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11.17 (월)

  • 구름많음동두천 3.9℃
  • 맑음강릉 11.0℃
  • 흐림서울 3.8℃
  • 구름많음대전 8.2℃
  • 구름많음대구 9.5℃
  • 구름많음울산 12.2℃
  • 구름많음광주 8.5℃
  • 구름많음부산 13.3℃
  • 흐림고창 9.1℃
  • 흐림제주 12.8℃
  • 구름많음강화 3.5℃
  • 구름조금보은 6.7℃
  • 구름조금금산 8.5℃
  • 흐림강진군 9.3℃
  • 구름많음경주시 11.0℃
  • 구름많음거제 13.3℃
기상청 제공

우주·항공

오사카行 티웨이항공 11시간 넘게 지연…일부 승객 '기절'

방콕발 청주행 여객기도 출발 지연

 

[뉴스스페이스=윤슬 기자] 인천국제공항을 출발해 일본 오사카로 향하려던 티웨이항공 여객편이 11시간 이상 지연됐다.


14일 업계에 따르면, 13일 오후 12시 5분 인천공항에서 출발해 일본 오사카로 향하려던 티웨이항공 TW283 항공편이 기체 결함으로 약 11시간 늦게 출발했다. 현장에 있던 한 탑승객은 "공황장애가 있으니 보내 달라고 얘기하고, 나가면서 발작을 하면서 쓰러지는 승객도 있었다"고 전했다.

 

티웨이항공은 "항공기 점검 발생으로 안전 운항을 위한 지연 운항하게 됐다"며 "갑작스러운 지연으로 승객을 불편하게 해 죄송하다. 유관부서에서 기준에 따라 보상 절차를 진행할 예정이다"고 말했다.

 

승객 300여명이 장시간 기내에 머물렀고 일부는 항의한 것으로 전해졌다. 이 항공편을 이용하려던 승객 310명 중 204명은 결국 탑승을 포기했다. 티웨이항공은 탑승을 포기한 승객에게 왕복 항공권 전액을 환불하고 오사카에 도착한 승객 106명에게는 10만원의 교통비를 지급했다.

 

 

지연 여파로 같은 항공기를 쓰는 오사카발 인천행 TW284편도 11시간가량 지연된 이날 오전 2시 30분에 출발했다. 이 항공편에서는 322명 중 4명이 탑승을 포기한 것으로 전해졌다.

 

전날에는 태국 방콕발 청주행 티웨이항공 TW184 항공편이 엔진 계열 부품 결함으로 20시간 넘게 출발이 지연됐다. 전날 오전 0시 5분 방콕 돈므앙공항에서 출발해 청주로 향하려던 티웨이항공 여객기가 지연됐다. 해당 항공기의 엔진 시동을 거는 데 필요한 엔진 스타터 부품에서 결함이 발생한 것으로 파악됐다.

 

최근 국토교통부가 10개 국적 항공사와 36개 외국 항공사를 대상으로 조사한 ‘2023년 항공운송 서비스 평가’ 결과에서 국내에 운항하는 항공사 중 가장 지연이 잦은 업체는 ‘에어서울’과 ‘제주항공’으로 나타났다. 에어프레미아와 이스타항공은 소비자 보호 측면에서 최하점을 받았다.

배너
배너
배너

관련기사

93건의 관련기사 더보기


[우주칼럼] 지구인이 외계인 찾기 시도한 날(11월 16일)…'아레시보'와 외계 생명체 교신 5W1H

[뉴스스페이스=이종화 기자] 11월 16일은 지구인들의 우주역사에서 의미있는 날이다. 외계인의 존재를 찾기위한 작은 몸짓을 시도한 날이기 때문이다. 1974년 11월 16일 푸에르토리코의 아레시보 천문대에서 인류는 최초로 외계 지적 생명체를 대상으로 한 전파 메시지를 발송했다. 이 메시지는 이때부터 '아레시보 메시지(Arecibo message)'로 알려지기 시작했다. 당시 코넬 대학교의 프랭크 드레이크 박사가 작성하고, 칼 세이건 등 과학자들의 협력을 통해 완성됐다. 1. 아레시보 메시지를 보낸 이유와 의미 아레시보 메시지는 외계 지적 생명체와의 교신을 위한 진지한 시도라기보다는, 당시 과학 기술의 발전을 기념하고 과시하기 위한 목적이 더 컸다. 메시지가 향한 허큘리스 대성단(M13)은 지구로부터 약 2만5000광년 떨어져 있어, 단순계산으로도 메시지가 도달하는 데만 2만5000년이 소요되며, 응답을 받기까지는 총 5만년이 걸린다. 실질적인 교신보다는 인류의 기술적 성과를 상징적으로 보여주는 이벤트였다. 메시지는 2380MHz 주파수 대역으로 초당 10비트의 속도로 전송됐으며, 총 전송 시간은 약 3분이었다. ​​ 메시지는 총 1,679비트의 이진수로 구성

[The Numbers] 제주항공, 3분기 550억원 영업손실…무안공항 참사 여파 '재무리스크'로 휘청

[뉴스스페이스=김희선 기자] 제주항공이 2025년 3분기 연결기준으로 550억원의 영업손실을 기록하며 심각한 경영난에 직면했다. 매출은 전년 동기 대비 19% 감소한 3883억원에 그쳤고, 환율 상승과 경쟁 심화가 실적 부진의 주요 원인으로 작용했다. 특히, 올해 3분기 평균 원·달러 환율 상승으로 항공기 임차료와 정비비 등 달러 결제 비용이 크게 늘었고, 중·단거리 노선에서 항공사 간의 공급 과잉으로 가격 경쟁이 치열해진 점이 수익성 악화에 영향을 미쳤다. 더불어, 지난해에 비해 일본 노선이 지진설 여파로 성수기 효과를 보지 못하고, 10월에 추석 연휴가 포함된 점도 실적 저하에 한몫했다.​ 재무적 타격은 3분기 실적에만 그치지 않는다. 2024년 12월 무안국제공항에서 발생한 제주항공 여객기 참사로 인해 항공사에 대한 손해배상 책임이 부각됐다. 승객과 유족에 대한 보상 한도는 약 1조4720억원(10억 달러 상당)으로 책정됐으며, 이는 비행기 사고 관련 국제 약관인 몬트리올 협약에 따른 최고 한도액이다. 제주항공 측은 초기 예매금액 환불과 더불어, 약 2421억원(1억6500만 달러)에 달하는 단기 차입금 상환 부담까지 겹치며 단기적인 현금 유동성 위기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