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9.29 (월)

  • 맑음동두천 25.8℃
  • 구름조금강릉 27.3℃
  • 맑음서울 26.6℃
  • 구름많음대전 25.0℃
  • 흐림대구 22.6℃
  • 흐림울산 23.8℃
  • 구름많음광주 24.8℃
  • 흐림부산 27.2℃
  • 구름조금고창 25.2℃
  • 제주 24.5℃
  • 맑음강화 25.7℃
  • 구름많음보은 24.4℃
  • 구름많음금산 25.9℃
  • 구름많음강진군 26.3℃
  • 흐림경주시 22.1℃
  • 구름많음거제 25.3℃
기상청 제공

우주·항공

이종호 장관 "이노스페이스, 우주산업 부스터 돼 달라"···시험발사 성공 축하

이종호 과기정통부 장관(왼쪽)이 3일 세종청사 집무실에서 이수종 이노스페이스 대표와 면담을 갖고 우주경제 육성을 위한 방안에 대해 설명했다. [과기정통부]

 

[뉴스스페이스=이은주 기자] "이노스페이스의 성공은 대한민국의 뉴스페이스 진입을 알리는 신호탄이 됐습니다. 앞으로 국내 우주산업의 부스터가 돼 주세요."

 

이종호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은 3일 세종청사 집무실에서 최근 국내 최초로 민간 우주발사체 시험 발사에 성공한 김수종 이노스페이스 대표와 면담자리에서 이같이 말했다.

 

우주발사체 개발 기업 이노스페이스는 지난달 브라질에서 국내 최초로 상업용 소형우주발사체 시험발사에 성공해 민간 주도의 뉴 스페이스 시대의 개막을 알렸다.

 

김 대표는 이 자리에서 6년이라는 비교적 단기간에 기술개발에 성공할 수 있었던 배경, 창업 초기 어려움, 미래 전략 등에 관해 설명했다.

 

김수종 대표는 특히 우리나라 우주경제 육성을 위해 우주분야 고급인력양성, 민간우주기업에 대한 지원강화, 공공위성을 통한 민간수요 창출 지원, 민간전용 발사장·시험시설 확충이 필요하다고 건의했다.

 

이종호 장관은 "논의된 내용들이 정책과 예산에 충실히 반영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며 "세계적 수준의 하이브리드 로켓 기술력을 확보한 이노스페이스가 조만간 더 좋은 소식으로 우주산업에 큰 역할을 했으면 한다"고 당부했다.

 

배너
배너
배너

관련기사

42건의 관련기사 더보기


[우주AtoZ] 서울대, 2035년 AI 우주정거장 발사 목표…K-우주 견인하는 '우주융합기술관' 건립한다

[뉴스스페이스=이종화 기자] 서울대학교가 2035년 무인 AI 기반 우주정거장 발사라는 혁신적 목표를 내걸고 대한민국 우주산업 생태계 활성화에 박차를 가한다. 2026년부터 시작되는 '우주융합기술관' 건립 사업에는 총 6년간 481억원이 투입될 예정이며, 이 기술관은 1979년 준공된 풍동실험동1(40동)을 증개축해 연면적 8280㎡ 규모로 새롭게 탈바꿈한다. 우주융합기술관에는 서울대 ‘우주연구단’(가칭), AI 우주기술연구센터, 국방공학센터 등이 입주해 첨단공학·AI·기초과학·의학·법·정책 등 융복합 연구와 고급 우주 인재 양성에 집중한다. 특히 한화에어로스페이스와 LIG넥스원 등 국내 방위산업 대표기업, 미국 스페이스플로리다, 독일 항공우주센터(DLR) 등과 국제 협력연구 공간도 마련, 본격적인 글로벌 공동연구 플랫폼 구축에 나섰다. 서울대가 목표로 하는 2035년 무인 AI 우주정거장은 바이오·반도체·의학·농업 등 첨단 우주 실증연구를 위한 핵심 플랫폼으로서, 우주 환경에서 생성되는 쓰레기를 회수하는 무인 우주 수송선도 운영될 예정이다. 이는 각국이 우주정거장 주권 경쟁을 벌이는 현실에서 한국이 도약을 위한 포석으로 평가된다. 우주강국 인도도 2035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