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10.14 (화)

  • 흐림동두천 15.1℃
  • 흐림강릉 15.7℃
  • 흐림서울 16.5℃
  • 흐림대전 19.4℃
  • 흐림대구 19.1℃
  • 흐림울산 19.5℃
  • 흐림광주 22.1℃
  • 흐림부산 21.7℃
  • 구름많음고창 23.2℃
  • 맑음제주 26.3℃
  • 흐림강화 15.4℃
  • 흐림보은 18.0℃
  • 구름많음금산 19.7℃
  • 흐림강진군 23.0℃
  • 흐림경주시 18.6℃
  • 흐림거제 21.8℃
기상청 제공

산업·유통

불황에 렌터카·중고차 시장 ‘함박웃음’…완성차 업체들은 ‘울상’

 

[뉴스스페이스=조일섭 기자] 경기 불황과 고금리, 신차 가격 급등의 여파로 국내 자동차 시장의 판도가 급변하고 있다. 소비자들이 신차 구매 대신 렌터카와 중고차로 눈을 돌리면서 렌터카와 중고차 시장은 사상 최대 호황을 맞고 있지만, 완성차 업체들은 매출 성장 둔화와 시장 점유율 정체에 직면했다.

 

렌터카·중고차 시장, 사상 최대 성장세


한국렌터카사업조합연합회에 따르면, 올해 1분기 기준 국내 렌터카 등록대수는 110만7070대로, 1년 전보다 4만대 이상 증가하며 역대 최고치를 기록했다. 2년 전 8조5000억원이던 국내 렌터카 시장은 내년 10조4000억원으로 사상 처음 10조원을 돌파할 전망이다.

 

렌터카 업계 1위 롯데렌탈은 2025년 1분기 매출 6856억원, 영업이익 670억원을 기록해 전년 대비 각각 4.4%, 17.8% 증가했다. SK렌터카도 같은 기간 매출 3572억원, 영업이익 402억원(영업이익률 11.3%)을 달성하며 호실적을 이어갔다. 특히 롯데렌탈의 개인 장기렌터카 매출 비중은 2023년 25.7%에서 올해 1분기 57%로 급증했다.

 

중고차 시장도 마찬가지다. 지난해 국내 중고차 거래량은 253만9874대로 신차(164만5998대) 대비 1.54배 많았고, 시장 규모는 2022년 30조원대에서 2025년 50조원까지 성장할 것으로 전망된다. 중고차 플랫폼 케이카는 올해 1분기 매출 6047억원, 영업이익 215억원으로 분기 기준 최대 실적을 기록했다. 영업이익도 21.8% 증가했다.

 

완성차 업체, 신차 판매 둔화·중고차 시장 진입도 ‘지지부진’

 

반면, 완성차 업체들은 신차 판매 부진과 중고차 시장 진입 효과의 제한으로 웃지 못하고 있다.

 

현대차·기아는 2025년 5월 중고차 시장 점유율 제한(현대차 4.1%, 기아 2.9%)이 해제되면서 본격 진출을 선언했지만, 실제 판매 실적은 기대에 미치지 못했다. 현대차는 인증 중고차 사업 개시 100일 동안 1057대, 같은 기간 총 1555대(경매 포함)를 판매하는 데 그쳤다. 올해 목표치인 1만5000대에도 크게 못 미치는 수준이다.

 

완성차 업체들은 고품질 인증 중고차, 책임 환불제, 보상판매 등 다양한 전략을 내세우고 있지만, 가격경쟁력과 물량 확보에서 렌터카·중고차 플랫폼에 비해 우위를 점하지 못하고 있다. 중고차 가격 상승 우려와 중소업체 입지 축소 등 시장 내 불안요인도 상존한다.

 

렌터카·중고차 강세 속 완성차 업체 ‘전략 전환’ 시급


렌터카와 중고차 시장의 성장세는 당분간 지속될 전망이다. 소비자들이 차량을 소유하기보다 ‘이용’에 초점을 맞추고, 합리적 소비 트렌드가 확산되면서 렌터카·중고차 기업들은 실적 개선과 신사업 확장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반면, 완성차 업체들은 신차 판매 둔화와 중고차 시장 내 존재감 확대라는 ‘이중고’에 직면했다.

 

자동차 업계 관계자는 “불황이 길어질수록 렌터카와 중고차 시장의 성장세는 더 가팔라질 것”이라며 “완성차 업체들도 시장 변화에 맞는 전략적 전환이 시급하다”고 말했다.

배너
배너
배너

관련기사

93건의 관련기사 더보기


팔란티어 알렉스 카프, KT 김영섭 회장과 회동…"사내 적용 성과 기반으로 산업계 확산 본격화"

[뉴스스페이스=조일섭 기자] KT가 글로벌 AI 플랫폼 기업 팔란티어와 한국에서 첫 CEO 회동을 갖고, 사내 적용 성과를 바탕으로 국내 산업 전반에 팔란티어 플랫폼을 확산시키기 위한 방안을 논의했다고 14일 밝혔다. 지난 3월 KT는 팔란티어와의 파트너십 체결을 통해 국내에서 최초로 팔란티어의 ‘프리미엄 파트너’ 지위에 올랐다. 팔란티어는 KT의 대한민국 AX 산업 환경에 대한 이해도와 우수한 네트워크를 통해 국내 시장의 문을 두드린다. KT 김영섭 대표와 팔란티어 알렉스 카프 CEO는 KT 광화문 빌딩에서 다시 만나 그간 추진한 팔란티어 플랫폼 적용 성과를 점검하고 이를 국내 기업에 확산하기 위한 실행 전략을 재정비했다. KT는 알렉스 카프 CEO 방한을 맞이해 제2회 ‘AX 리더 써밋(AX Leader Summit)’도 개최했다. AX 리더 써밋은 각 산업에서 AX 흐름을 선도하는 대기업 경영 리더들과 글로벌 경영 리더 간의 포럼이다. 이번 행사에는 대한항공 우기홍 부회장, 메리츠금융지주 김용범 부회장, LS일렉트릭 구자균 회장, 포스코홀딩스 이주태 대표이사 등이 참석해 세계적인 불확실성 속에서 산업별 대응 방안을 고민하고 팔란티어 알렉스 카프 CEO와

[이슈&논란] '태광산업 자사주 EB 반대'한 트러스톤, 쿠쿠홀딩스· KG에코솔루션 자사주 EB 투자 '이중잣대' 논란

[뉴스스페이스=김희선 기자] 행동주의 펀드인 트러스톤자산운용이 태광산업의 대규모 자사주 교환사채(EB) 발행을 강하게 반대하며 "주주가치 훼손"이라 비판했으나, 정작 쿠쿠홀딩스와 KG에코솔루션 등 다른 기업들이 발행한 자사주 EB에는 적극 투자해 이중잣대 논란이 불거지고 있다. 태광산업은 2025년 6월 약 3200억원 규모의 자사주 EB를 발행하려다 트러스톤의 법적 제동과 금융당국의 제재로 인해 발행을 잠정 중단했다. 트러스톤은 "태광산업이 현금성 자산 2조원에 가까운 상태임에도 자사주 24.41% 전량을 EB 담보로 사용해 주주가치를 훼손하고, 주식 소각을 회피해 우호 세력 지분 이전을 통한 경영권 방어 의도가 뚜렷하다"고 비판했다. 실제로 자사주 소각은 주당 가치를 높이는 버튼이지만 EB 발행은 미래 매물 부담과 주가 하락 위험을 수반하는 셈이다.​ 하지만 14일 연합인포맥스 보도에 따르면, 트러스톤이 투자한 쿠쿠홀딩스는 전체 발행주식 대비 12.6%에 달하는 448만여주의 자사주를 보유하고 있으며, 약 903억원 규모(최근 시가 기준 1500억원대)의 EB 발행을 추진 중이다. 쿠쿠홀딩스 EB 조건은 태광산업과 유사하게 0% 이자와 2년 내 원금상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