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9.30 (화)

  • 맑음동두천 25.8℃
  • 구름조금강릉 27.3℃
  • 맑음서울 26.6℃
  • 구름많음대전 25.0℃
  • 흐림대구 22.6℃
  • 흐림울산 23.8℃
  • 구름많음광주 24.8℃
  • 흐림부산 27.2℃
  • 구름조금고창 25.2℃
  • 제주 24.5℃
  • 맑음강화 25.7℃
  • 구름많음보은 24.4℃
  • 구름많음금산 25.9℃
  • 구름많음강진군 26.3℃
  • 흐림경주시 22.1℃
  • 구름많음거제 25.3℃
기상청 제공

우주·항공

토이스토리 실제모델 '우주복', 경매서 36억에 낙찰

아폴로 11호 우주복 경매서 36억

버즈 올드린의 우주복

 

우주복의 가격은 얼마정도일까? 

 

지난해 7월 닐 암스트롱과 함께 아폴로 11호에 탑승해 달을 밟았던 버즈 올드린의 재킷이 경매에서 미국의 우주 물품 경매 사상 최고가에 낙찰됐다.

 

미국 뉴욕타임스는 올드린의 재킷이 뉴욕 소더비 경매에서 277만2,500달러(당시 한화 약 36억4,200만원)에 낙찰됐다고 보도했다.

 

소더비 측은 "이 진귀한 옷은 약 10분 동안의 치열한 호가 경쟁을 거쳐 막판 전화 응찰자에게 팔렸다"고 강조했다.

 

소더비는 당초 우주복의 낙찰가를 최대 200만 달러(약 26억원) 수준으로 예상했다. 하지만 예상을 벗어나 10억원 더 높은 가격에 팔렸다.

 

낙찰자의 신원은 공개되지 않았다.

 

이번에 낙찰된 재킷은 올드린의 개인 소장품이다. 흰색 바탕에 미국 국기와 미 항공우주국의 영문 머리글자, 아폴로 11호의 우주여행 표식, 올드린의 이름표 등이 붙어 있다.

 

올드린은 1969년 7월 선장이었던 암스트롱과 함께 인류 최초로 달에 착륙한 인물이다. 현재는 아폴로 11호 승무원 중 유일하게 생존해 있다.

 

그는 달 표면을 최초로 밟은 암스트롱에 가려 한동안 주목을 받지 못했으나 영화 '토이 스토리' 속 '버즈 라이트이어'의 실제 모델로 알려지며 큰 인기를 얻었다.

 

배너
배너
배너

관련기사

47건의 관련기사 더보기


[우주AtoZ] 서울대, 2035년 AI 우주정거장 발사 목표…K-우주 견인하는 '우주융합기술관' 건립한다

[뉴스스페이스=이종화 기자] 서울대학교가 2035년 무인 AI 기반 우주정거장 발사라는 혁신적 목표를 내걸고 대한민국 우주산업 생태계 활성화에 박차를 가한다. 2026년부터 시작되는 '우주융합기술관' 건립 사업에는 총 6년간 481억원이 투입될 예정이며, 이 기술관은 1979년 준공된 풍동실험동1(40동)을 증개축해 연면적 8280㎡ 규모로 새롭게 탈바꿈한다. 우주융합기술관에는 서울대 ‘우주연구단’(가칭), AI 우주기술연구센터, 국방공학센터 등이 입주해 첨단공학·AI·기초과학·의학·법·정책 등 융복합 연구와 고급 우주 인재 양성에 집중한다. 특히 한화에어로스페이스와 LIG넥스원 등 국내 방위산업 대표기업, 미국 스페이스플로리다, 독일 항공우주센터(DLR) 등과 국제 협력연구 공간도 마련, 본격적인 글로벌 공동연구 플랫폼 구축에 나섰다. 서울대가 목표로 하는 2035년 무인 AI 우주정거장은 바이오·반도체·의학·농업 등 첨단 우주 실증연구를 위한 핵심 플랫폼으로서, 우주 환경에서 생성되는 쓰레기를 회수하는 무인 우주 수송선도 운영될 예정이다. 이는 각국이 우주정거장 주권 경쟁을 벌이는 현실에서 한국이 도약을 위한 포석으로 평가된다. 우주강국 인도도 2035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