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11.17 (월)

  • 맑음동두천 6.1℃
  • 구름많음강릉 11.6℃
  • 맑음서울 5.2℃
  • 구름조금대전 6.9℃
  • 구름많음대구 10.2℃
  • 구름많음울산 10.9℃
  • 흐림광주 8.2℃
  • 구름조금부산 13.4℃
  • 흐림고창 7.3℃
  • 흐림제주 11.5℃
  • 맑음강화 4.4℃
  • 구름조금보은 6.0℃
  • 구름조금금산 7.6℃
  • 흐림강진군 9.4℃
  • 구름많음경주시 10.5℃
  • 구름많음거제 12.4℃
기상청 제공

우주·항공

尹 "우주경제, 무한한 기회…우주항공청 설립"

尹, 우주경제 전문가들 만나 "가능성이 현실되게 지원"
"우주는 기술 혁신·경제 성장·안보 핵심 동력"
"우주경제 시대 주도...우주항공청, 최고의 연구개발 플랫폼"

윤석열 대통령이 21일 서울 용산 대통령실 청사에서 열린 '꿈과 도전의 뉴스페이스 시대, 우주경제 개척자와의 대화'에서 발언하고 있다. [대통령실]

 

윤석열 대통령이 21일 우주항공청을 설립하고, 우주경제 시대를 열어가겠다고 밝혔다.

 

윤 대통령은 ‘우주 경제’를 선도하는 기업인·연구자·학생 등 40여 명과 만나 “우주는 무한한 기회를 열어줄 것”이라며 “가능성을 현실로 만들 수 있도록 정부가 든든한 파트너가 되겠다”고 말했다.

 

이날 용산 대통령실에서 열린 오찬 간담회에서 윤 대통령은 “우주는 기술 혁신과 경제 성장, 국가 안보를 이끌어가는 핵심 동력으로 주목받고 있다”며 “핵심 공약인 우주항공청을 최고 전문가 중심의 연구개발 플랫폼으로 만들어서 대한민국 우주경제 시대를 열어갈 것”이라고 했다. 

 

이어 "우주산업은 다양한 첨단기술 개발에 기여하고 통신 개선, 기상예보, 재난 관리 등 인류에게 더 나은 삶을 제공할 것"이라며 "우주경제가 창출하는 가치는 4000억 달러(2020년 OECD 회원국 기준 가치 창출 평가)를 넘어서 연관 효과까지 생각하면 어마어마한 경제적 가치를 만들어 낸다. 우주는 이미 기술 혁신과 경제 성장, 국가 안보를 이끌어가는 핵심 동력으로 주목받고 있다"고 말했다.

 

윤 대통령은 "불모지에 가까운 우주 분야에서 흔들리지 않고 대한민국의 우주산업을 키운 그 열정으로 우주경제 시대를 열어가자"며 "정부는 출범과 동시에 우주항공청의 설립을 준비해왔다. 우주항공청을 최고의 전문가 중심 연구개발 플랫폼으로 만들어 대한민국 우주경제의 시대를 열 것"이라고 밝혔다.

 

아울러 "여러분의 열정과 도전으로 대한민국이 30여년의 짧은 기간에 세계 7대 우주 강국으로 되어갈 수 있었다"며 "우주경제의 시대를 주도하기 위한 여정을 여러분과 함께하겠다"고 말했다.

 

윤 대통령은 오찬 간담회에 앞서 우주 스타트업과 경연대회 수상자들이 개발한 소형발사체, 모형로켓, 초소형위성, 캔위성, 위성영상 분석 소프트웨어, 달탐사로버 등 전시품을 둘러봤다. 윤 대통령은 달 탐사 로버를 왜 '로봇'이 아닌 '로버'로 부르는지, 전시된 액체 인공위성 소형발사체 몇 ㎞ 상공까지 쏠 수 있는지 등의 질문을 하며 관심을 보였다.

 

배너
배너
배너

관련기사

93건의 관련기사 더보기


[우주칼럼] 지구인이 외계인 찾기 시도한 날(11월 16일)…'아레시보'와 외계 생명체 교신 5W1H

[뉴스스페이스=이종화 기자] 11월 16일은 지구인들의 우주역사에서 의미있는 날이다. 외계인의 존재를 찾기위한 작은 몸짓을 시도한 날이기 때문이다. 1974년 11월 16일 푸에르토리코의 아레시보 천문대에서 인류는 최초로 외계 지적 생명체를 대상으로 한 전파 메시지를 발송했다. 이 메시지는 이때부터 '아레시보 메시지(Arecibo message)'로 알려지기 시작했다. 당시 코넬 대학교의 프랭크 드레이크 박사가 작성하고, 칼 세이건 등 과학자들의 협력을 통해 완성됐다. 1. 아레시보 메시지를 보낸 이유와 의미 아레시보 메시지는 외계 지적 생명체와의 교신을 위한 진지한 시도라기보다는, 당시 과학 기술의 발전을 기념하고 과시하기 위한 목적이 더 컸다. 메시지가 향한 허큘리스 대성단(M13)은 지구로부터 약 2만5000광년 떨어져 있어, 단순계산으로도 메시지가 도달하는 데만 2만5000년이 소요되며, 응답을 받기까지는 총 5만년이 걸린다. 실질적인 교신보다는 인류의 기술적 성과를 상징적으로 보여주는 이벤트였다. 메시지는 2380MHz 주파수 대역으로 초당 10비트의 속도로 전송됐으며, 총 전송 시간은 약 3분이었다. ​​ 메시지는 총 1,679비트의 이진수로 구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