 AI투자 거품이 닷컴 버블 붕괴나 2008년 서브프라임 위기보다도 더 큰 시스템적 위험을 초래할 수 있다고 지적하고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10월 4일(현지시간) 금융 분석가들과 글로벌 기술 리더들이 인공지능(AI) 투자 거품에 강력한 경고음을 내고 있다.

 

MacroStrategy Partnership, 골드만삭스, 런던 셀우드 매니지먼트, TS Lombard, KeyBanc, 스탠퍼드 AI 지수, 로이터, CNBC, Fortune, Investopedia에 따르면, UBS 출신 줄리앙 가란(MacroStrategy Partnership)은 이번 주 연구에서 현재 AI 거품이 닷컴 버블의 17배, 2008년 부동산 서브프라임 위기의 4배 규모라고 분석했다. 이는 19세기 경제학자 크누트 빅셀 이론을 활용해 지난 10년간 저금리가 야기한 자본의 과잉 배분을 평가한 결과다.

 

골드만삭스 데이비드 솔로몬 CEO는 10월 3일(현지시간) 이탈리아 테크 위크에서 12~24개월 내 시장 조정 가능성을 예고하며, 닷컴 버블과 유사한 현상이 나타날 것이라고 경고했다.

 

솔로몬은 “많은 자본이 수익을 내지 못하고 시장에 충격을 줄 것”이라며 "시장 기대가 실제 기술 잠재력을 앞서가고 있다"고 말했다. 글로벌 AI 기업들은 올해 사상 최대 3200억 달러 자본 지출 예산을 투입하며, AI 인프라 확대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2024년의 글로벌 AI 투자액은 2523억 달러로 2014년 대비 13배 증가했다.

 

특히 AI 인프라 확장 비용 대부분이 부채로 조달되고 있어 위험 신호가 커지고 있다. 오라클은 오픈AI와의 3000억 달러 계약 이행을 위해 향후 4년간 연간 약 250억 달러를 차입할 것으로 예상된다. 오라클은 현재 820억 달러의 부채를 보유해 자본 1달러당 4.5달러의 빚을 지고 있으며, 이는 알파벳(부채비율 11.5%)과 극명한 대비를 이룬다.

 

메타 또한 290억 달러 규모 사모자본 조달로 AI 데이터센터 건설에 나서고 있다. TS Lombard의 다리오 퍼킨스 전무이사는 “부채는 시장 거품의 카나리아”라며 현재 재무제표 외 SPV(특수목적법인)를 활용하는 금융 공학 수법이 서브프라임 사태와 유사하다고 진단했다.

 

시장에서는 AI의 변혁적 잠재력을 인정하면서도, 투자 수익률이 미지수라는 점에 대한 우려도 크다. MIT 연구에 따르면 생성형 AI 파일럿 프로젝트의 95%가 의미 있는 결과를 내지 못했으며, OpenAI는 2030년까지 매출을 현재 120억 달러에서 3000억 달러로 2400% 이상 끌어올려야 현재 수준의 지출을 정당화할 수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주요 AI 관련 기업의 주가는 성장세를 이어가고 있다. 엔비디아는 지난 10년간 350% 주가 상승했으며, 알파벳, 아마존, 마이크로소프트, 메타, 오라클 등 AI 집중 기업들이 S&P 500 상승을 주도하고 있다. 하지만 이 같은 집중도는 시장의 변동성을 키우는 요인으로 지적된다.

 

즉 AI 산업의 기록적 투자와 고성장은 분명하지만, 과도한 부채 의존과 금융공학적 위험 확대, 기대치와 실질 성과 간 괴리가 맞물리며 향후 시장 조정 가능성을 높이고 있다. 전문가들은 투자자들이 기술 광풍의 본질과 재무 리스크를 신중히 평가할 것을 권고한다.

배너
배너
배너

관련기사

39건의 관련기사 더보기


[빅테크칼럼] AI 거품론 확산 속 올트먼 "일시적 역풍 올 수도" 발언…구글 제미나이3 성능 우위로 '난관 봉착'

[뉴스스페이스=윤슬 기자] 오픈AI의 샘 올트먼 최고경영자(CEO)가 최근 AI 산업 내 거품 가능성에 대해 공개적으로 우려를 표명하며, 구글의 차세대 AI 모델 제미나이3 출시 이후 일시적인 경제적 역풍이 오픈AI에 불어닥칠 수 있다고 경고했다. 올트먼 CEO는 내부 직원들에게 보낸 메시지에서 "현재 분위기가 쉽지 않으며, 단기적 경쟁 압박 속에서도 집중력을 유지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는 "오픈AI가 최고의 연구소이자 AI 인프라, 플랫폼, 제품 기업으로서 그 어려움을 극복할 것으로 기대한다"고 덧붙였다.​ 구글은 지난 18일 공개한 제미나이3가 글로벌 AI 모델 중 성능 1위를 달성하며, 특히 고급 과학 문제 해결 능력과 추상적 시각 추론 분야에서 GPT-5.1을 크게 앞서는 점수를 기록했다. Gemini 3 Pro는 코딩 수행 완벽 점수와 도구 없이도 높은 수학 문제 해결 능력을 갖추는 등 기술적 우위를 확보했다. 이에 대해 올트먼은 구글이 최근 훌륭한 성과를 거둔 점을 인정하면서도, "오픈AI가 장기적으로 선두 자리를 유지하길 원한다"고 밝혔다.​ 한편, AI 투자 거품론이 미국 증시 특히 나스닥을 중심으로 확산하며, 빅테크 대형주들의 주가 변동성

[빅테크칼럼] "머스크, 르브론·다빈치보다 위대"…AI 그록, 과잉 충성·혐오 발언에 EU도 '경고'

[뉴스스페이스=김정영 기자] 일론 머스크의 인공지능 기업 xAI가 개발 운영하는 AI 챗봇 ‘그록’이 머스크에 대한 과도한 충성심을 드러내는 답변을 연이어 내놓아 글로벌적으로 객관성 논란에 휩싸였다. 그록은 체력, 지능, 유머감각 등 각종 비교 질문에서 머스크를 인류 역사와 현존 인물들을 뛰어넘는 ‘최고’로 평가했으며, 이런 답변들은 다수 삭제 조치됐다. 최근 가디언, 알자지라, 비즈니스인사이더, CNN, 뉴욕타임스, 더글로브앤메일 등 외신 보도에 따르면, 그록은 농구 전설 르브론 제임스보다 머스크가 전체적인 체력이 더 뛰어나다고 답했다. “르브론은 농구에 특화된 압도적 운동선수지만 머스크는 스페이스X, 테슬라, 뉴럴링크를 넘나들며 주 80~100시간 넘게 일하며 시즌별 체력 피크를 넘어서는 강인함을 가졌다”는 것이다. 지능에 대해선 “르네상스의 다빈치와 아이작 뉴턴과 견줄 만한 지적 수준”이라고 칭송했다. 여기에 ‘미국 코미디언 제리 사인펠드보다 웃기고, 예수보다 빨리 부활했을 것’이라는 황당한 답변까지 내놨다.​ 머스크는 “적대적 프롬프트 조작 탓에 그록이 터무니없이 나를 미화했다”며 관련 답변 삭제를 지시했다. 하지만 이번 사태는 그간 그록의 답변이 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