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9.29 (월)

  • 맑음동두천 25.8℃
  • 구름조금강릉 27.3℃
  • 맑음서울 26.6℃
  • 구름많음대전 25.0℃
  • 흐림대구 22.6℃
  • 흐림울산 23.8℃
  • 구름많음광주 24.8℃
  • 흐림부산 27.2℃
  • 구름조금고창 25.2℃
  • 제주 24.5℃
  • 맑음강화 25.7℃
  • 구름많음보은 24.4℃
  • 구름많음금산 25.9℃
  • 구름많음강진군 26.3℃
  • 흐림경주시 22.1℃
  • 구름많음거제 25.3℃
기상청 제공

우주·항공

금성·목성, 7년 만에 만난다···천체근접 '우주쇼', 3월에 풍성

3월2일 저녁 금성과 목성이 붙은 듯이 접근한다. [MBC 방송화면]

 

[뉴스스페이스=김시민 기자] 3월2일 저녁 금성과 목성이 붙은 듯이 접근해 함께 빛난다. 

 

두 천체 근접은 2016년 8월 이후 7년만으로, 이번 기회를 놓치면 17년 후에야 다시 볼 수 있다.

 

두 별의 만남은 해가 진 뒤 오후 7시부터 지평선 아래로 사라질 때까지 1시간 반가량 이어질 예정이다.

 

지상에서 행성을 눈으로 관측할 때 보이는 하늘 상의 거리를 '각거리'라 하는데, 이번 금성과 목성의 만남은 보름달 크기 정도의 각거리인 0.5도까지 가까워져, 지상에서는 두 행성이 마치 하나가 된 듯 보인다.

 

2일 초저녁에는 금성과 목성이 만나고, 24일 저녁에는 금성과 달도 근접하는 모습도 볼 수 있다. 달과 금성의 각거리는 최대 0.3도까지 가까워져 쌍안경이나 망원경으로 금성이 초승달과 거의 붙어 보이는 모습을 볼 수 있다.

 

제주에서는 금성이 달 뒤로 숨는 엄폐 현상도 나타난다.

 

배너
배너
배너

관련기사

62건의 관련기사 더보기


[우주AtoZ] 서울대, 2035년 AI 우주정거장 발사 목표…K-우주 견인하는 '우주융합기술관' 건립한다

[뉴스스페이스=이종화 기자] 서울대학교가 2035년 무인 AI 기반 우주정거장 발사라는 혁신적 목표를 내걸고 대한민국 우주산업 생태계 활성화에 박차를 가한다. 2026년부터 시작되는 '우주융합기술관' 건립 사업에는 총 6년간 481억원이 투입될 예정이며, 이 기술관은 1979년 준공된 풍동실험동1(40동)을 증개축해 연면적 8280㎡ 규모로 새롭게 탈바꿈한다. 우주융합기술관에는 서울대 ‘우주연구단’(가칭), AI 우주기술연구센터, 국방공학센터 등이 입주해 첨단공학·AI·기초과학·의학·법·정책 등 융복합 연구와 고급 우주 인재 양성에 집중한다. 특히 한화에어로스페이스와 LIG넥스원 등 국내 방위산업 대표기업, 미국 스페이스플로리다, 독일 항공우주센터(DLR) 등과 국제 협력연구 공간도 마련, 본격적인 글로벌 공동연구 플랫폼 구축에 나섰다. 서울대가 목표로 하는 2035년 무인 AI 우주정거장은 바이오·반도체·의학·농업 등 첨단 우주 실증연구를 위한 핵심 플랫폼으로서, 우주 환경에서 생성되는 쓰레기를 회수하는 무인 우주 수송선도 운영될 예정이다. 이는 각국이 우주정거장 주권 경쟁을 벌이는 현실에서 한국이 도약을 위한 포석으로 평가된다. 우주강국 인도도 2035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