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스페이스=김문균 기자] 국내 500대 기업의 영업이익이 올 3분기까지 약 13% 증가한 반면, 이들 기업의 기부금은 약 3% 늘어나는데 그친 것으로 나타났다. 시간이 갈수록 기업의 사회적 책임이 강조되고 있지만, 글로벌 경제의 불확실성이 가중되는 상황에서 주요 기업들이 기부금을 줄인 것으로 조사됐다. 11월 19일 기업데이터연구소 CEO스코어(대표 조원만)가 매출 상위 500대 기업 중 3분기 보고서에 기부금 내역을 공시한 218개 기업(금융업 제외)을 조사한 결과, 이들 기업의 올 3분기 누적 기부금 총액은 1조1652억원으로 집계됐다. 이는 전년 동기 1조1244억원 대비 3.6%(408억원) 증가한 수치다. 반면, 같은 기간 이들 기업의 누적 영업이익은 125조8429억원에서 142조2897억원으로 16조4468억원(13.1%) 급증했다. 글로벌 경기호조로 기업의 수익성은 두 자릿수 성장을 기록했지만, 기부금 증가율은 이에 한참 못 미치는 3%대에 그친 것이다. 조사 대상 기업 중 올 3분기 누적 기부금이 가장 많은 곳은 삼성전자로, 총 1104억원을 기부했다. 하지만 이는 전년 동기(1412억원) 대비 308억원 감소한 수치다. 2위인 한국전력공
[뉴스스페이스=김혜주 기자] 전 세계 43개국 거주자들의 통근 시간을 비교 분석한 결과, 한국인의 평균 통근 시간이 1시간 48분으로 가장 긴 것으로 확인됐다. 최근 스페인 바르셀로나 자치대학교와 캐나다 맥길대학교 공동 연구팀이 이같은 결과를 밝혔다 한국의 통근시간은 전 세계 평균 통근 시간 1시간 8분과 비교하면 약 1.5배 길며, 이는 모로코(48분)와는 무려 1시간 차이다. 2위는 라트비아(1시간 39분), 3위 룩셈부르크(1시간 33분), 4위 튀니지(1시간 32분), 5위 브라질(1시간 30분)이 뒤를 이었다. 주요 국가 중 영국은 1시간 27분, 미국 1시간 21분, 일본 1시간 17분으로 한국보다 짧았다. 근로자의 긴 통근 시간이 건강에 미치는 부정적 영향은 여러 연구에서 공통적으로 보고됐다. 국내 임금 근로자 약 3만명을 대상으로 한 대한의학회 국제학술지 JKMS 연구는 통근 시간이 60분을 넘을 경우 스트레스, 우울증, 불안 증가 및 웰빙 감소와 관련이 있다고 밝혔다. 영국 케임브리지 대학 연구 역시 통근 시간이 1시간 이상인 근로자가 30분 이하인 근로자보다 우울증 발생률이 33%, 비만 위험이 21% 더 높다고 분석했다. 중국 하얼빈
[뉴스스페이스=윤슬 기자] 실리콘밸리에서 열린 비공식 설문조사에서 AI 스타트업 퍼플렉시티가 '가장 먼저 무너질 가능성이 큰 AI 기업' 1위에 올랐으며, 2위는 AI 챗봇 시장을 선도하는 오픈AI가 차지했다. 이 설문은 현지 300여명의 AI 창업가와 투자자를 대상으로 했다. 또한 오픈AI는 '가장 투자하고 싶은 비상장 AI 기업' 2위로도 선정돼, 동시에 불안과 기대를 상징하는 위치에 놓였다. 오픈AI의 경우 챗GPT 등 AI 기술과 인재에서 글로벌 선도적 평가를 받고 있으나, 올해 1조~1조4000억 달러 규모의 AI 인프라 장기계약과 순환거래 구조(오픈AI, 엔비디아, AMD, AWS, 마이크로소프트 등)에서 기인한 높은 재무 부담이 우려 요인으로 작용한 것으로 분석된다. 오픈AI의 2025년 상반기 매출은 43억 달러로 전년 대비 16% 증가했지만, 25억 달러 규모의 연구개발 비용으로 적자를 지속하고 있다. 연간 목표 매출은 약 130억 달러에 달한다. 퍼플렉시티는 실시간 웹 검색과 AI 답변엔진을 기반으로 공격적인 성장세를 보이고 있는 스타트업이다. 최근 최대 500억 달러 밸류에이션 제안을 받았으나, 저작권 및 상표권 소송 그리고 아마존과의
[뉴스스페이스=최동현 기자] 국내 500대 기업의 지난 3분기 매출은 전년 동기 대비 5.8% 증가에 그쳤으나, 영업이익은 22.4%나 늘어났다. 반도체 업황 호조로 SK하이닉스가 역대 최대 분기 영업이익을 기록했다. 지난해 유가 약세로 적자를 본 석유화학 업종은 흑자전환했으며, 조선‧기계‧설비 업종도 전년 동기 대비 72.3%의 높은 증가율을 기록했다. 11월 16일 기업데이터연구소 CEO스코어(대표 조원만)가 국내 매출 500대 기업 중 지난 14일까지 분기보고서를 제출한 339개사를 대상으로 올 3분기(7월~9월) 실적을 조사한 결과, 이들 기업의 3분기 영업이익은 73조2047억원으로 전년동기(59조7992억원) 대비 13조4055억원(22.4%) 증가했다. 이들 기업의 3분기 매출액도 831조1613억원으로 전년동기(785조8194억원) 대비 45조3419억원(5.8%) 늘었다. 기업별로 보면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의 영업이익 규모가 컸다. 특히 이들은 반도체 업황 호조에 힘입어 전년 동기 대비 큰 폭의 성장률을 기록했다. 삼성전자의 올해 3분기 영업이익은 전년동기(9조1834억원) 대비 2조9827억원(32.5%) 늘어난 12조1661억원을 기록했
[뉴스스페이스=김혜주 기자] 2025년 중반까지 그리스는 국제 관광객 도착이 22.4%나 증가하며 스페인(14.9%), 포르투갈(20.4%), 이탈리아(13.5%) 등 유럽 주요 관광국을 크게 앞서 유럽에서 가장 빠르게 성장하는 관광지로 부상했다. 유럽여행위원회(European Travel Commission)가 발표한 최신 보고서 "European Tourism: Trends & Prospects"에 따르면, 그리스는 경쟁력 있는 가격과 다양한 관광 경험, 그리고 과밀 관광지에 대한 효과적인 대안으로서의 위치를 통해 유럽 관광 회복의 선두 주자로 자리매김했다. Bank of Greece, Travel and Tour World, Greek Reporter에 따르면, 그리스 관광은 특히 독일 관광객들이 경제성과 안전 문제로 터키를 재고하면서 크게 호황을 맞았다. 경쟁력 있는 가격과 문화 체험, 아름다운 자연 경관이 혼합된 그리스는 예산 중심 여행객에게 매력적인 대안으로 작용하며 방문객 증가를 견인했다. 유럽여행위원회 자료에 따르면, 전체 여행자의 28%가 극심한 날씨와 혼잡함, 높은 물가를 피해 여행 날짜를 조정하고 있으며, 이러한 변화가 그리스의
[뉴스스페이스=김혜주 기자] 우리나라 사람들이 가장 많이 사용하는 재테크 앱 1위는 업비트, 2위는 영웅문S#로 조사됐다. 실시간 앱·결제 데이터 기반 시장/경쟁사 분석 솔루션 와이즈앱·리테일이 주요 재테크(증권거래, 가상화폐 거래, 부동산 정보) 앱의 월간 활성 사용자 수(MAU)를 조사해 12일 발표했다. 와이즈앱·리테일이 한국인 스마트폰 사용자(Android + iOS)를 표본 조사한 결과, 2025년 10월 한국인이 가장 많이 사용한 재테크 앱은 ‘업비트’로, 월간 사용자 수 468만명을 기록했다. 그 뒤를 이어 키움증권 영웅문S# 333만명, 미래에셋증권 330만명, KB증권 264만명, 삼성증권 261만명, 빗썸 250만명, 한국투자증권 232만명, 호갱노노 231만명, 나무증권 216만명, 직방 145만명, 신한SOL증권 140만명, Pi Network 101만명, 다방 75만명, 아파트 실거래가 64만명, KB부동산 60만명, 하나증권 60만명, NH투자증권 59만명, 네이버 부동산 58만명, 유안타증권 47만명, 코인원 46만명 순으로 나타났다. 한편, 업비트는 지난 10월 사용자뿐만 아니라 실행횟수도 가장 많은 재테크 앱이었으며, 키움증권
[뉴스스페이스=조일섭 기자] 코스피가 연일 상승곡선을 그리며 ‘4000피 시대’를 열어젖혔지만, 주요 상위 그룹으로의 시가총액 쏠림 현상이 더욱 심화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산업간 경기 흐름이 엇갈리면서 그룹별 시가총액 순위가 급변해 반도체·조선·방산·원자력·전력 계열사를 보유한 그룹들이 상위권으로 부상한 가운데, 5대 그룹이 전체 증시 시총의 절반 이상을 차지하는 ‘대형주 집중’이 가속화됐다. 연초 대비 시총 증가율이 가장 높은 그룹은 효성이었다. 11월 11일 리더스인덱스(대표 박주근)가 91개 대기업집단에 소속된 상장사 368개의 시가총액을 올해 1월 2일과 11월 3일 종가 기준으로 비교 분석한 결과, 전체 시가총액은 1661조7387억원에서 3030조5177억원으로 82.4% 증가했다. 불과 10개월 만에 1369조원 가까이 늘어난 것이다. 같은 기간 한국 증권 시장 전체 시총(코스피·코스닥·코넥스 포함)은 2310조9938억원에서 3963조1134억원으로 71.5% 증가했다. 이 가운데 시총 상위 5대 그룹(삼성·SK·현대차·LG·HD현대)이 차지하는 비중은 연초 45.9%에서 52.2%로 6.3%포인트(p) 상승, 전체의 절반을 넘어서며 대형 그룹
[뉴스스페이스=김희선 기자] 대한민국 대통령실 참모진의 부동산 보유 상황이 최근 공개된 가운데, 강남 3구(강남·서초·송파) 아파트 소유가 집중적으로 드러나 논란이 되고 있다. 대통령실 현직 참모진 31명의 36%가 강남 3구에 부동산을 보유했다는 통계가 나왔다. 대통령실 참모진 31명 중 11명(35.5%)이 본인 또는 배우자 명의로 서울 강남·서초·송파구에 고가 아파트를 소유하고 있다. 평균 재산은 22억원을 넘으며, 60억원 상위 보유자도 존재한다. 예를 들어, 김상호 비서관은 서울 광진구 아파트와 40억원대 대치동 다세대주택 여러 채를 부부 공동명의로 소유하고 있다. 게다가 최근 발표된 주요 단지별 공직자 소유 현황을 보면, 이들이 보유한 아파트의 TOP10이 모두 강남3구에 소재하고 있었다. 1위는 압구정현대 아파트로 29명이 소유, 2위는 대치동 은마 아파트, 3위는 서초동 삼풍아파트로 조사됐다. 공동 4위는 잠실 엘스, 대치동 미도아파트, 공동 6위는 압구정 한양아파트와 방이동 올림픽선수기자촌 아파트가 차지했다. 공동 8위는 가락동 헬리오시티, 서초동 아크로비스타, 디에이치퍼스티어아이파크로 나타났다. 비서울 아파트 중 공직자가 많이 보유한 아
[뉴스스페이스=최동현 기자] 지난 10월 15일 발표된 정부의 강력한 부동산 규제 대책 이후, 수도권 지역 간 집값과 거래량 양극화 현상이 뚜렷하게 나타나고 있다. 10월 국토교통부 실거래가 통계에 따르면, 화성시와 부천시, 파주시 등 경기도 일부 지역에서 매매 거래량이 오히려 큰 폭으로 증가했으나, 서울 전역에서는 아파트 거래량이 약 80% 급감한 것으로 나타났다. 화성시는 10월 1일부터 14일까지 일평균 23건의 매매 거래에서 10월 20일부터 31일까지 39건으로 68% 이상 거래량이 증가했다. 부천시도 같은 기간 일평균 9건에서 13건으로 52% 늘었고, 파주시는 44%, 구리시는 42% 증가한 것으로 집계됐다. 이는 10.15 대책이 서울과 경기도 주요 지역에 토지거래허가구역과 투기과열지구 지정, 대출 제한 강화 등 강도 높은 규제를 시행하면서 상대적으로 규제에서 벗어난 일부 외곽지역에 수요가 쏠리는 '풍선효과'가 현실화된 결과로 분석된다. 반면, 서울의 경우 10·15 대책 이후 3주간 아파트 매매 건수가 7916건에서 1673건으로 78.9%나 감소하는 등 매매 심리가 급격히 위축됐다. 이에 따라 서울 전역의 아파트 매매가격 상승률도 10월 셋
[뉴스스페이스=김희선 기자] 미국 CNN이 2025년 10월 18일 발표한 ‘세계 50대 빵’ 명단에 한국 대표 빵으로 ‘계란빵(Gyeran-ppang)’이 이름을 올렸다. CNN은 계란빵을 “1인분 크기의 빵 안에 계란 한 알이 통째로 들어가 있어 빵 속에 보물이 숨겨진 것 같다”며 “서울 길거리에서 아침 식사나 하루 중 언제든지 따뜻하게 즐기는 인기 메뉴”라고 소개했다. 계란빵 선정 기준에 대해서는 페이스트리 셰프 출신 작가 젠 로즈 스미스가 “나라별 다양성, 기억에 남는 맛, 독특한 재료, 상징적인 의미, 먹을 때 주는 소박하고 따뜻한 즐거움”을 반영했다고 밝혔다. 이날 명단에는 한국 외에도 프랑스 바게트, 이탈리아 치아바타, 일본 카레빵, 미국 비스킷, 멕시코 토르티야, 중국 샤오빙 등 50개국 대표 빵이 포함됐다. 50국 대표 빵을 뽑으며 알파벳 순(나라 이름)으로 정렬했을 뿐, 순위를 따로 두진 않았다. 계란빵의 고향은 인천으로, 인천 미추홀구 인하대학교 후문이 원조 판매지다. 인하대 후문 ‘원조통계란영양빵’ 가게는 1984년 11월 문을 열었으며, 당시 100원부터 판매를 시작했다. 이 가게는 40년 가까이 지역 학생들과 지역 주민들의 사랑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