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10.08 (수)

  • 맑음동두천 25.8℃
  • 구름조금강릉 27.3℃
  • 맑음서울 26.6℃
  • 구름많음대전 25.0℃
  • 흐림대구 22.6℃
  • 흐림울산 23.8℃
  • 구름많음광주 24.8℃
  • 흐림부산 27.2℃
  • 구름조금고창 25.2℃
  • 제주 24.5℃
  • 맑음강화 25.7℃
  • 구름많음보은 24.4℃
  • 구름많음금산 25.9℃
  • 구름많음강진군 26.3℃
  • 흐림경주시 22.1℃
  • 구름많음거제 25.3℃
기상청 제공

빅테크

[빅테크칼럼] "AI 투자 거품, 닷컴 버블 넘어선다" 경고등 켜졌다…AI 거품, 닷컴버블 17배·서브프라임 위기 4배 규모

"3,200억 달러 AI 투자의 그림자: 부채와 과열의 경계"
골드만삭스 CEO ‘12~24개월 내 AI 시장 조정 온다’ 경고

 

[뉴스스페이스=김시민 기자] 현재의 과도한 AI투자 거품이 닷컴 버블 붕괴나 2008년 서브프라임 위기보다도 더 큰 시스템적 위험을 초래할 수 있다고 지적하고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10월 4일(현지시간) 금융 분석가들과 글로벌 기술 리더들이 인공지능(AI) 투자 거품에 강력한 경고음을 내고 있다.

 

MacroStrategy Partnership, 골드만삭스, 런던 셀우드 매니지먼트, TS Lombard, KeyBanc, 스탠퍼드 AI 지수, 로이터, CNBC, Fortune, Investopedia에 따르면, UBS 출신 줄리앙 가란(MacroStrategy Partnership)은 이번 주 연구에서 현재 AI 거품이 닷컴 버블의 17배, 2008년 부동산 서브프라임 위기의 4배 규모라고 분석했다. 이는 19세기 경제학자 크누트 빅셀 이론을 활용해 지난 10년간 저금리가 야기한 자본의 과잉 배분을 평가한 결과다.

 

골드만삭스 데이비드 솔로몬 CEO는 10월 3일(현지시간) 이탈리아 테크 위크에서 12~24개월 내 시장 조정 가능성을 예고하며, 닷컴 버블과 유사한 현상이 나타날 것이라고 경고했다.

 

솔로몬은 “많은 자본이 수익을 내지 못하고 시장에 충격을 줄 것”이라며 "시장 기대가 실제 기술 잠재력을 앞서가고 있다"고 말했다. 글로벌 AI 기업들은 올해 사상 최대 3200억 달러 자본 지출 예산을 투입하며, AI 인프라 확대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2024년의 글로벌 AI 투자액은 2523억 달러로 2014년 대비 13배 증가했다.

 

특히 AI 인프라 확장 비용 대부분이 부채로 조달되고 있어 위험 신호가 커지고 있다. 오라클은 오픈AI와의 3000억 달러 계약 이행을 위해 향후 4년간 연간 약 250억 달러를 차입할 것으로 예상된다. 오라클은 현재 820억 달러의 부채를 보유해 자본 1달러당 4.5달러의 빚을 지고 있으며, 이는 알파벳(부채비율 11.5%)과 극명한 대비를 이룬다.

 

메타 또한 290억 달러 규모 사모자본 조달로 AI 데이터센터 건설에 나서고 있다. TS Lombard의 다리오 퍼킨스 전무이사는 “부채는 시장 거품의 카나리아”라며 현재 재무제표 외 SPV(특수목적법인)를 활용하는 금융 공학 수법이 서브프라임 사태와 유사하다고 진단했다.

 

시장에서는 AI의 변혁적 잠재력을 인정하면서도, 투자 수익률이 미지수라는 점에 대한 우려도 크다. MIT 연구에 따르면 생성형 AI 파일럿 프로젝트의 95%가 의미 있는 결과를 내지 못했으며, OpenAI는 2030년까지 매출을 현재 120억 달러에서 3000억 달러로 2400% 이상 끌어올려야 현재 수준의 지출을 정당화할 수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주요 AI 관련 기업의 주가는 성장세를 이어가고 있다. 엔비디아는 지난 10년간 350% 주가 상승했으며, 알파벳, 아마존, 마이크로소프트, 메타, 오라클 등 AI 집중 기업들이 S&P 500 상승을 주도하고 있다. 하지만 이 같은 집중도는 시장의 변동성을 키우는 요인으로 지적된다.

 

즉 AI 산업의 기록적 투자와 고성장은 분명하지만, 과도한 부채 의존과 금융공학적 위험 확대, 기대치와 실질 성과 간 괴리가 맞물리며 향후 시장 조정 가능성을 높이고 있다. 전문가들은 투자자들이 기술 광풍의 본질과 재무 리스크를 신중히 평가할 것을 권고한다.

배너
배너
배너

관련기사

22건의 관련기사 더보기


[빅테크칼럼] 아스트라제네카, AI 접목 CRISPR 유전자 편집에 5억5500만 달러 투자…"면역질환 신약 개발 가속화"

[뉴스스페이스=김혜주 기자] 영국-스웨덴 제약 대기업 아스트라제네카는 미국 샌프란시스코 소재 바이오 스타트업인 알젠 바이오테크놀로지스(Algen Biotechnologies)와 5억5500만 달러(한화 7800억원) 규모의 계약을 체결해 인공지능(AI)을 활용한 CRISPR 유전자 편집 치료제 개발에 착수했다. 로이터, 비즈니스와이어, 프리스탁, 마켓앤마켓, 프리시던스리서치에 따르면, 이번 계약으로 아스트라제네카는 알젠의 AI 기반 유전자 편집 플랫폼에서 도출되는 치료제 개발과 상업화에 대한 독점권을 확보했다. 알젠은 초기 지급금과 개발·규제·상업적 마일스톤 달성에 따른 최대 5억5500만 달러를 수령한다. 알젠 바이오테크놀로지스는 노벨 화학상 수상자 제니퍼 도우드나(Jennifer Doudna)의 버클리 연구실에서 분사한 기업으로, AI와 CRISPR 기술을 접목한 ‘알젠브레인(AlgenBrain)’ 플랫폼을 통해 수십억 건의 RNA 변화를 모델링하며 질병 진행에 관여하는 유전자를 정밀 분석한다. 이를 통해 질병의 원인 유전자 치료 타깃 발굴을 가속화하고, 신약 개발 성공 가능성을 높인다는 목표다. 이번 협력은 면역계 질환을 우선 목표로 삼고 있으며, 아스

[이슈&논란] 구글코리아, 법인세는 '찔끔' 유튜브 가격인상은 '왕창'…네이버와 형평성 문제·세원 잠식 '논란'

[뉴스스페이스=조일섭 기자] 글로벌 빅테크 구글코리아가 네이버 등 국내 경쟁사 대비 현저히 낮은 법인세만 납부하면서, 동시에 유튜브 프리미엄 요금은 최근 5년간 무려 71% 넘게 인상했다는 지적이 거세지고 있다. 7일 국회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 소속 최수진 국민의힘 의원에 따르면, 2024년 구글코리아가 실제 납부한 법인세는 172억원(1720만 달러)으로, 네이버의 3902억원에 비해 4% 수준에 불과하다. 구글코리아는 지난 한 해 최대 11조3020억원의 매출을 올렸다는 학계 추정과 달리, 공식 매출은 3869억원만 신고했다. 국내 데이터 트래픽 점유율은 31.2%로 네이버(4.9%)의 6배가 넘는 반면, 매출과 세금 신고는 터무니없이 낮아 ‘세원 잠식’ 논란이 거세다. “최대 11조원 매출…실납부세액은 172억원, 네이버의 4%” 가천대 전성민 교수 연구에 따르면 2024년 구글코리아의 실질 매출은 최대 11조3000억원~최소 4조8360억원으로 추산된다. 이를 네이버의 평균 법인세율(5.9%)로 적용하면 납부세액은 6000억원대를 훌쩍 넘겼을 것으로 분석됐다. 반면 구글코리아의 실제 신고 매출은 3869억원, 법인세 납부액은 172억원에 불과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