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1.05 (일)

  • 흐림동두천 0.1℃
  • 구름많음강릉 7.9℃
  • 서울 0.6℃
  • 대전 2.8℃
  • 흐림대구 3.5℃
  • 구름많음울산 6.4℃
  • 광주 2.6℃
  • 흐림부산 8.4℃
  • 흐림고창 2.6℃
  • 제주 10.3℃
  • 흐림강화 0.8℃
  • 흐림보은 -1.0℃
  • 흐림금산 2.4℃
  • 흐림강진군 4.2℃
  • 구름많음경주시 8.4℃
  • 구름많음거제 7.8℃
기상청 제공

빅테크

반도체 등 첨단학과 정원 1829명↑…서울대 218명 등 SKY 정원 298명 ↑

서울대 등 수도권 대학, 내년에 '첨단학과' 입학 정원 817명 늘린다
이공계열 수험생들 입시 합격선에도 영향 줄듯

서울대학교 정문 [뉴스스페이스]

 

[뉴스스페이스=윤슬 기자] 올해 고등학교 3학년이 치르는 2024학년도 입시에서 수도권 4년제 대학들의 반도체·인공지능 등 첨단 분야 모집 정원이 총 817명 늘어난다.

 

서울대, 고려대, 연세대 등 최상위권 대학의 입학 정원이 크게 늘어나 입시 합격 점수에 큰 영향을 줄 것으로 보인다.

 

교육부는 27일 ‘2024학년도 일반대학 첨단 분야 및 보건의료분야 정원 배정 결과’를 발표했다.

 

지난해 7월 윤석열 대통령이 국무회의에서 “우리 산업 핵심인 반도체 인력 공급을 위해 교육부가 발상을 전환하라”고 주문한 후 교육부는 반도체를 포함한 첨단 산업 분야 대학 입학 정원 확대를 추진해왔다.

 

교육부는 내년에 전국적으로 4년제 일반대학의 반도체, 인공지능(AI), 미래차, 로봇, 바이오 등 첨단 분야 전공 입학정원이 1829명 늘었다. 이 중 수도권은 10개 대학 817명, 비(非)수도권은 12개 대학 1012명이다.

 

수도권의 경우 서울대가 218명으로 가장 많았고, 가천대 150명, 세종대 145명, 성균관대 96명, 고려대 56명, 동국대 45명, 이화여대 30명, 서울과기대 30명, 연세대 24명, 덕성여대 23명씩 늘어난다.

 

비수도권은 국립대가 많다. 경북대 294명, 전남대 214명, 충북대 151명, 충남대 82명 등이다.

 

전공 분야별로는 ▲반도체 14개 학과 654명 ▲AI 7개 학과 195명 ▲소프트웨어(SW)·통신 6개 학과 103명 ▲에너지·신소재 7개 학과 276명 ▲미래차·로봇 11개 학과 339명 ▲바이오 5개 학과 262명이 순증 됐다.

 

교육부 박준성 대학규제혁신총괄과장은 “최근 지방대가 학령 인구 급감 속에 어려움이 많고 수도권·지방의 균형 발전을 고려해 수도권은 신청은 많이 했지만 증원은 최소화하는 것으로 방향은 잡았다”고 말했다.

 

교육부는 내년에도 첨단 분야 대학 정원을 계속해서 늘려나갈 방침이다. 2027년까지 반도체 분야 학사학위 과정 정원을 2000명 늘린다는 게 정부 목표다.

 

교육부는 이날 보건 분야 정원 조정 결과도 확정했다.

 

간호학과 정원은 385명 늘었다. 폐과되는 간호학과에서 반납된 25명을 더해 간호학과 정원 총 410명을 39개 대학에 배정했다.

 

임상병리학과는 11개 대학에서 27명, 약학과는 8개 대학 17명, 치과기공학과는 1개 대학 30명, 작업치료학과는 5개 대학 48명이 각각 증원된다.

 

배너
배너
배너

관련기사

83건의 관련기사 더보기


머스크가 쓴 ‘獨 극우당 지지' 칼럼, AI 대필 의혹…"챗봇 돌려보니 똑같이 나와"

[뉴스스페이스= 윤슬 기자] 일론 머스크 테슬라 최고경영자(CEO)가 독일 주간지에 인공지능(AI)으로 쓴 칼럼을 냈다는 의혹이 제기됐다. 독일 일간 타게스슈피겔은 4일(현지 시각) ‘독일대안당(AfD)만이 독일을 구할 수 있는 이유’에 대해 보수 성향 신문에 보낼 칼럼을 AI 챗봇 그록(Grok)에 요청했더니, 머스크의 기고와 구분하기 어려울 정도로 문체와 논증·구조가 똑같은 텍스트가 나왔다고 보도했다. 그록은 머스크가 설립한 스타트업 xAI의 인공지능 챗봇이다. 이 매체는 그록이 생성한 텍스트 역시 머스크의 기고와 마찬가지로 “독일은 중요한 시점에 있고 미래는 경제적, 문화적으로 붕괴 직전에 놓여 있다”는 문장으로 시작하고 수십 개 문장이 겹친다고 강조했다. 머스크는 2024년 12월 28일 독일 주간지 벨트암존타크에 실은 기고에서 “AfD가 이 나라 마지막 희망의 불꽃”이라며 ▲ 경제 활성화 ▲ 에너지 독립 ▲ 정치적 현실주의 ▲ 혁신과 미래 등으로 단락을 나눠 AfD를 지지하는 이유를 밝힌 바 있다. 독일 브란덴부르크주에 테슬라 공장을 운영하는 머스크는 그동안 엑스(X·옛 트위터)에서 종종 독일 정치를 촌평했으나 장문의 신문 기고는 이번이 처음이다.

테슬라, 하루 만에 8% 반등 왜?…신차출시·자율주행·AI·로봇효과 등에 업고 월가 '낙관론'

[뉴스스페이스=김정영 기자] 미국 전기차업체 테슬라의 주가가 작년 인도량 실적 부진에 따라 큰폭으로 하락했다가 하루만에 큰 폭으로 반등해 주목받고 있다. 3일(현지시간) 뉴욕증시에서 테슬라 주가는 전날보다 8.22% 오른 410.44달러에 마감했다. 381.48달러로 출발했던 테슬라 주가는 장중 가파른 우상향 곡선을 그리더니 상승 폭을 키웠다. 테슬라 주가는 새해 첫 거래일이었던 전날 6.1% 급락해 379.28달러로 고꾸라졌으나 하루 만에 하락분을 모두 만회했다. 월가에서는 올해 신차 출시와 자율주행, 로봇 사업 등으로 테슬라의 성장 가능성이 크다는 낙관론이 다시 힘을 얻었다는 분석이다. 게다가 투자자들은 트럼프 당선인 취임 이후 테슬라가 자율주행 무인 택시 출시 등과 관련해 규제 완화 혜택을 볼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테슬라는 전날 작년 연간 전기차 인도량이 178만9226대로 전년(180만8581대)보다 감소했다는 소식에 주가가 급락했다. 테슬라의 연간 인도량이 감소한 것은 역대 처음이었다. 그러나 월가에서는 올해 테슬라의 신차 출시와 자율주행·인공지능(AI)· 휴머노이드 로봇 등 사업 등 성장 가능성에 더 큰 무게를 두고 있다는 평가다. 일론 머스크

트럼프 호텔 테슬라 사이버트럭 폭발, 현역 군인 타고 있었다…"뉴올리언스 테러와 연관성 발견안돼"

[뉴스스페이스=김정영 기자] 새해 첫날 미국 네바다 라스베이거스 트럼프 호텔 앞에서 폭발한 테슬라 사이버트럭 탑승자가 미군 정예부대 소속 현역 군인인 것으로 알려졌다. 2일(현지시각) AP는 익명의 당국자들을 인용해 사이버트럭 폭발로 사망한 탑승자가 현역 군인(육군)인 매슈 리벨스버거로 확인됐다고 보도했다. 리벨스버거는 육군 특수전부대 사령부가 있는 노스캐롤라이나주의 기지(옛 명칭 포트브래그)에서 근무한 이력이 있다. 2006년부터 육군에서 복무하며 진급했으며, 사망 당시 승인된 휴가 상태였던 것으로 전해졌다. 미국 연방수사국(FBI)은 이날 소셜미디어(SNS) 엑스(X, 옛 트위터)를 통해 사이버트럭 폭발 관련 콜로라도 스프링스 한 가정에서 법 집행 활동을 수행 중이라고 밝혔다. 사이버트럭은 렌터카로 알려졌다. 폭발 원인은 밝혀지지 않았다. 리벨스버거가 운전한 테슬라 사이버트럭은 현지시간 1일 아침 8시 40분쯤 라스베이거스 트럼프 호텔의 입구 앞 발렛주차 구역에 주차해 있다가 폭발했다. 이 폭발로 운전자인 리벨스버거가 사망하고 인근에 있던 7명이 부상한 것으로 파악됐다. 이 건은 같은 1일 새벽 루이지애나주 뉴올리언스 중심가에서 픽업트럭 돌진으로 수십 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