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11.17 (월)

  • 맑음동두천 6.1℃
  • 구름많음강릉 11.6℃
  • 맑음서울 5.2℃
  • 구름조금대전 6.9℃
  • 구름많음대구 10.2℃
  • 구름많음울산 10.9℃
  • 흐림광주 8.2℃
  • 구름조금부산 13.4℃
  • 흐림고창 7.3℃
  • 흐림제주 11.5℃
  • 맑음강화 4.4℃
  • 구름조금보은 6.0℃
  • 구름조금금산 7.6℃
  • 흐림강진군 9.4℃
  • 구름많음경주시 10.5℃
  • 구름많음거제 12.4℃
기상청 제공

우주·항공

우주항공청 27일 개청…윤영빈 청장 등 임직원 110명 첫 출근

윤영빈 청장 "무거운 책임감 느껴…민간 주도 우주산업 육성"
직원들에 "오케스트라 지휘자 역할 하겠다…우리 일은 도전과 성취"

 

[뉴스스페이스=윤슬 기자] '한국판 NASA'를 표방하는 우주항공 전담 기관인 우주항공청(KASA)이 27일 출범했다.

 

윤영빈 우주항공청장은 경남 사천 사남면 임시청사로 출근하며 "수많은 우주항공인들이 염원해 온 우주항공청이 드디어 개청하게 돼 기쁘다"며 "설렘과 동시에 무거운 책임감을 느낀다"고 밝혔다.


윤 청장은 이날 청사 1층에서 개청 기념 직원 조회를 갖고, 경남 사천으로 이주해 온 직원들에게 감사와 격려를 전했다. 

 

 

우주항공청은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소속 중앙행정기관으로, 차관급 청장과 1급 공무원인 차장 1명, 우주항공임무본무장 1명 등 총 293명 정원으로 신설된다. 출범 초기에는 약 110명이 부임한다. 나머지 인력은 하반기에 추가 채용한다.

 

이날부터 윤 청장과 함께 노경원 과기정통부 연구개발정책실장이 차장으로, 존 리 전 미국 항공우주국(NASA) 본부장이 우주항공임무본부장으로 업무를 시작한다.

 

그는 "개개인의 능력과 역량이 최대한 잘 발휘될 수 있도록 적시·적소에 역할을 부여하고, 각자의 전문성이 확실한 성과로 이어질 수 있도록 오케스트라 지휘자와 같은 역할을 잘 수행해 나가겠다"고 다짐을 밝혔다.

 

이어 "진정한 우주기술강국이 되기 위해서는 관·민·학·연의 적극적인 협력과 노력이 필요하다"며 "명확한 중장기 우주개발 목표와 비전을 제시하고, 이를 뒷받침할 충분한 예산 확보와 전략 분야에 대한 과감한 투자도 필요하다"고 제시했다.

 

윤 청장은 "쟁쟁한 우주기술강국과 큰 무대에서 경쟁하고 협력하기 위해서는 보다 넓은 국제적 시야를 갖춰야 한다"며 "민간 주도의 우주항공산업 육성을 위해 정부와 민간 간의 신뢰를 형성하고, 긴밀한 파트너십도 구축해 나가자"고 당부했다.

배너
배너
배너

관련기사

93건의 관련기사 더보기


[우주칼럼] 지구인이 외계인 찾기 시도한 날(11월 16일)…'아레시보'와 외계 생명체 교신 5W1H

[뉴스스페이스=이종화 기자] 11월 16일은 지구인들의 우주역사에서 의미있는 날이다. 외계인의 존재를 찾기위한 작은 몸짓을 시도한 날이기 때문이다. 1974년 11월 16일 푸에르토리코의 아레시보 천문대에서 인류는 최초로 외계 지적 생명체를 대상으로 한 전파 메시지를 발송했다. 이 메시지는 이때부터 '아레시보 메시지(Arecibo message)'로 알려지기 시작했다. 당시 코넬 대학교의 프랭크 드레이크 박사가 작성하고, 칼 세이건 등 과학자들의 협력을 통해 완성됐다. 1. 아레시보 메시지를 보낸 이유와 의미 아레시보 메시지는 외계 지적 생명체와의 교신을 위한 진지한 시도라기보다는, 당시 과학 기술의 발전을 기념하고 과시하기 위한 목적이 더 컸다. 메시지가 향한 허큘리스 대성단(M13)은 지구로부터 약 2만5000광년 떨어져 있어, 단순계산으로도 메시지가 도달하는 데만 2만5000년이 소요되며, 응답을 받기까지는 총 5만년이 걸린다. 실질적인 교신보다는 인류의 기술적 성과를 상징적으로 보여주는 이벤트였다. 메시지는 2380MHz 주파수 대역으로 초당 10비트의 속도로 전송됐으며, 총 전송 시간은 약 3분이었다. ​​ 메시지는 총 1,679비트의 이진수로 구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