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11.25 (화)

  • 흐림동두천 6.5℃
  • 흐림강릉 11.3℃
  • 흐림서울 8.5℃
  • 대전 8.0℃
  • 박무대구 6.7℃
  • 연무울산 9.9℃
  • 흐림광주 9.4℃
  • 연무부산 12.0℃
  • 흐림고창 8.9℃
  • 흐림제주 12.0℃
  • 흐림강화 6.5℃
  • 흐림보은 6.5℃
  • 흐림금산 7.3℃
  • 구름조금강진군 10.0℃
  • 구름조금경주시 5.8℃
  • 구름조금거제 13.3℃
기상청 제공

우주·항공

[우주칼럼] 다양한 성격유형이 화성 임무 성공률 높인다…심리적 회복탄력성 중심의 우주인 팀구성 전략

 

[뉴스스페이스=이종화 기자] 다양한 성격 유형을 가진 우주비행사들이 극한의 심리적 압박이 예상되는 화성 임무를 더 잘 견딜 수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10월 9일(현지시간) 발표된 스티븐스 공과대학교 연구진의 획기적인 연구는, 다양한 성격 유형의 우주 비행사들이 극한의 심리적 압박에 직면하는 장기 화성 임무에서 더 높은 성과와 건전한 팀 결속력을 유지한다는 사실을 밝혔다.

 

Phys.org, bioengineer, scimex.org, nytimes, Frontiers in Physiology, Space.com에 따르면, 해당 연구는 500일간의 화성 임무를 시뮬레이션한 에이전트 기반 모델링(ABM) 기법을 통해, 서로 다른 성격 프로필과 직업적 역할이 우주인 팀 내 스트레스 관리, 건강, 업무 수행 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정교하게 분석했다. 

 

이 연구결과는 PLOS One에 게재됐으며, 과학자들이 심리학적 통찰과 컴퓨터 시뮬레이션을 결합해 장기간의 화성 임무를 모델링한 첫 시도라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첨단 에이전트 기반 모델링을 활용해 연구원 아이서 페냐와 하오 첸은 서로 다른 성격 프로필과 직업적 역할을 가진 가상 우주비행사들을 만들고, 다양한 팀 구성이 시간이 지나면서 스트레스 수준, 건강 결과, 성과 및 팀 결속력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관찰했다.

 

그 결과 다섯 가지 성격 특성(개방성, 성실성, 신경증, 외향성, 친화성)과 엔지니어, 의료진, 조종사 등 임무 수행에 필수적인 역할을 조합해, 균일한 팀보다 이질적인 팀에서 더 뛰어난 회복탄력성과 스트레스 조절 능력이 나타남을 밝혀냈다.

 

특히, 높은 성실성과 낮은 신경증의 조합이거나 높은 외향성과 강한 친화성을 보유한 팀이 최적의 심리적 안정성을 보였다. 이는 다양한 성격 유형들이 폭넓은 대처 메커니즘과 유연한 대인 관계 역학을 촉진해, 최대 3년이라는 장기간 극한 환경에서 심리적 균형 유지에 결정적이라는 점을 시사한다.

 

이 연구는 NASA의 아르테미스 프로그램 가속화와 유인 화성 임무 계획이 점차 구체화되는 시점에 발표되어 주목된다. 2025년 9월, NASA는 8000명 이상의 지원자 중에서 엄선된 10명의 새로운 우주 비행사 후보를 선발해 공개했으며, 이 중 일부가 최초 화성 착륙에 참여할 가능성이 높다.

 

연구진은 “현실적인 화성 유사 환경에서 팀 구성, 심리적 회복탄력성, 운영 효율성을 평가하고 최적화할 수 있는 예측 도구 개발이 시기적절하고 절실하다”고 강조했다.

 

장기간 우주 비행에서 쌓이는 누적 스트레스는 협력과 성과에 치명적 영향을 미치며, 사생활 부재와 제한된 생활 공간은 더 큰 심리적 부담을 준다. 이전 520일간 지구 내 고충실도 화성 시뮬레이션 연구에서는 개인별 스트레스 반응과 심리적 건강 변화가 크고, 특정 인원이 반복적인 임무내 갈등과 수면 장애를 겪는 등 극단적 변화가 관찰된 바 있다.

 

이번 연구의 에이전트 기반의 심리 프로필 조합 시뮬레이션은, 실험적으로 구현이 불가능한 자율적 인간 의사결정 및 관계 역학의 디지털 모형 제공으로, 실제 임무 성공과 우주인 건강 유지에 기여할 혁신적 도구로 평가받는다.

 

성격 특성의 고정성을 전제로 한 모델의 한계는 있지만, 심리적 회복탄력성을 갖춘 다채로운 개인 특성 조합이 우주 임무 수행 능력을 극대화하고 화성 탐사 성공률을 획기적으로 높일 수 있음을 과학적·계량적으로 입증한 연구라는 점에서 의의가 크다. 이는 앞으로 우주 비행사 선발 및 팀 구성 과정에 심리학 평가를 적극 도입하는 전략적 변화를 촉진할 전망이다.

 

이처럼 인류 최초의 화성 유인 탐사 임무가 임박한 현재, 이번 연구는 기술적 준비 못지않게 심리적 회복탄력성이 임무 성공의 핵심 열쇠임을 보여준다. 극한 우주 환경에서 인간이 겪게 될 심리적 도전과 협력의 복잡성을 이해하고 대비하는 데 있어, 미래 우주 탐사의 패러다임을 바꾸는 중요한 이정표가 될 것이다.

배너
배너
배너

관련기사

35건의 관련기사 더보기


[우주칼럼] 누리호 11월 27일 새벽 네 번째 발사…"우주서 바이오 신약 단서 찾는다”

[뉴스스페이스=김정영 기자] 한국형 발사체 누리호의 네 번째 발사가 오는 11월 27일 새벽 0시 54분부터 1시 14분 사이 전남 고흥 나로우주센터에서 예정되어 있다. 이번 발사에는 주탑재 위성인 차세대중형위성 3호와 큐브위성 12기가 싣혀 우주로 발사된다. 특히 이번 4차 발사부터는 우주 의료와 바이오 기술 연구를 처음으로 시도한다. 주목받는 큐브위성 ‘BEE-1000’은 미국 MSD의 면역항암제(펨브롤리주맙, 키트루다) 단백질 결정화 과정을 미세중력 환경에서 관찰하여 신약 개발 고해상도 데이터를 확보하는 임무를 담당한다.​ 이번 누리호 발사는 1~3차 발사와 동일한 3단 로켓 구조이지만, 고도 600km 태양동기궤도에 진입하는 특수 임무의 차세대중형위성 3호 탑재를 위해 야간(새벽) 발사를 최초로 추진한다. 발사 성공률은 전문가들이 약 90% 이상으로 분석하고 있으나 급변하는 기상 조건과 우주 물체 충돌 위험성 등을 실시간으로 검토하여 최종 발사 시각을 결정한다.​ 차세대중형위성 3호는 주로 오로라 관측 및 우주 환경 연구를 수행하며, 탑재된 ‘바이오캐비닛’은 한림대 연구팀이 개발한 3D 줄기세포 프린팅과 세포 분화·배양 기술을 우주 환경에서 검증하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