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11.17 (월)

  • 구름많음동두천 2.2℃
  • 맑음강릉 8.9℃
  • 흐림서울 3.2℃
  • 구름조금대전 6.6℃
  • 맑음대구 9.5℃
  • 연무울산 11.2℃
  • 맑음광주 8.7℃
  • 연무부산 13.6℃
  • 구름조금고창 8.0℃
  • 흐림제주 13.5℃
  • 구름많음강화 2.0℃
  • 구름조금보은 5.4℃
  • 구름조금금산 6.7℃
  • 구름조금강진군 9.6℃
  • 맑음경주시 10.6℃
  • 맑음거제 13.4℃
기상청 제공

랭킹연구소

[랭킹연구소] 10대가 꼽은 ‘행복의 조건’ TOP7, 1위는?…재산>부모>절친>휴식>외모>취미>꿈 順

“행복하려면 돈이 먼저”…10대 인식 변화의 배경
가족·친구·외모보다 ‘경제력’이 압도적

 

[뉴스스페이스=김희선 기자] 대한민국 10대 청소년이 생각하는 행복의 1순위는 가족, 친구, 외모, 건강, 꿈이 아니었다. 1위는 바로 ‘재산’이었다.

 

2025년 6월, 대학내일20대연구소가 발표한 ‘10대(14~18세) 소비 지출 및 진로 인식 보고서’에 따르면, 대한민국 10대 청소년이 생각하는 행복의 1순위는 ‘재산’으로 나타났다.

 

응답자의 52.1%가 “행복을 위해 가장 필요한 요소”로 재산을 꼽았으며, 부모(39.5%), 절친(34.6%), 쉼·휴식(32.8%), 외모(32.1%), 취미·취향(30.8%), 삶의 목표·꿈(30.3%)이 뒤를 이었다.

 

이 같은 결과는 최근 세계 주요 국가 청소년 대상 조사와도 궤를 같이한다. 미국 갤럽(Gallup)이 2024년 10대 청소년을 대상으로 한 조사에서도 “경제적 안정”이 “행복의 필수 요인”이라는 응답이 1위를 차지했다.

 

중국, 일본 등 동아시아권에서도 ‘경제력’이 청소년 삶의 만족도와 미래 기대치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Gallup, 일본 내각부 청소년백서).

 

 

계층 이동에 대한 냉정한 현실 인식


이번 조사에서 10대 청소년의 절반 이상(50.6%)은 자신이 30세가 됐을 때 “경제적으로 중위 계층에 머물 것”이라고 답했다. 중상위(22.4%), 중하위(18.4%), 상위(6.5%), 하위(2.1%) 순이었다.


특히 현재 가정 경제 수준이 상위인 그룹은 30세에 상위(13.0%) 또는 중상위(35.6%) 계층이 될 확률이 높다고 봤지만, 하위층 청소년은 중하위(38.5%)에 머물 것이라는 응답이 많았다. 이는 ‘계층 이동의 벽’을 체감하는 10대의 현실 인식을 반영한다.

 

학업 성취도 역시 미래 계층 이동 전망과 밀접하게 연결됐다. 학업 성적이 중상위권 이상인 그룹의 절반(49.1%)이 “30세에 중상위층 이상이 될 것”으로 예상한 반면, 중하위권 이하 그룹은 40%가 “중하위층 이하가 될 것”이라고 답했다.

 

진로 선택도 ‘경제력’이 좌우


10대들은 대학 이외의 진로, 즉 창업(42.3%)이나 인플루언서 활동(36.9%)에 대해 다소 보수적인 태도를 보였다. 다만 가정 경제 수준이 상위이거나 학업 성적이 우수한 그룹은 창업(51.0%, 48.6%)과 인플루언서(40.9%, 40.5%) 진출 의향이 더 높았다.

 

이는 집안의 경제력과 학업 성취도가 미래 기회와 자신감 형성에 결정적 영향을 미친다는 점을 시사한다.

 

 

행복의 조건, 성적·계층 따라 달라진다

 

행복 요인에 대한 세부 응답을 보면, 학업 성적 하위권 청소년은 ‘삶의 목표·꿈’(36.5%), ‘집’(30.0%)의 비중이 높았고, 가정 경제 하위층은 ‘정신력·멘탈’(31.0%)을 상대적으로 더 중시했다. 이는 경제적 기반이 부족할수록 내적 동기와 정신적 안정에 대한 요구가 커진다는 점을 보여준다.

 

10대의 행복, ‘경제력’이 최우선 가치로


이번 조사는 10대 청소년들이 행복의 조건으로 무엇보다 ‘경제력’을 꼽는 현실적이고 냉정한 인식 변화를 보여준다. 가족, 친구, 외모, 꿈보다 ‘재산’이 앞서는 현상은 사회 전반의 불평등, 계층 이동의 어려움, 미래 불확실성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한 결과로 해석된다.

 

전문가들은 “청소년이 꿈과 목표보다 경제적 안정에 더 높은 가치를 두는 현상은 우리 사회가 풀어야 할 중요한 과제”라고 지적한다.

배너
배너
배너

관련기사

61건의 관련기사 더보기


[랭킹연구소] 대통령실 참모진 재테크도 강남 불패?…공직자 보유 부동산 순위, 압구정현대>대치은마>서초삼풍>잠실엘스>대치미도>압구정한양 >올림픽선수촌 順

[뉴스스페이스=김희선 기자] 대한민국 대통령실 참모진의 부동산 보유 상황이 최근 공개된 가운데, 강남 3구(강남·서초·송파) 아파트 소유가 집중적으로 드러나 논란이 되고 있다. 대통령실 현직 참모진 31명의 36%가 강남 3구에 부동산을 보유했다는 통계가 나왔다. 대통령실 참모진 31명 중 11명(35.5%)이 본인 또는 배우자 명의로 서울 강남·서초·송파구에 고가 아파트를 소유하고 있다. 평균 재산은 22억원을 넘으며, 60억원 상위 보유자도 존재한다. 예를 들어, 김상호 비서관은 서울 광진구 아파트와 40억원대 대치동 다세대주택 여러 채를 부부 공동명의로 소유하고 있다.​​ 게다가 최근 발표된 주요 단지별 공직자 소유 현황을 보면, 이들이 보유한 아파트의 TOP10이 모두 강남3구에 소재하고 있었다. 1위는 압구정현대 아파트로 29명이 소유, 2위는 대치동 은마 아파트, 3위는 서초동 삼풍아파트로 조사됐다. 공동 4위는 잠실 엘스, 대치동 미도아파트, 공동 6위는 압구정 한양아파트와 방이동 올림픽선수기자촌 아파트가 차지했다. 공동 8위는 가락동 헬리오시티, 서초동 아크로비스타, 디에이치퍼스티어아이파크로 나타났다. 비서울 아파트 중 공직자가 많이 보유한 아

[랭킹연구소] 10.15 부동산 대책 이후 가장 핫한 지역은?…화성·부천·파주·구리·의정부·송파·평택·남양주·고양·시흥·안산·군포·김포·양주·용인 順

[뉴스스페이스=최동현 기자] 지난 10월 15일 발표된 정부의 강력한 부동산 규제 대책 이후, 수도권 지역 간 집값과 거래량 양극화 현상이 뚜렷하게 나타나고 있다. 10월 국토교통부 실거래가 통계에 따르면, 화성시와 부천시, 파주시 등 경기도 일부 지역에서 매매 거래량이 오히려 큰 폭으로 증가했으나, 서울 전역에서는 아파트 거래량이 약 80% 급감한 것으로 나타났다. 화성시는 10월 1일부터 14일까지 일평균 23건의 매매 거래에서 10월 20일부터 31일까지 39건으로 68% 이상 거래량이 증가했다. 부천시도 같은 기간 일평균 9건에서 13건으로 52% 늘었고, 파주시는 44%, 구리시는 42% 증가한 것으로 집계됐다. 이는 10.15 대책이 서울과 경기도 주요 지역에 토지거래허가구역과 투기과열지구 지정, 대출 제한 강화 등 강도 높은 규제를 시행하면서 상대적으로 규제에서 벗어난 일부 외곽지역에 수요가 쏠리는 '풍선효과'가 현실화된 결과로 분석된다. 반면, 서울의 경우 10·15 대책 이후 3주간 아파트 매매 건수가 7916건에서 1673건으로 78.9%나 감소하는 등 매매 심리가 급격히 위축됐다. 이에 따라 서울 전역의 아파트 매매가격 상승률도 10월 셋

[랭킹연구소] 美 CNN, '세계 50대 빵’…韓 계란빵·佛 바게트·伊 치아바타·日 카레빵·中 샤오빙 '선정'

[뉴스스페이스=김희선 기자] 미국 CNN이 2025년 10월 18일 발표한 ‘세계 50대 빵’ 명단에 한국 대표 빵으로 ‘계란빵(Gyeran-ppang)’이 이름을 올렸다. CNN은 계란빵을 “1인분 크기의 빵 안에 계란 한 알이 통째로 들어가 있어 빵 속에 보물이 숨겨진 것 같다”며 “서울 길거리에서 아침 식사나 하루 중 언제든지 따뜻하게 즐기는 인기 메뉴”라고 소개했다.​ 계란빵 선정 기준에 대해서는 페이스트리 셰프 출신 작가 젠 로즈 스미스가 “나라별 다양성, 기억에 남는 맛, 독특한 재료, 상징적인 의미, 먹을 때 주는 소박하고 따뜻한 즐거움”을 반영했다고 밝혔다. 이날 명단에는 한국 외에도 프랑스 바게트, 이탈리아 치아바타, 일본 카레빵, 미국 비스킷, 멕시코 토르티야, 중국 샤오빙 등 50개국 대표 빵이 포함됐다.​ 50국 대표 빵을 뽑으며 알파벳 순(나라 이름)으로 정렬했을 뿐, 순위를 따로 두진 않았다. 계란빵의 고향은 인천으로, 인천 미추홀구 인하대학교 후문이 원조 판매지다. 인하대 후문 ‘원조통계란영양빵’ 가게는 1984년 11월 문을 열었으며, 당시 100원부터 판매를 시작했다. 이 가게는 40년 가까이 지역 학생들과 지역 주민들의 사랑을

[랭킹연구소] 한국, 남자 성별 성비 105 "남아선호 역사 속으로"…남아출생비 최상위권 국가, 중국·아제르바이잔·베트남·알바니아 順

[뉴스스페이스=김혜주 기자] 한국의 남아 출생 성비가 생물학적 자연 기준인 100명당 103~107명에 거의 근접했으며, 최근 수년간 남아선호 사상이 급격히 약화된 것으로 조사됐다. 반면 아시아 일부 국가에서는 여전히 남아 출생이 현저하게 높은 나라들이 존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통계청에 따르면 2023년 기준 한국의 출생 성비는 여아 100명당 남아 105.1명으로 나타나 전년 대비 0.4명 증가했지만, 정상범위(103~107명) 내에서 안정적으로 유지되고 있다. 1990년에는 116.5명이었으나, 지속적으로 하락하며 2020년 104.9명, 2022년 104.7명까지 떨어졌다. 첫째아, 둘째아, 셋째아 이상 모두 자연성비 범주에 속한다. 이에 대해 "남아선호 풍조가 역사 속으로 사라졌다"는 분석까지 나왔다. 실제로 사회적 인식은 '딸 선호'로 전환되고 있다는 조사 결과도 많다.​ 남아 출생비율 높은 국가 현황 유엔 인구통계자료에 따르면, 아시아권을 중심으로 여전히 남아 출생성비가 자연치보다 크게 높은 국가들이 있다. 유엔의 2000~2020년 데이터에 따르면 아제르바이잔·중국이 115명, 베트남이 111명, 알바니아도 불균형 국가로 분류된다. 일부에서는

[랭킹연구소] 일본 미식가 꼽은 라면 TOP3 '불닭볶음면·신라면’ 아니었다...싱가포르 락사라면·대만의 만한대찬 파우육면·농심의 오징어짬뽕 順

[뉴스스페이스=김희선 기자] 일본의 요리 연구가, 음식문화 전문가, 즉석면 마니아들이 참여해 라면의 맛, 면발의 식감, 국물의 향 등을 종합적으로 심사해 라면 순위 TOP10을 뽑았다. 니케이(Nikkei) 신문 주말판 '닛케이 플러스원'이 발표한 2025년 아시아 즉석면 TOP10에서 한국 농심의 ‘오징어짬뽕’이 3위를 차지했다. 1위는 싱가포르의 락사라면, 2위는 대만의 만한대찬 파우육면이 이름을 올렸다. 오징어짬뽕은 자극적인 매운맛이 특징인 기존 한국 라면들과 달리 해물 베이스의 시원하고 깔끔한 맛이 핵심 강점으로 평가받았다. 이들은 오징어짬뽕에 대해 “쫄깃한 굵은 면발이 해물탕과 같다” “면발의 찰기와 깊은 해물 국물 맛이 밥과 완벽한 궁합”이라고 호평했다. 농심은 오징어 추출물과 해물 페이스트를 사용해 인공조미료를 최대한 배제하고, 국물의 감칠맛은 유지하면서 나트륨 함량은 낮춘 점을 강점으로 내세웠다. 오징어짬봉의 면발은 일반 라면보다 두껍고 탄력 있어 국물을 잘 흡수하며, 건조 오징어와 야채가 식감을 더해 준다. 한국 라면은 신라면과 불닭볶음면 등 매운맛을 내세운 제품들로 세계적인 명성을 얻어왔으나, 오징어짬뽕은 기존의 매운맛 트렌드를 넘어 새로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