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3.30 (일)

  • 맑음동두천 3.9℃
기상청 제공

산업·유통

글로벌 인재 확보 나선 LG엔솔…美서 석·박사 채용 행사 개최

미국 샌프란시스코서 주요 대학·연구소 40여명 대상 진행
MIT·스탠포드·아르곤 국립연구소 등 대학 및 연구소 석·박사 참석
주요 경영진 총출동, 성장성·조직 문화·커리어 프로그램 등 소개

지난 8일(현지시간) 미국 샌프란시스코에서 LG에너지솔루션이 개최한 글로벌 인재 채용 행사 BTC(Battery Tech Conference)가 진행되고 있다. [LG에너지솔루션]

 

[뉴스스페이스=조일섭 기자] LG에너지솔루션이 지난 8일(현지시간) 미국 샌프란시스코 페어몬트 호텔에서 글로벌 우수 인재 채용 행사 'BTC(Battery Tech Conference)'를 개최했다.

 

'인재에게 적극적이고 특별함을 제공하는 LG에너지솔루션'이라는 주제로 진행된 이날 행사에는 MIT, 스탠포드, UCLA, 퍼듀, 아르곤 국립 연구소 등 미국 최고 대학 및 연구소에서 선발된 석·박사 인재 40여명이 참석했다.

 

LG에너지솔루션에서는 CTO(최고기술책임자) 신영준 부사장, CHO(최고인사책임자) 김기수 전무, CDO(최고디지털책임자) 변경석 전무를 비롯해 소형전지개발센터장 노세원 전무, Cell 선행개발센터장 김제영 상무 등 주요 경영진이 총출동했다.

 

그들은 현장에서 참석자에게 회사의 비전, 사업부별 역할 및 직무, 인재 성장 프로그램 등을 소개했다.

 

특히 LG에너지솔루션의 높은 성장성과 선진적인 조직 문화, 다양한 커리어 성장 프로그램을 소개한 'LG에너지솔루션 & Why LG Ensol?'이라는 주제 발표에는 참석자의 관심이 쏠렸다.

 

이날 BTC를 찾은 한 참석자는 "5년 내 매출 3배 성장의 높은 사업 성장성뿐 아니라 구성원 성장을 위한 전담 부서를 운영하고, 자유롭고 수평적인 조직 문화를 갖추고 있다는 점이 특히 인상깊었다"며 "LG에너지솔루션이 개인과 회사가 함께 성장하는 기업이라는 것을 체감할 수 있었다"고 말했다.

 

LG에너지솔루션 측은 "그동안 해외 유학생이 학위를 취득한 이후 전문 역량을 펼칠 만한 글로벌 기업이 부족해 국내로 돌아오지 못하고 해외 기업에 취업하는 경우가 많았다"며 "하지만 글로벌 배터리 산업의 선두 기업인 LG에너지솔루션에서 우수 인재를 적극 영입하고 있는 만큼 개인의 커리어를 개발하고자 하는 고급 인력에게 매력적인 기회가 될 것으로 기대한다"고 밝혔다. 

 

BTC는 LG에너지솔루션 분사 이전인 2006년부터 BC(Business & Campus) 투어라는 이름으로 진행된 글로벌 채용 행사다.

 

2021년 분사 이후 LG에너지솔루션만의 석·박사 채용 브랜드 이미지 강화를 위해 BTC(Battery Tech Conference)로 명칭을 변경해 운영해오고 있다.

 

올해 BTC는 참가 신청자만 2021년 대비 4배 증가한 200명에 달할 만큼 많은 관심 속에 진행됐다.

 

LG에너지솔루션 CHO 김기수 전무는 "글로벌 배터리 선두 기업으로써 인재 확보는 무엇보다 선행돼야 하는 일"이라며 "앞으로 다양한 채용 행사와 활동을 통해 적극적으로 우수 인재를 영입해 글로벌 리더로 자리를 확고히 하는 것이 목표"라고 밝혔다.

 

LG에너지솔루션은 2020년 12월 출범 당시 7524명이던 국내 기준 전체 직원 수(사업보고서 기준)가 지난해 말(12월 31일 기준) 1만919명으로 느는 등 빠른 속도로 인력을 확장하고 있다.

 

특히 유수의 대학 및 연구소와의 산학 협력 및 계약학과 설립 등 다양한 프로그램을 통해 우수 인재 선점에 적극적으로 나서고 있다.  

 

지난 1월에는 서울대와 산학협력센터 설립을 위한 업무 협약(MOU)을 체결했으며 지난해 11월에는 포스텍(포항공대)과 배터리 소재 및 공정 기술 개발을 위한 산학 협력, 9월에는 연세대와 자동차 전지 기술 개발 프로그램 운영 산학 협력 업무 협약을 체결했다.

 

계약학과 운영도 활발하게 진행 중이다.

 

2020년 6월 국내 배터리 업계 최초 계약학과인 고려대 배터리-스마트팩토리학과를 신설했으며 같은 해 10월에는 연세대와 이차전지 융합공학협동과정 계약학과를 설립했다.

 

지난해 6월에는 한양대와 계약학과 설립 협약을 체결하는 등 우수 인재 확보와 연구·개발 역량 확충을 위해 노력하고 있다.

 

배너
배너
배너

관련기사

93건의 관련기사 더보기

네티즌 의견 0

0/300자
  • 첫번째 댓글을 남겨주세요.


발기부전 치료제, 비아그라 복제약 전성시대…누리그라·스그라·세지그라·그날엔포르테·헤라크라·팔팔·불티스

[뉴스스페이스=최동현 기자] 오리지널 발기부전 치료제인 비아그라의 특허 만료 이후, 국내 제약사들이 앞다퉈 복제약(제네릭)을 출시하면서 시장 경쟁이 치열해지고 있다. 주요 비아그라 복제약 제품 라인업을 소개한다. 헤라크라 (CJ제일제당) : CJ제일제당에서 출시한 실데나필 성분의 발기부전 치료제다. CJ제일제당의 브랜드 인지도를 바탕으로 시장을 공략하고 있다. 포르테라 (제일약품) : 제일약품에서 판매하는 제품으로, 비아그라와 동일한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오랜 전통을 가진 제약사로서 신뢰성을 강조하고 있다. 누리그라 (대웅제약) : 대웅제약에서 출시한 제품으로, 인지도 높은 제약사의 제품이라는 강점이 있다. 대웅제약의 마케팅 역량을 활용해 시장 점유율을 높이고 있다. 불티스 (서울제약) : 서울제약에서 생산하는 필름형 제형의 발기부전 치료제다. 복용 편의성을 높여 차별화를 꾀하고 있다. 프리야 (근화제약) : 근화제약에서 판매하는 제품으로, 가격 경쟁력을 갖춘 것이 특징이다. 합리적인 가격으로 소비자들의 접근성을 높이고 있다. 스그라 (BC월드제약) : BC월드제약에서 출시한 제품으로, 다양한 용량으로 제공된다. 소비자 선택의 폭을 넓혀 시장 수요에 대응

"한화에어로의 수상한 유증으로 하루 4조원 증발·오너일가 승계에 악용"…강민국, 관계당국 진상조사 및 청문회 '촉구'

[뉴스스페이스=조일섭 기자] 국회 정무위원회 간사인 국민의힘 강민국 의원(경남 진주시을)이 회사채 발행 여력이 충분한 한화에어로스페이스가 유상증자를 발표해 주가 급락 및 막대한 주주 피해가 발생했다며 28일 관계 당국의 진상 조사를 촉구했다. 한화에어로스페이스 주가는 지난 3월 18일 역대 최고 수준인 장중 최고치 78만1000원 , 종가 76만4000원까지 올랐다. 하지만 3월 20일 보통주 595만주를 발행한다는 유상증자를 발표하자 다음날인 3월 21일 주가는 최고가 대비 19.6% 급락한 62만8000원으로 마감됐다. 한화에어로스페이스의 이번 유상증자 규모는 3조6000억원으로 이는 지난 3년간 발표된 유상증자 규모 중 가장 큰 규모다. 이에 3월 21일 하루 시가총액은 32조9096억원에서 28조6250억원으로 급락해 주주에게 4조2846억원이라는 막대한 피해를 입혔다. 한화에어로스페이스 주가는 3월 27일 종가 66만3000원으로 이는 유상증자 발표 직전인 3월 20일 종가 72만2000원 수준에도 미치지 못하고 있다. 문제는 한화에어로스페이스가 과연 유상증자를 단행할 만큼 자금 조달 능력이 부족하냐는 것인데 실상은 그렇지 않다는 것이 강의원의 주장