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창윤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연구개발정책실장(오른쪽)과 허태근 국방부 국방정책실장이 7일 서울 종로구 회의실에서 열린 제1회 민군 우주협력 협의체 회의에서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이창윤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연구개발정책실장(오른쪽)과 허태근 국방부 국방정책실장이 7일 서울 종로구 회의실에서 열린 제1회 민군 우주협력 협의체 회의에서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data/photos/202304/455_417_444.jpg)
[뉴스스페이스=조일섭 기자] 우주개발을 위해 민간과 군이 힘을 합친다. 민군이 함께 우주산업 육성을 위해 손잡고 뉴스페이스 시대에 공동 대응한다는 방침이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국방부는 7일 ‘제1회 민군 우주협력 협의체 회의’를 개최했다.
이창윤 과기정통부 연구개발정책실장과 허태근 국방부 국방정책실장이 협의체 공동위원장을 맡았다. 이외에도 과기정통부와 국방부, 방위사업청, 한국항공우주연구원, 국방과학연구소, 국가우주정책연구센터 관계자가 협의체에 참여한다.
양 부처는 “전 세계 우주개발 속도와 혁신 경쟁 속에서 체계적이고 효율적인 우주개발을 위한 민군 협업의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다”며 “이런 상황에 맞춰 양 부처 고위급 협의체가 출범했다”고 밝혔다.
이날 회의에서는 우주산업 육성과 우주 자산 공동 활용, 관련 법·제도 개선 등 다양한 현안에 대한 토론이 진행됐다. 양 부처는 향후 협의체 회의를 정례적으로 개최해 국가 우주 역량을 집결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군 관계자는 "그동안 우주개발이 과기부(민간) 주도로 추진돼 왔는데, 이제는 증대되는 국방소요 등을 고려해 민군 우주협력 협의체를 출범하게 됐다"며 "국방우주개발이 보다 체계적이고 원활하게 추진될 수 있는 매개체의 역할을 해나갈 것이라는 데에 의미가 있다"고 말했다.
한편 국가우주정책연구센터 인사이트 보고서에 따르면 국방과 연관된 우주 안보 영역에는 △우주 무기 뿐 아니라 △군용지구 관측 위성 △군용 통신 위성 분야 등이 있다. 또 우주 안보 자산에 위협이 되는 상황을 종합적으로 모니터링하고 대처하는 △우주 상황 인식 △위성 활용 △발사체 이용 △사이버 보안 등 다양한 분야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