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11.17 (월)

  • 맑음동두천 6.1℃
  • 구름많음강릉 11.6℃
  • 맑음서울 5.2℃
  • 구름조금대전 6.9℃
  • 구름많음대구 10.2℃
  • 구름많음울산 10.9℃
  • 흐림광주 8.2℃
  • 구름조금부산 13.4℃
  • 흐림고창 7.3℃
  • 흐림제주 11.5℃
  • 맑음강화 4.4℃
  • 구름조금보은 6.0℃
  • 구름조금금산 7.6℃
  • 흐림강진군 9.4℃
  • 구름많음경주시 10.5℃
  • 구름많음거제 12.4℃
기상청 제공

우주·항공

민·군 '뉴스페이스' 위해 맞손···국방·과기·항우硏 등 우주협의체 출범

과기정통부·국방부, 제1회 민군 우주협력 협의체 회의 개최
우주산업 육성·우주 자산 활용 방안 논의

이창윤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연구개발정책실장(오른쪽)과 허태근 국방부 국방정책실장이 7일 서울 종로구 회의실에서 열린 제1회 민군 우주협력 협의체 회의에서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

 

[뉴스스페이스=조일섭 기자] 우주개발을 위해 민간과 군이 힘을 합친다. 민군이 함께 우주산업 육성을 위해 손잡고 뉴스페이스 시대에 공동 대응한다는 방침이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국방부는 7일 ‘제1회 민군 우주협력 협의체 회의’를 개최했다.

 

이창윤 과기정통부 연구개발정책실장과 허태근 국방부 국방정책실장이 협의체 공동위원장을 맡았다. 이외에도 과기정통부와 국방부, 방위사업청, 한국항공우주연구원, 국방과학연구소, 국가우주정책연구센터 관계자가 협의체에 참여한다.

 

양 부처는 “전 세계 우주개발 속도와 혁신 경쟁 속에서 체계적이고 효율적인 우주개발을 위한 민군 협업의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다”며 “이런 상황에 맞춰 양 부처 고위급 협의체가 출범했다”고 밝혔다.

 

이날 회의에서는 우주산업 육성과 우주 자산 공동 활용, 관련 법·제도 개선 등 다양한 현안에 대한 토론이 진행됐다. 양 부처는 향후 협의체 회의를 정례적으로 개최해 국가 우주 역량을 집결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군 관계자는 "그동안 우주개발이 과기부(민간) 주도로 추진돼 왔는데, 이제는 증대되는 국방소요 등을 고려해 민군 우주협력 협의체를 출범하게 됐다"며 "국방우주개발이 보다 체계적이고 원활하게 추진될 수 있는 매개체의 역할을 해나갈 것이라는 데에 의미가 있다"고 말했다.

 

한편 국가우주정책연구센터 인사이트 보고서에 따르면 국방과 연관된 우주 안보 영역에는 △우주 무기 뿐 아니라 △군용지구 관측 위성 △군용 통신 위성 분야 등이 있다. 또 우주 안보 자산에 위협이 되는 상황을 종합적으로 모니터링하고 대처하는 △우주 상황 인식 △위성 활용 △발사체 이용 △사이버 보안 등 다양한 분야가 있다.

 

배너
배너
배너

관련기사

44건의 관련기사 더보기


[우주칼럼] 지구인이 외계인 찾기 시도한 날(11월 16일)…'아레시보'와 외계 생명체 교신 5W1H

[뉴스스페이스=이종화 기자] 11월 16일은 지구인들의 우주역사에서 의미있는 날이다. 외계인의 존재를 찾기위한 작은 몸짓을 시도한 날이기 때문이다. 1974년 11월 16일 푸에르토리코의 아레시보 천문대에서 인류는 최초로 외계 지적 생명체를 대상으로 한 전파 메시지를 발송했다. 이 메시지는 이때부터 '아레시보 메시지(Arecibo message)'로 알려지기 시작했다. 당시 코넬 대학교의 프랭크 드레이크 박사가 작성하고, 칼 세이건 등 과학자들의 협력을 통해 완성됐다. 1. 아레시보 메시지를 보낸 이유와 의미 아레시보 메시지는 외계 지적 생명체와의 교신을 위한 진지한 시도라기보다는, 당시 과학 기술의 발전을 기념하고 과시하기 위한 목적이 더 컸다. 메시지가 향한 허큘리스 대성단(M13)은 지구로부터 약 2만5000광년 떨어져 있어, 단순계산으로도 메시지가 도달하는 데만 2만5000년이 소요되며, 응답을 받기까지는 총 5만년이 걸린다. 실질적인 교신보다는 인류의 기술적 성과를 상징적으로 보여주는 이벤트였다. 메시지는 2380MHz 주파수 대역으로 초당 10비트의 속도로 전송됐으며, 총 전송 시간은 약 3분이었다. ​​ 메시지는 총 1,679비트의 이진수로 구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