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3.26 (수)

  • 구름많음동두천 15.8℃
기상청 제공

우주·항공

세계 첫 '달 뒷면' 샘플 채취…중국 창어6호 지구 복귀

 

[뉴스스페이스=윤슬 기자] 인류 최초로 달 뒷면 샘플을 채취한 중국 우주 탐사선 '창어 6호'가 임무를 마치고 53일 만에 지구로 돌아왔다.

 

중국 국가항천국(CNSA)은 25일(현지시간) "창어 6호가 오후 2시7분(한국 시간 3시7분) 달 뒷면의 토양 샘플을 가지고 중국 북부 네이멍구에 성공적으로 착륙했다"고 설명했다. 지난달 3일 하이난 원창 우주발사장을 떠난 지 53일 만이다.

 

이제껏 달 표면 탐사에 성공한 나라는 소련, 미국, 중국, 인도, 일본까지 모두 5개국이며 뒷면 토양까지 채취한 건 중국이 유일하다. 중국중앙TV(CCTV)는 창어 6호가 중국 북부 네이멍구자치구 쓰쯔왕기 착륙장에 착륙하는 모습을 생중계했다.
 

중국 CCTV는 "창어 6호는 예정대로 착륙했고 정상적으로 작동하고 있었다"며 "달 탐사 프로젝트를 성공적으로 마쳤고 세계 최초로 달 뒷면 샘플을 채취해 무사히 돌아왔다"고 전했다.

 

앞서 창어 6호는 달 뒷면의 토양과 암석 등 2kg의 샘플을 채취하기 위해 5월 3일 발사됐으며, 약 한 달 만인 지난 6월 2일 목표 지점인 달 뒷면 '남극-에이킨 분지'에 도착했다.

 

중국 국가우주국에 따르면 창어 6호는 달 뒷면을 촬영하고 토양 샘플 등을 채취했다. 달 뒷면에서 중국 국기인 오성홍기를 펼치기도 했다. 탐사를 끝낸 창어 6호는 6월 4일 오전 달 뒷면에서 이륙한 뒤 달 궤도와 지구 궤도를 거쳐 중국으로 돌아왔다. 

 

중국 국가우주국은 창어 6호가 가져온 달 뒷면 샘플을 토대로 달의 기원과 구조 등을 파악하는 연구를 할 계획이다.  이번에 채취된 달 뒷면 토양은 약 40억년 전의 토양으로 추정된다. 미국이나 러시아가 확보한 달 전면 토양보다 훨씬 오래된 것으로 보인다.

 

특히 창어 6호의 임무가 눈길을 끈 것은 2020년 발사됐던 창어 5호가 싣고 돌아온 달 토양에서 핵융합 발전의 잠재적 연료이자 지구에선 제한적으로 확보되는 헬륨3의 흔적이 발견됐다. 위스콘신대 핵융합기술연구소는 40g의 헬륨3에서 나오는 잠재적 에너지량이 석탄 5000톤에 해당할 수 있다고 내다봤고, 헬륨3 관련 미국 스타트업 인터룬은 달 표면 아래 100만톤 이상의 헬륨3가 매장돼 있을 거라는 주장을 편다.

 

창어 6호의 달 뒷면 토양 확보는 한 편의 각본없는 우주쇼, 우주기술 백화점이였다. 자전과 공전 주기 탓에 달 뒷면은 지구에서 보이지 않으며, 당연히 직접 통신도 불가능하다. 탐사는 물론 착륙해 샘플을 채취하는 것 자체가 매우 어려운 지역이다. 중국은 통신 중계 위성을 활용해 이런 난관을 극복하고 샘플 회수에 성공했다. 전세계에 중국의 뛰어난 우주기술력을 한껏 과시한 셈이다.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은 창어 6호의 복귀를 축하하며 "중국이 우주 강국과 과학기술 강국으로 거듭날 또 하나의 획기적인 성과"라고 밝혔다.

 

중국은 이번 성공에 이어 2026년 창어 7호, 2028년 창어 8호를 잇따라 발사할 예정이다. 미국도 아르테미스 프로그램을 통해 내년까지 달에 우주인을 보낼 계획이다. 2028년 우주기지도 건설한다. 미국, 중국간의 우주전쟁도 더욱 치열해지고 있다.

배너
배너
배너

관련기사

41건의 관련기사 더보기

네티즌 의견 0

0/300자
  • 첫번째 댓글을 남겨주세요.


"항공기 비상문 열겠다" 승무원 폭행한 미국인, 집행유예…"운항의 안전 저해할 위험성"

[뉴스스페이스=윤슬 기자] 항공기 안에서 승무원들을 폭행하고 소란을 피운 20대 미국인에게 징역형 집행유예가 선고됐다. 인천지법 형사4단독(곽여산 판사)은 재물손괴, 항공보안법 위반 혐의로 기소된 미국인 A(26)씨에게 징역 6개월에 집행유예 1년을 선고했다고 24일 밝혔다. A씨는 지난해 11월 7일 오후 11시 30분께 태국 수완나품공항에서 출발해 인천국제공항 제2여객터미널로 향하던 항공기 안에서 승무원 B씨와 C씨를 폭행한 혐의로 재판에 넘겨졌다. A씨는 항공기 비상구 출입문을 개방할 것처럼 행동한 혐의도 있다. 항공기에서 승무원 전용 좌석에 앉아 있던 A씨에게 승무원 B씨가 “여기는 승무원 좌석이다. 본인 자리로 돌아가시라”며 지정 좌석으로 이동할 것을 요구하자 갑자기 소란을 피운 것으로 파악됐다. 또 A씨는 자신이 난동 부리는 모습을 촬영하는 승무원 C씨의 휴대전화를 빼앗고 바닥에 집어 던졌으며 “만약 내가 문을 연다면 우리 다 죽는 것”이라고 말한 것으로 조사됐다. 실제로 A씨는 비상구 출입문에 설치돼 있는 슬라이드 팽창 레버를 만지려고 한 것으로 드러났다. 재판부는 “이 사건 범행으로 다른 탑승객들에게도 상당한 정도의 불편함과 불안함을 초래한 것

우주팽창 '암흑에너지'가 약해진다…"표준 우주론 수정해야"

[뉴스스페이스=윤슬 기자] 한국과 11개 국가 900명의 연구자가 참여하는 대규모 국제공동 프로젝트 연구 결과, 우주를 팽창시키는 암흑 에너지가 약해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천문연구원이 참여하는 암흑에너지분광장비(DESI) 국제 공동 연구진은 약 1500만개의 은하와 퀘이사를 포함하는 3년간의 데이터를 사용해 암흑에너지의 밀도가 약해졌다고 24일 발표했다. 연구진은 우주 전체 에너지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암흑에너지의 정체를 밝히기 위해 DESI를 이용해 3차원 우주 지도를 만드는 연구를 하고 있다. 미국 애리조나 주 키트피크 산꼭대기에 있는 5000개의 작은 광섬유 로봇들로 구성된 다채널분광기를 장착한 망원경으로 먼 은하에서 나온 빛의 스펙트럼을 정밀하게 관측하고 암흑에너지를 연구한다. 이들이 연구한 암흑에너지는 현재 우주 전체 에너지의 약 70%를 차지하는 요소이다. 우주의 팽창 속도를 더 빠르게 하는 역할을 한다. 우주의 역사를 설명하는 이론인 표준 우주론 모형에 따르면 우주 가속팽창의 원인인 암흑에너지는 일정하게 유지되는 상수로 취급된다. 하지만 이번 결과에서 우주를 팽창시킨 암흑에너지의 밀도가 지난 45억년 동안 10%씩 약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